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열 예측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ediction of Domain Action Using a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영역 행위 예측)

  • Lee, Hyun-Jung;Seo, Jung-Yun;Kim, Hark-So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8 no.2
    • /
    • pp.179-191
    • /
    • 2007
  • In a goal-oriented dialogue, spoken' intentions can be represented by domain actions that consist of pairs of a speech art and a concept sequence. The domain action prediction of user's utterance is useful to correct some errors that occur in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and the domain action prediction of system's utterance is useful to generate flexible respon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o predict a domain action of the next utterance using a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odel predicts the next domain action by using a dialogue history vector and a current domain action as inputs of the neural network. In the experiment, the proposed model showed the precision of 80.02% in speech act prediction and the precision of 82.09% in concept sequence prediction.

  • PDF

A Statistical Prediction Model of Speakers' Intentions in a Goal-Oriented Dialogue (목적지향 대화에서 화자 의도의 통계적 예측 모델)

  • Kim, Dong-Hyun;Kim, Hark-Soo;Seo, Jung-Y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9
    • /
    • pp.554-561
    • /
    • 2008
  • Prediction technique of user's intention can be used as a post-processing method for reducing the search space of an automatic speech recognizer. Prediction technique of system's intention can be used as a pre-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 flexible sentence. To satisfy these practical needs, we propose a statistical model to predict speakers' intentions that are generalized into pairs of a speech act and a concept sequence. Contrary to the previous model using simple n-gram statistic of speech acts, the proposed model represents a dialogue history of a current utterance to a feature set with various linguistic levels (i.e. n-grams of speech act and a concept sequence pairs, clue words, and state information of a domain frame). Then, the proposed model predicts the intention of the next utterance by using the feature set as inputs of CRFs (Conditional Random Fields). In the experiment in a schedule management domain, The proposed model showed the precision of 76.25% on prediction of user's speech act and the precision of 64.21% on prediction of user's concept sequence. The proposed model also showed the precision of 88.11% on prediction of system's speech act and the Precision of 87.19% on prediction of system's concept sequence. In addition, the proposed model showed 29.32% higher average precision than the previous model.

Prediction of Thermal Conductivity of Spatially Reinforced Composites (다방향으로 입체 보강된 복합재의 열전도계수 예측)

  • 이상의;유재석;김천곤;홍창선;김광수
    • Composites Research
    • /
    • v.14 no.3
    • /
    • pp.57-68
    • /
    • 2001
  • This paper predicte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patially reinforced composites(SRC) by applying the volume averaging method and the thermal resistance method. The former method employs existing micro-mechanical theories and conventional transformation rules to obtain the constitutive relations for the unit cells of the composites and the latter one uses the analogy between the diffusion of heat and electrical charge. To verify the theoretical prediction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4-D(dimensional) SRC was examined experimentally. The comparison of the numerical results with those measured by the experiment showed good agreement.

  • PDF

Precipitation forecasting by fuzzy Theory : II. Applicability of Fuzzy Time Series (퍼지론에 의한 강수 예측 : II. 퍼지 시계열의 적용성)

  • Kim, Hung-Soo;La, Chang-Jin;Kim, Joong-Hoon;Kang, In-J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5
    • /
    • pp.631-638
    • /
    • 2002
  • Stochastic model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forecasting of time series. However, this study tries to perform the precipitation forecasting by fuzzy time series model using fuzzy concept. The published fuzzy based models are used for the forecasting of time series and also we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fuzzy time series models and neuro-fuzzy system can increase the forecastibility of the models. The precipitation time series in illinois, USA is analyzed for the forecasting by the known fuzzy time series models and the suggested methodology in this study. As a result, we know that the suggested methodology shows more exact results than the known models.

Temporal hierarchical forecasting with an application to traffic accident counts (시간적 계층을 이용한 교통사고 발생건수 예측)

  • Jun, Gwanyoung;Seong, Byeongch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1 no.2
    • /
    • pp.229-239
    • /
    • 2018
  • This paper introduces how to adopt the concept of temporal hierarchies to forecast time series data. Similarly as in hierarchical cross-sectional data, temporal hierarchies can be constructed for any time series data by means of non-overlapping temporal aggregation. Reconciliation forecasts with temporal hierarchies result in more accurate and robust forecasts when compared with the independent base and bottom-up forecasts. As an empirical example, we forecast traffic accident counts with temporal hierarchies and observe that reconciliation forecasts are superior to the base and bottom-up forecasts in terms of forecast accuracy.

Multiple aggregation prediction algorithm applied to traffic accident counts (다중 결합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한 교통사고 발생건수 예측)

  • Bae, Doorham;Seong, Byeongch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6
    • /
    • pp.851-865
    • /
    • 2019
  • Discovering various features from one time series is complicat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ulti aggregation prediction algorithm (MAPA) that uses the concepts of temporal aggregation and combining forecasts to find multiple patterns from one time series and increase forecasting accuracy. Temporal aggregation produces multiple time series and each series has separate properties. We us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s in the next step to extract various features of time series components in order to forecast time series components for each series. In the final step, we blend predictions of the same kind of components and forecast the target series by the summation of blended predictions. As an empirical example, we forecast traffic accident counts using MAPA and observe that MAPA performance is superior to conventional methods.

