• Title/Summary/Keyword: 개발 중심 모형

Search Result 1,59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 Integrated Accounting Data Model and Its Application - Based on Object-oriented Approaches (통합 회계 데이타모형과 그 응용 -객체 중심 접근법을 중심으로-)

  • 남천현;한경석;곽수근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2 no.2
    • /
    • pp.35-54
    • /
    • 1995
  • 회계시스템에 데이타베이스시스템을 도입하는 연구의 주류는 데이타베이스 분야에서 개발된 데이타모형(data mood)을 이용한 회계 데이타모형의 개발에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타베이스 분야에서 최근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 객체지향 데이타모형을 적용한 회계 데이타모형(Object-oriented Accounting Data Model; OADM)을 개발하고 응용하는 데 있다. OADM은 회계시스템의 정보제공능력 제고 및 시스템통합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OADM은 데이타모형 관점에서 규명된 전통적 회계시스템의 본질을 모형화의 배경으로, REA 모델을 모형화의 기초로, 그리고 객체지향 데이타모형을 모형화의 도구로하여 개발된다. 회계 데이타모형화에 있어서 복합적인 회계데이타의 표현, 복합적이고 까다로운 회계처리절차의 데이타화, 타부문과의 연계, 회계시스템의 변경 및 확장 등의 제 문제점은 기존의 데이타모형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우나 객체지향 데이타모형을 회계 데이타모형화에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한 후행 연구로는 활동중심 원가계산의 모형화, 예산시스템의 모형화 그리고 사무정보시스템의 모형화 등을 들 수 있다. OADM은 이러한 모형화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모형의 실증분석도 가치 있는 미래연구로 본다.

  • PDF

Design and Effect of Development-Oriented Model for Developing Computing Thinking in SW Education (SW 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개발 중심 모형의 설계 및 효과)

  • Jun,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1 no.6
    • /
    • pp.619-62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oriented model (Discovery-Design-Development: DDD) for developing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in software education. DDD is a class model that learns the process of developing SW to solve real-life problems through three stages of Discovery, Design, and Develop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DD, first grade students at G university who did not have SW education class were tested.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SW development through DDD maintained the learning motivation of SW education before and after, especially the confidence area in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students also noted that the Design phase was particularly helpful in improving CT abilities and the DDD was a significant help in understanding of decomposition and algorithms.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모형 개발)

  • Lee, Eun-young;Choi, Ji-Yeon;Chae, Jung-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1 no.2
    • /
    • pp.155-175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concrete and systematic lesson design model for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To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the analysis stag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practical-problem-based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were reviewed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the 2015 revis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analyzed. In the design stag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ages and sub-elements of practical-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were determined, and a template of instructional design was constructe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esign model was drafted based on the stages and sub-elements determined at the design stage. In the evaluation stage, the drafted design model from the development stage was evaluated, modified, and enhanc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Based on the suggestions from the experts, the 'practical problem setting' stage was added to the original three-stage model, resulting in a model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stages: practical problem setting, goal setting, evaluation planning, and learning activity planning. The experts appraised that the developed model of practical-problem-based instructional design in Practical Arts to be a systematic template that would serve as a concrete guideline for teachers who are trying to design classes based on practical problems.

에너지/환경 통합모형의 평가 - 기술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 강희정;최기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04a
    • /
    • pp.162-162
    • /
    • 1996
  • 70년대 두 차례의 유류파동은 에너지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급속도로 변화시켰으며, 이와 아울러 신대체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신기술의 개발여부와 관련하여 에너지 기술평가모형의 수요를 급증시켰다. 이에 지난 십여년간 구미제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에너지신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기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평가기법들을 총괄적으로 지칭하는 에너지기술평가모형(Energy Technology Assessment Models)은 에너지신기술의 경제적, 기술적 특성과 에너지시스템내에서 신기술의 잠재적 역할을 사전 평가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의 에너지연구개발 정책을 수립하는데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내 에너지 연구개발 관련자들의 이해부족과 데이터베이스의 미비 등 여러 가지 제약요인들로 에너지기술 평가모형이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경제/에너지/환경/기술개발정책에 있어서의 에너지부문의 역할을 장기적으로 재평가하고 특히 기존 에너지문제의 제약요인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 수요관리 평가의 개발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거시 경제적 에너지공급모형과 최근 미국, EU등에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경제/에너지/환경/기술개발의 통합모형을 문헌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in Simultaneous Non-face-to-face Classes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문제기반학습 수업모형개발)

