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량처리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31초

효율적인 하수관거 개량을 위한 의사결정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Decision Making Model for Efficient Rehabilitation of Sewer System)

  • 이정호;전환돈;주진걸;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2호
    • /
    • pp.127-135
    • /
    • 2008
  • 하수관거 개량사업의 주된 목적은 Inflow/Infiltration (I/I)를 제거 및 통수능력 확보이다. 최근 노후 하수관거의 개 보수 및 신설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의 사업들은 관거 데이터의 부족, 유량 및 수질 자료의 장기적인 측정 미비 등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사업을 진행시키기에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거 개량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하여 Rehabilitation Weighting Model (RWM)과 Rehabilitation Priority Model (RPM)로 구성된 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RWM은 시간 및 예산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주요 지점에서만 관측되는 I/I를 상류의 각 관거별로 I/I를 산정하며, 관거별 I/I는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를 통하여 산정된 8개 결함항목별 가중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RPM은 Genetic Algorithm (GA)를 이용하여 소유역별 최적개량우선순위를 산정한다. 이것은 공사 기간 중 발생하는 I/I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소유역별 공사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처리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하수관거 개량사업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한 판단 기준을 제시해준다.

토양 개량제 처리가 밤나무 재배지의 토양 특성 및 잎 형질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 (Short-term Effects on Soil Property and Leaf Characteristics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Orchards)

  • 김춘식;김원석;안현철;조현서;추갑철;임종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05-411
    • /
    • 2012
  • 경상남도 진주시와 산청군에 위치한 성숙한 밤나무 재배지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토양 개량제 처리[(유기질비료 처리구: 20 kg/본; 복합비료 및 목탄 처리구: 복합비료 4 kg/본+목탄 2 kg/본; 석회비료 처리구: 3 kg/본; 혼합비료 처리구: 복합비료 1 kg/본+유기질비료 10 kg/본+목탄 1 kg/본; 대조구(무시비구)]가 토양 특성 및 잎 형질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밤나무 재배지에 토양용적밀도, 토양 유기탄소, 전 질소,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은 양 개량제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잎 건중량은 진주지역 석회비료 처리구($0.65\;g\;leaf^{-1}$), 산청지역 유기질비료 처리구($0.68\;g\;leaf^{-1}$)로 대조구(진주: $0.46\;g\;leaf^{-1}$; 산청: $0.53\;g\;leaf^{-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잎면적의 경우 진주지역 석회비료 처리구가($79.1\;cm^2\;leaf^{-1}$)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산청지역 토양 개량제 처리구는 ($70.4\;cm^2\;leaf^{-1}{\sim}78.2\;cm^2\;leaf^{-1}$)로 대조구(진주: $56.2\;cm^2\;leaf^{-1}$; 산청: $60.5\;cm^2\;leaf^{-1}$)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양 개량제 처리에 따른 잎 내 질소 함량은 혼합비료 처리구가 2.51%, 복합비료+목탄 처리구가 2.50%로 대조구 .98%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토양 개량제 처리는 밤나무 재배지의 단기적인 토양 특성개선에는 효과가 크지 않았으나 잎 형질 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잎 내 질소 분석은 밤나무 재배지의 토양 개량 효과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송도국제도시 중앙대로 도시철도 인접구간 연약지반처리 시험시공 사례

