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

Search Result 26,33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Historical Process Analysis and Extension of Division into Equal Parts in Middle School Geometry (중학교 기하영역 등분할 개념에 대한 수학사적 분석 및 확장에 대한 연구)

  • Suh, Bo Euk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6 no.1
    • /
    • pp.33-56
    • /
    • 2013
  • This is a literature study about the concept of 'Division into Equal Parts' in middle school geometry. First, we notice that the concept of the division into equal parts in middle school geometry is given in four themes, which are those of line segments, angles, arches and areas. Second, we investigate and analyse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se four kinds of divisions into equal parts. Third,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in terms of method and concept was research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it is desirable to use effective utility of history in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school.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Learners' Misconceptions on the Time-Efficiency of Algorithms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의 알고리즘 시간효율성에 관한 오개념 분석)

  • Lee, Eun-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5
    • /
    • pp.1-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levels and misconceptions regarding the time-efficiency of algorithm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ith nine questions wa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is base on three misconceptions about the time-efficiency of algorithms that are examined through prior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51 students who completed a programming course.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s didn't sufficient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ime-efficiency of algorithms and several common misconceptions appeared repeatedly. Finally, teaching strategies using simulation and assesment framework for algorithm's time-efficiency were presented and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refining the curriculum relating computer programming and algorithms.

  • PDF

U.S Navy's Distributed Lethality Concept and Its Implications for East Asian Security (미 해군의 전력분산의 치명성이 동아시아 안보에 주는 함의)

  • Moon, Changhwan
    • Strategy21
    • /
    • s.44
    • /
    • pp.79-102
    • /
    • 2018
  • 2015년 미 해군에서 발간한 미 수상함대전략(Surface Force Strategy)에 따르면, 미 해군은 반접근-지역거부(Anti-Acess and Anti-Denial, A2/AD) 전략에 대한 대응책으로 '분산된 치명성(Distributed Lethality, DL)'이라는 신 작전개념을 개발 중에 있다. 이 개념은 각 유닛(unit)의 공격력(offensive power)을 향상시키고 지리적으로 분산 시킴으로써(geographical dispersion) 생존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하지만 동맹국(한국/일본 등)이 '분산된 치명성(DL)' 개념에 기여할 수 있는 영역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미 해군 내에서는 동맹국과 어떻게 공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미 해군은 향후 '분산된 치명성(DL)' 이라는 작전개념에 동맹국이 줄 수 있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동맹국을 활용한 분산된 치명성(Distributed Lethality with Allies, DL+A)' 개념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동맹국을 활용한 분산된 치명성(DL+A)' 개념이란 동맹국이 가지고 있는 전력, 시설, 플랫폼 등 가용자산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분산된 치명성(DL)' 개념을 강화시키는 신 작전개념이다. 미 해군은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신 작전개념(DL+A)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영역(정찰, 군수, 지리적 요충지, 플랫폼)에서 동맹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맹국은 미 해군의 신 작전개념을 적용함으로써 A2/AD 전략에 대비한 안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Discovery of Interesting Knowledge using Concept Hierarchy (개념 계층 이용 흥미로운 부분 데이터의 탐색)

  • 홍정희;김성민;남도원;이동하;이전영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6 no.2
    • /
    • pp.77-89
    • /
    • 2000
  • 개념 계층(Concept Hierarchy)은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배경 지식(Background Knowledge)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정보, 데이터의 분포, 영역전문가 (Domain Expert)에 의해 주어지는 외부 지식 등이 반영되어 있다. 개념계층의 특성상 부모(parent)-자 식(child) 관계가 있는 두 노드가 있을 때, 한 노드의 값으로부터 다른 노드의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추정된 값을 기대치라고 하고, 한 노드의 값으로부터 추정된 기대치와 실제치가 상당히 상이한 값을 보이는 노드가 있을 때, 이를 흥미롭다(interesting)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개념계층 상에서의 흥미로운 부분 탐색에 대한 연구가 없었으며, 흥미로움(interestingness)의 척도(measurement) 에 대한 연구로서는 신뢰도(confidence),리프트(lift),컨빅션(conviction)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런 흥미도 의 척도에 관한 연구도 연관규칙에 한정되어 이루어졌으므로 개념계층상의 데이터에 적용하기 위해 서는 약간의 수정 및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개념계층이 존재할 때, 이를 이용하여 기대치와 실제치가 상이한 흥미로운 부분을 발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개념계층상에서의 흥미도의 척도를 제안하고 흥미로운 부분을 탐색하는 방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인 연관규칙을 개념 계층에 적용하여 연관규칙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기대치를,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리프트(lift), 컨빅션(conviction)등의 관계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해본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이러한 개념계층상의 흥미로운 부분의 탐색은, 전자 상거래에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나 틈새시장(niche market) 마케팅 등에 적용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 PDF

