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념 발달

검색결과 1,000건 처리시간 0.027초

협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지리개념 발달과 근접발달영역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수도권 개념을 사례로 - (The Geographical Concepts Development and its ZPD through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 A Case Study on the Concept of GSMA in the Middle School -)

  • 강창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5-441
    • /
    • 2002
  • 본 연구는 협동적 상호작용 중심의 교수-학습을 통해서 학습자의 지리개념과 근접발달영역이 어떻게 발달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개념발단은 인지구조 수준이 논아질수록 일상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지리적 개념을 표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지리적 개념의 표현은 구체적인 사실들에서 하위요소개념. 그리고 기본요소개념의 위계적인 순서로 상향 발달하였으며, 발달 과정에서 학습자가 인지구조로 내면화하는데 가장 어려운 개념은 기본요소개념이었다. 학습자의 수도권 개념에 대한 근접발달영역은 9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근접발달영역은 사전 인지구조가 지리적 개념을 얼마나 더 많이 그리고 더 체계적으로 표상하는가의 질적 차이에 따라 다르게 발달했다. 지리개념 발달은 학습자의 사전 인지구조보다는, 교수-학습을 통해서 자신의 인지구조를 얼마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재구성하느냐에 달려 있었으며, 표상한 개념의 양적 증가를 바탕으로 한 질적 변화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지리개념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인지심리학적인 고찰 (The Cognitive Psychological Study of the Geographical Concept Development and Learning)

  • 강창숙;김일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1-176
    • /
    • 2001
  • 인지발달심리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두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지리개념 발달과 학습에 보다 효과적인 이론적 토대를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Piaget의 인지발달계론은 공간개념 발달을 설명하는데 실증적으로 적용.검증되어 왔으며 지리교육심리의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개념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제한적인 관점이었다. 이에 비해 고등정신기능발달과 근접발달영역으로 설명되는 Vygotsky의 이론은, 교수-학습에 의해 개념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관점으로 지리개념 발달에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이론적 토대로 제시된다.

  • PDF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235-250
    • /
    • 201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이들 두 집단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성별,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고,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발달의 하위영역 중 학업 직업탐색 영역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를 비교해 보면 두 집단 모두 진로발달과 자아개념은 매우 높은 상관이 있는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경우 상관 정도가 약간 높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모두 학업적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공통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이 갖는 영향력이 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비와 비례 개념의 의미와 표현에 대한 역사적 발달 과정 (The historical developments process of the representations and meanings for ratio and proportion)

  • 박정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3-66
    • /
    • 2008
  • 비와 비례 개념은 학생들에 게 매우 친숙하지만 어렵게 느껴지는 개념이다. 본고에서는 비와 비례 개념의 의미와 표현에 대한 역사적 발달 과정을 고찰하여 현대의 비와 비례 개념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와 비례 개념의 의미는 처음에 산술적인 의미로 시작되었으나 통약불가능한 값의 발견으로 기하적인 의미가 산술적인 의미를 대체하게 되었고 다시 대수 표기법의 발달로 인해 산술적 의미와 기하적 의미를 모두 포함한 대수적인 의미로 확장되었다. 비와 비례 개념의 의미와 표현에 대한 역사적 발달 과정을 통해 수학 개념의 의미는 기호 발달에 영향을 주고 기호발달은 수학 개념의 의미를 확장해 가는데 도움을 줌을 알 수 있다.

  • PDF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혼종모형 (Concept Analysis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Hybrid Model)

  • 김정순;신희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50-35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에게 발달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고 최적의 성장발달을 촉진하기위한 발달지지간호 개념을 탐색하기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의 개념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론적 단계, 현장작업 단계, 최종분석 단계에 따라 개념을 분석하였다. 현장작업단계에서는 참여자와 심층면담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발달지지간호 개념의 속성은 간호실무차원과 가족중심차원인 2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간호실무차원은 자궁 내 환경 따라가기, 상호작용, 개별화, 발달에 대한 인식을 간호에 통합 등의 4가지 속성으로 도출되었으며, 가족중심차원은 전문적인 협력, 부모-아기 애착지지인 2가지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혼종모형을 사용한 개념분석을 통해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6가지 속성을 추출하였다. 아직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개념정의를 제시함으로써 미숙아 발달지지간호 관련 이론 개발 및 실무 증진에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4학년 아동의 비와 비례 개념 분석 (Analysis on Ratio and Proportion Concepts: A Story of a Fourth Grader)