  • 서귀창;곽수정;최인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222-1228
    • /
    • 2010
  • 본 연구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중앙대로 구간의 도시철도공사와 인접한 연약지반 및 준설 매립층 개량공사와 관련하여 설계의 적정여부 판단 및 시공방안을 제시하기위해, 본공사에 앞서 시험시공을 통해 C.G.S의 개량효과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시험시공결과 당초 설계제원에서 계획했던 개량효과가 만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폐금속광산 중금속오염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위한 토양개량제 선정 (Soil Neutralizer Selection for Phytostabilzation Using Miscanthus sinensis Anderss.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 정문호;지원현;이진수;양인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517-528
    • /
    • 2020
  • 본 연구는 폐금속광산의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내 중금속 이동성과 억새내 중금속 축적형태 등을 분석하여 적정 토양개량제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중금속 오염토양을 바닥재 1, 2%, 비산재 1, 2%, 폐석회+굴패각 1, 2%, AMDS 10, 20%, 퇴비 3.4% 등으로 처리하고, 비교를 위해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 억새를 식재한 후 6개월을 재배하였다. Mehlich-3에 의한 토양내 중금속 함량, 억새 체내 중금속 이동형태 등을 분석한 결과 AMDS 20%가 식물안정화공법에 가장 효과적인 개량제로 선정되었으며, 2순위는 AMDS 10%가 선정되었다. 폐석회+굴패각, 바닥재와 비산재도 식물안정화공법적용 효과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량제 처리에 따라 일부 중금속의 토양내 유동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실제 사업 적용을 위해 사전에 대상지역의 토양오염 특성을 분석하여 현장특성에 적합하게 토양개량제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석탄회를 이용한 염류집적 토양 개선과 작물 생육 증진 (Improvement of Salt Accumulated Soil and Crop Growth using Coal Ash)

  • 이종철;오세진;강민우;김영현;김동진;이상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3-91
    • /
    • 2021
  • 본 연구는 폐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농업적 유용활용(beneficial use)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영가철과 석탄회로 제조한 토양개량제를 투입하여 토양 염류 농도와 작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배양시험과 재배시험으로 평가하였다. 토양개량제는 석탄회를 구형으로 제형하고 영가철이 함유된 용액(0.1, 1.0%)을 표면에 살포하여 제조하였다. 토양개량제는 밭토양으로 충진된 와그너포트에 40 g/10a과 400 g/10a를 처리하였고, 30일 간 배양한 후 토양 EC와 염 농도를 분석하였다. 토양의 EC는 400 g/10a 실험구에서 대조구 대비 약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표적인 염류인 유효인산의 경우 개량제의 처리 후 1/3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 내 EC와 염 농도의 감소는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r=0.672~0.985). 또한 개량제 처리 후 뿌리와 줄기의 생육은 약 10% 증가였고, 건중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 줄기와 뿌리에서 각각 30-50%와 60-7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석탄회와 영가철을 농업용 토양개량제로 재활용할 경우 농업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성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파공법에 의한 지반개량의 작용원리 (MECHANISM OF GROUND IMPROVEMENT BY BLASTING TECHNOIQUE)

  • 손근종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2년도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1-136
    • /
    • 1992
  • 발파공법은 비 점토성 지반의 심층 개량처리에 있어서 경제적이며 실용성 있는 방법이다. 발파에 의한 흙의 다짐효과는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발파 계획에 있어서 동 공법의 작용원리를 잘 이해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공법에 의한 흙의 다짐효과에 관한 과거의 연구자료를 광범위하게 조사하였다. 지반개량 작용원리에 관련하여 특별한 현상과 증거를 제시하는 실제 사례 자료를 기초로 하여 현재까지 흙의 밀도증가 요인을 설명해 온 개념은 발파에 수반되어 주변 주반에 발생하는 지반거동현상을 설명하기에 부족함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발파지점 부근에 형성되는 액상화 영역과 그 외부 영역에서 각각 발생되는 과인간극수압 및 지반응력상태, 이에 따른 지반침하 형태 그리고 개량지반의 강성 및 강도특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PDF

개량 Douglas-Peucker 알고리즘 기반 고속 Shape Matching 알고리즘 (Fast Shape Matching Algorithm Based on the Improved Douglas-Peucker Algorithm)

  • 심명섭;곽주현;이창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0호
    • /
    • pp.497-502
    • /
    • 2016
  • Shape Contexts Recognition(SCR)은 도형이나 사물 등의 모양을 인식하는 기술로 문자인식, 모션인식, 얼굴인식, 상황인식 등의 기반이 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SCR은 Shape의 모든 contour에 대해 히스토그램을 만들고 Shape A, B 비교를 위해 추출된 contour를 1:1 개수대로 매핑함으로써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hape 모양에 따라 윤곽선을 찾고 개량 DP 알고리즘 및 해리스코너 검출기를 이용하여 contour를 최적화시킴으로써 간략하면서도 더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렇게 개선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방법보다 처리 수행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신개간지에서 삼요소와 토양개량제 시용방법이 율무수량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pplication Methods of NPK Fertilizer and Ameliorator on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Yield and Soil Properties at Newly-reclaimed Land)