무한개념의 이해와 반성적 추상

  • Jeon, Myeong-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655-691
    • /
    • 2002
  • 16개의 무한개념 문제를 가지고 47명의 대학생에게 개별 검사하여 무한개념의 이해 과정을 설명하고자 시도했다. 전문가-초심자의 조망에서 미시발생적 방법을 사용하여 2명의 사례를 비교 ${\cdot}$ 분석하였다. Cifarelli(1988)'의 반성적 추상과 Robert(1982)와 Sierpinska(1985)의 무한개념의 3단계를 설명의 틀로 사용하였다. 실무한 개념 수준으로 이행한 사례 P는 그렇게 하지 못한 L보다 높은 수준의 반성적 추상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반성적 추상은 무한개념의 이해에 결정적인 사고의 메카니즘으로 볼 수 있다.

  • PDF

An Extended Conceptual Model of Architectural Description (확장된 아키텍처 기술의 개념적 모델)

  • Park, Jin-Wook;Chae, H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396-401
    • /
    • 2006
  • 아키텍처에 대한 기술은 아키텍처 평가와 검증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아키텍처 기술(Architecture Description)을 위해서 아키텍처 기술언어, 아키텍처 모델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다. IEEE-1471의 아키텍처 기술을 위한 개념적 모델이 아키텍처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모델로 제시되었고 이후에 아키텍처 기술에 대한 새로운 요소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므로 IEEE-1471의 개념적 모델은 새로운 요소들의 개념 사이에 혼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IEEE-1471의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이후에 제시된 세 가지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IEEE-1471의 개념적 모델을 확장하고자 한다.

  • PDF

A Conception of Navigation in Information Retrieval Research (정보검색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개념 분석)

  • Park, He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51-56
    • /
    • 2012
  • 본 연구는 정보검색과 관련하여 내비게이션의 개념에 대해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담론연구를 통해 웹 내비게이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웹이 등장한 1995년을 기준으로 최근 2012년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학술지에 출판된 총 38편의 웹 네비게이션 연구 논문들을 내용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웹 네비게이션의 개념 정의를 조사하였다. 웹 정보검색에 있어서 문헌정보학분야에서 정의하고 있는 네비게이션 개념은 크게 네비게이션 행위, 네비게이션 전략, 네비게이션 디자인으로 구분되며, 그 개념의 범위와 핵심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PDF

여성의 자아개념이 화장품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명희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59-6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자아개념과 화장품 추구혜택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화장품 구매 행동과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추구혜택의 차이를 알아보며, 자아개념과 인구 통계적 변인이 화장품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조사연구방법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화장품 추구혜택은 24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자아개념은 정원식의 표준화된 자아개념 검사 중 신체적, 도덕적, 성격적, 가정적, 사회적 자아개념의 5개 변인을 사용하였다. (중략)

  • PDF

융합보안의 개념 정립과 접근방법

  • Kim, Jung-Duk;Kim, Kun-Woo;Lee, Yong-Duk
    • Review of KIISC
    • /
    • v.19 no.6
    • /
    • pp.68-74
    • /
    • 2009
  • 현재 융합보안에 대한 개념은 물리적, 기술적, 관리적 보안을 상호 연계하여 보안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는 통합적 보안을 관리하는 개념과, 보안이 조선, 자동차 등 기타 산업과 융합되어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의 안전성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복합적 의미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융합보안에 대한 상이한 개념은 향후 융합보안의 연구 및 적용에 있어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혼용되고 있는 융합보안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두 가지 차원의 융합보안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Concept Map based P2P contents sharing system (개념지도 기반 P2P 콘텐츠 공유 시스템)

  • 나고운;차재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223-225
    • /
    • 2004
  • 현재의 P2P 시스템은 특정한 분야에서는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지식과 정보 공유의 목적으로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사용자가 웹에서 수집한 자료와 새로 생성한 지식 및 정보 콘텐츠들은 기존의 P2P시스템으로는 공유하기 힘든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대부분의 P2P시스템은 사용자가 콘텐츠 각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하거나 키워드가 나타나도록 파일명을 수정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CONCEPT P2P는 P2P 환경에서 콘텐츠를 공유하는데 개념지도를 사용한다. 개념지도는 시간 소모적인 메타데이터 작성 작업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CONCEPT P2P는 로컬 파일 시스템에 수집하고 있는 관심 콘텐츠의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의 개념지도를 추출하여 개념지도로부터 콘텐츠 묶음을 검색하므로 무리한 수작업이 없이도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다른 사용자와 개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관심 개념에 의해서 클러스터링 되고 있는 복수개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배포하는 접근을 취하였다. 개념 지도를 기술하고 검색하는 부분에서는 RDF 기반의 시맨틱 웹 언어와 RDF 질의 언어인 QEL을 사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