  • Byon, Kil-Hee;Cho, Woo-Hong;Jang, Young-Eun;Yun,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85-186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 개발과 그 적용가능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특징 및 수업운영 전략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 경험자 3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시간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을 개발할 것이다. 이를 문제중심학습 수업 운영 경험이 풍부한 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모형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실시간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주어진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창의적 사고를 하며 주도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함으로써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

Design of PBL(Problem - Bas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for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learning (HTML 학습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모형 개발)

  • Lee, Sun-Hyun;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401-408
    • /
    • 2005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학습 모형인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PBL) 모형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HTML 학습 방안의 탐색을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생이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학습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학습할 때 단순문법을 익히는 것을 넘어 프로그래밍 언어를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차원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문제중심학습의 기존모형들이 갖고 있는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문제중심학습의 절차는 문제와의 만남- 문제의 해결 전략 세우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수집- 문제의 해결 -평가 단계와 같다. 학습과정 에세이 기록을 통해 학습절차를 설계하고 과정을 돌이킬 수 있으며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학습의 결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구성주의 학습 모형인 문제중심학습(PBL)을 HTML 언어교육에 적용 할 경우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창의력 논리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Curriculum of Foodservice Systems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Principles (능력중심교육 원칙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의 개발)

  • Yoon,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10
    • /
    • pp.1-1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영양사를 위한 급식경영관리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4년제 식품영양학과에 적용 할 수 있는 능력중심교육 원칙(competency-based education)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각 분야의 급식경영전문가 설문조사$\longrightarrow$영양사 설문조사$\longrightarrow$4년제 대학 식품영양학과 교과과정 검토$\longrightarrow$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 개발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급식경영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국영양사에게 필요한 47개 급식경영관리 수행능력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영양사 설문조사 (응답자수: 484, 회수율: 65%)에서는 위 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정도에 대한 영양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급식경영관리 수행능력이 현재와 미래의 영양사 업무수행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육은 불충분하다고 대답하였다. 교육 불충분의 이유로는 급식경영관리 분야의 과목 부족, 실무위주 교육의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교과과정 검토 결과 61개 과목 중 8과목(13%)만이 급식경영관리와 관련된 과목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설문조사 결과와 교과과정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능력중심교육 원칙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 모형은 급식경영관리 전문 교육가에 의해 실행 전 평가 및 검토를 거쳤으며, 내용구성, 적용성, 형식 분야의 평가 결과 모든 분야에서 5.0 만점의 평균 4.6점을 획득하여 한국 영양사의 효과적인 급식경영관리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a Discuss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토의 중심 교수학습 모형 개발)

  • Yoon Ok Ha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1-1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scuss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nurturing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a draft model on discuss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was devised, and the model was completed through expert validation. The final draf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verifying how valid the model was when applied in class by using the derived final draft. Compared with the draft on discuss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final model focused on text-reading emphasis, methods of questioning, and question generation strategies, excluding jigsaw discussions. The discuss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structors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Three suggestions have been provided to effectively apply this model to the field. First, an attitude of listening and respect is required during a discussion. Second, a plan should be considered on how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Third, the importance of managing discussion time was emphasized.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 모형연구

  • 김상현;전원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05a
    • /
    • pp.179-184
    • /
    • 1995
  • 본 연구는 도시기능의 주요 요소인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환경부담을 최소화 시키면서도 에너지효율을 제고 시킬수 있는 방향으로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사업 모형을 개발.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 시스템적 관점의 에너지 및 환경관리를 통합하기 위한 에너지통합계획의 기본개념,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국내외동향 및 기술목록 사례를 소개하고,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에너지이용합리화법(법률 제4426호)"에 의거한 기존의 에너지사용계획서의 보완방안 및 사례연구를 통한 에너지적합형 개발모형을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Lee, Ran;Hyun, Eun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462-473
    • /
    • 2017
  •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media educational model for the Korean situation based on the two previous research results concerning Korean media mental model which have abs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ers and parents respectively living in and around Seoul. This looked through typical media educational model being in effect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Buckingham's creation-centered model, Hobbs' action-centered model, Potter's analysis-centered model and Vanhoozer's worldview-centered model, synthesized all the strengths of each model, and finally modified and reorganized this new model to reflect demanders' needs. Newly developed demander-centered educational model is a kind of circulation model consisting of a chain of the steps: worldview and viewpoints, use(access), analysis and evaluation, reflection, and social act; Each step borrowed the essential contents of each domain of objectives and tried to reflect the specific situations for Korean demanders. The needs for media use etiquette against addiction and cyberbullying were applied to the step of 'worldview and viewpoint', the needs for the educational status of books as media to 'use(access)', and the reality of highly used digital media to 'social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