  • 허봉구;한영희;김주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79
    • /
    • 1994
  • 신개간지에서 삼요소비료시용시 몇가지 물리화학적인 개량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율무재배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신개간지에서 율무를 1985년부터 4년간 재배하면서 율무에 대한 삼요소의 수량반응과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율무의 초장은 종합개량처리구에서 가장 컸는데 2년차까지는 컸으나 3년차부터는 작아졌다. 2. 율무수량은 종합개량처리가 평균 2.16 t/ha로 가장 많고 삼요소 시용 대조구에 비하여 49% 증수되었으며 다른 처리구의 수량은 심경구>인산구>석회구>퇴비구>대조구 순으로 많았다. 3. 토양의 용적밀도나 경도는 표토에서 3년차까지 계속 낮아지다가 개량제 시용이 없었던 4년차에는 높아졌다. 토양산도는 토심이나 년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2. 건조 방법 및 EDTA, BHA처리가 개량조개 Mactra Sulcataria REEVE의 색소 잔존율 및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HELLFISH PROCESSING 2. Effect of Dehydration Method, EDTA or BHA Treatment on the Pigment Retention and the Water Absorbing Capacity of the Dehydrated Meat of the Surf Clam Mactra Sulcataria REEVE)

  • 이응호;허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37
    • /
    • 1970
  • 토사질을 제거한 개량조개를 EDTA 및 항산화제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 및 천일 건조했을 때 건조 방법이나 EDTA 및 항산화제 처리가 변색 및 흡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일 건조한 것이 열풍 건조한 것보다 월등하게 색소 소실이 심하였다. 2) BHA 처리하여 열풍 건조한 것은 생시료와 비교할 때 거의 색소 소실이 없었다. 색소 소실이 많은 것부터 열거하면, 대조구 및 EDTA 자숙 처리구>EDTA 침지 처리구>BHA 처리구의 순이었다. 3) 흡수성은 열풍 건조한 것이 천일 건조 한 것보다 빨랐다. 그리고 BHA 처리구 및 EDTA 처리구 사이에 흡수율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4) 개량조개는 BHA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하면 색소 소실도 적고 복원성도 좋아진다.

  • PDF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Native Black Pigs and Commercial Crossbred Pigs)

  • 최염순;박범영;이종문;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2-327
    • /
    • 2005
  •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들과의 도체 및 육질 특성을 비교 평가하여 표준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여 품질을 고급화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인 듀록종(DD), 랜드레이스종(LL), 요크셔종(YY) 그리고 삼원교잡종(LYD)을 시험에 공시해 품종간 처리구별 도체 및 육질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재래흑돼지의 생체중, 도체중, 거래 정육 생산량, 가죽, 지방 및 뼈의 생산량이 개량종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재래흑돼지의 도체율과 정육률도 개량종 4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이었으나(p<0.05), 총지방 생산율, 가죽, 뼈, 신 및 신지방의 생산율은 재래흑돼지가 개량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재래흑돼지는 개량종과 비교해 모든 부위에서 낮은 정육량을 보였으며, 품종간에는 YY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 LYD종이 높았으며, KNP가 가장 낮았다. 삼겸살 정육량은 KNP, YY종, LYD종이 각각 6.12, 9.43, 9.52 kg으로 나타났으며, 재래흑돼지의 삽겹살 정육률은 $11.11\%$이었으며, 개량종은 $11.5\~12.2\%$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단가는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보수력과 가열 감량은 재래흑돼지가 낮은 경향을 보인 (p<0.05) 반면, 다즙성은 근내 지방함량이 높은 관계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육색의 $a^{*}$값은 KNP가 가장 높았고 (p<0.05), DD종이 가장 낮았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