  • 이종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7-177
    • /
    • 2006
  • 비와 비례 개념은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런 개념은 곱셈적 개념 장의 일부분으로 서로 관련을 가지면서 발달하게 된다. 곱셈적 개념 장에는 곱셈, 나눗셈, 분수, 비, 유리수와 같은 개념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개념의 발달 과정이 어떻게 시작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한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비례추론 과제를 해결하는 실험 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이 아동이 비형식적 전략을 전개하면서 어떤 도전에 직면하였는지 그리고 비와 비례 개념을 전개하면서 어떤 수학적 지식이 유용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와 비례 개념의 발달은 곱셈적 개념 장의 발달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기존의 입장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중등학생의 지적 발달 연구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종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3-62
    • /
    • 198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지적 발달의 특성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및 교육과정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으려는 것이다. 지역, 학년, 연령, 성 및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인지 발달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을 대도시, 중 소도시, 농촌으로 유층화한 유층군집 표집방법에 의해 표집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남 녀 학생이었다. 표집학생 수는 중학교가 18개교 54학급 3,164명이었고, 고등학교가 18개교 36학급 1,981명이었다.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는 가정의 경제적 형편, 부의 직업, 부의 학력, 가정의 수입 정도를 고려하여 4계층으로 구분하였다. 사용된 도구는 지적 영역의 조사에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른 논리발달 검사를 이용했다.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제논리, 확률논리, 조합논리, 변인조작개념은 연령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대도시로 갈수록,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더욱 발달하는 경향이다. 둘째, 개념의 발달경향에 있어서 이원추리와 조합논리개념의 발달이 확률논리와 명제논리 개념의 발달보다 빠른 경향이다. 셋째, 한국의 중등학생 중에서 12세의 64.6%, 13세의 58.1%, 14세의 43.8%, 15세의 30.1%, 16세의 22.6%가 구체적 조작 후기에 도달해 있다. 넷째, 중등학생의 학년별 인지발달경향을 보면 중1의 69.8%, 중2의 51.1%, 중3의 47.4%, 고1의 21.6%, 고2의 21.7%가 구체적 후기의 발달수준이다.

  • PDF

함수의 그래프에서 학생의 개념 발달과정에 대한 특성 (The Processes of Developing Mathematical Concepts Based on the Vygotsky′s Theory)

  • 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63-17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그래핑 계산기를 이용한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개념 발달과정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주어졌을 때, 한 가지 개념을 형성 한 후에는 다른 개념으로의 전이를 시도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일반화되고 추상화된 수학적 개념을 형성해 나아갔다. 여기서 처음엔 일상 개념에 머물러 있는 모호한 혼합적 응집체로 시작하여 복합적 사고의 단계들을 거쳐 진성 개념에 이르는 특징들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특성을 위주로 연합 유형과 수집 유형을 반복해 나갔는데 이 과정에서 언어와 도구가 부분적인 과정을 통제하고 수행하는데 계획적으로 사용되고, 더불어 교사가 학생이 관찰한 바를 확인시켜주는 과정을 거쳐 발달을 이루어 나아갔다. 또한 의사 개념의 수준에서 '사고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에는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을 다시 제시하며 개념을 확고하게 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 PDF

진화개념의 역사에 근거한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진화개념 수준 비교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based on the History of Evolutionary Ideas)

  • 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9-668
    • /
    • 2017
  • 이 연구는 진화 개념의 발달 단계가 전공과 국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의 자료를 생물 전공과 비생물 전공에 따라 구분하여 수집하였다. Ha(200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Ha(2016)의 분석방법에 근거하여 순위선다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적 사고의 과학사적 발달 과정(창조, 목적, 의도, 용불용설, 자연선택)을 토대로 순위선다방식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한국과 미국, 전공과 비전공 학생에게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진화 개념의 발달 단계를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용불용설 수준, 미국의 대학생들은 목적론적 설명 수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공과 국가에 따른 진화 개념의 발달 수준은 진화 설명소재와 교호작용효과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교호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화 개념의 발달 단계와 종교성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진화 개념의 발달 특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과학사에 근거한 진화개념검사도구의 타당도 확인 및 맥락에 따른 진화개념 발달 탐색 (Examining the Validity of History-of-Science-Based Evolution Concept Assessment and Exploring Conceptual Progressions by Contexts)

  • 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09-517
    • /
    • 2016
  • 학생들의 진화에 대한 대안개념(목적론, 용불용설 등)이 과학사에서 나타나는 설명의 발전 형태와 유사하다는 연구는 있었다. 하지만 과학사적으로 설명의 발달과정을 반영하여 부분점수를 주는 평가방식은 활용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창조론에서 자연선택까지 과학사적 발달과정을 반영하여 부분점수를 주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이 타당한지에 대한 양적인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과학사에 근거하여 진화개념검사도구의 학생응답을 순위선다형점수로 변환하고 부분채점모형의 라쉬모델분석을 포함한 통계적 방법으로 새로운 평가방식이 타당한지 확인하였다. 또한 개념발달이 인간, 동물, 문항의 상황에 따라 다른지 확인하였다. Ha(2007)가 개발한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1711명의 초, 중, 고등학생과 비전공, 전공생물 교사를 대상으로 생성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창조론, 목적, 의도, 용불용설, 자연선택에 0점에서 4점씩 부분점수로 제시한 평가방법은 Cronbach alpha를 통한 내적일관성 신뢰도, 라쉬분석의 MNSQ값 등 통한 문항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개념수준은 의도에서 용불용설 단계에, 고등학생부터 용불용설 이후의 단계로 개념발달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진화설명의 발달 과정은 인간, 동물, 식물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사와 학생들의 개념발달이 유사하다는 기존의 주장에 새로운 양적증거를 추가하고, 진화개념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석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