Similarity Search in Time-Series Databases Using Decomposition Method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분해법을 이용한 유사 검색 기법)

  • 박신유;문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10-112
    • /
    • 2000
  • 최근 몇 년간 시계열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패턴(similarity pattern)을 탐색하는 기법이 광범위한 응용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귀분석방법을 바탕으로 한 분해 시계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유사성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즉, 시계열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패턴을 여러 성분으로 분해하여 각기 다른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사성을 탐색할 때에도 분리된 각 성분 중 특정 변동특성이 유사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시간없이 검색할 수 있다. 이는 전체 시계열 데이터를 이해하는데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예측하는 방법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Probabilistic Reservoir Inflow Forecast Using Nonparametric Methods (비모수적 기법에 의한 확률론적 저수지 유입량 예측)

  • Lee, Han-Goo;Kim, Sun-Gi;Cho, Yong-Hyon;Chong, Koo-Y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4-188
    • /
    • 2008
  • 추계학적 시계열 분석은 크게 수문자료의 장기간 합성과 실시간 예측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장기간 합성은 주로 수문자료의 추계적 특성을 반영한 수자원 시스템의 운영율 개발에 이용되어 왔다. 반면에 실시간 예측은 수자원 시스템의 순응적(adaptive) 관리에 적용되고 있다. 두 개념의 차이로 전자는 시계열 자료를 합성하여 발생 가능한 모든 수문조합을 얻고자 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전 시간의 수문량을 조건으로 하는 다음 시간의 값을 순응적으로 예측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수문자료의 합성과 예측에는 크게 결정론적, 확률론적 방법의 두 가지 대별될 수 있다. 결정론적 모델링 방법에는 인공신경망이나 Fuzzy 기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확률론적 방법에는 ARMAX 등의 모수적 기법과 k-NN(k-nearest neighbor bootstrap resampling), KDE(kernel density estimates), 추계학적 인공신경망 등의 비모수적 기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비모수적 기법인 k-NN를 이용하여 충주댐을 대상으로 월 및 일 유입량 자료의 예측 정도를 살펴보았다. 전 시간 관측치를 조건으로 하는 다음 시간의 조건부 확률분포를 구하여 평균값을 계산한 후 관측치와 비교함으로써 모형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시간 저수지 운영에 이 기법의 활용성과 장단점도 살펴보았다. 모형개발 절차로 모형의 보정을 거쳐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월 및 일 유입량 예측에 k-NN 기법이 실무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으며, 장점으로는 k-NN 기법이 다른 기법보다 모델링 절차가 비교적 쉬워 저수지 운영 최적화 등 타 시스템과의 연계에 수월함이 인식되었다.

  • PDF

Conceptual Design of Coolant Channel for Sub-scale Combustion Chamber (소형 연소기 냉각 유로 개념 설계)

  • 정용현;조원국;한상엽;류철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6 no.4
    • /
    • pp.1-6
    • /
    • 2002
  • A numerical heat transfe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design of sub-scale combustion chamber's coolant passage. The heat flux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all was estimated by 2-D heat transfer analysis of compressible hot gas and the result was applied as a thermal boundary condition of 3-D analysis. The heat flux estimated by the present method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correlation and proved to be insensitive to cooling condition. So the same thermal boundary condition was applied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he maximum temperature of combustion chamber wall was predicted by 3-D analysis for single coolant passage and the result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regeneratively cooled combustion chamber. Also estimated wer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structural safety of coolant passage through the static structural analysis.

A Hybrid System of Wavelet Transformations and Neural Networks Using Genetic Algorithms: Applying to Chaotic Financial Markets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웨이블릿분석 및 인공신경망기법의 통합모형구축)

  • Shin, Taeksoo;Han, I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71-280
    • /
    • 1999
  • 인공신경망을 시계열예측에 적용하는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문제중, 특히 모형에 적합한 입력변수의 생성이 중요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분야는 인공신경망의 모형생성과정에서 입력변수에 대한 전처리기법으로써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가장 최근의 입력변수 전처리기법으로써 제시되고 있는 신호처리기법은 전통적 주기분할처리방법인 푸리에변환기법(Fourier transforms)을 비롯하여 이를 확장시킨 개념인 웨이블릿변환기법(wavelet transforms)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시계열이 다수의 주기(cycle)들로 구성된 상이한 시계열들의 집합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시계열은 전기 또는 전자공학에서 주파수영역분할, 즉 고주파 및 저주파수를 분할하기 위한 기법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 활발하게 응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중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경영분야의 재무시계열에 대한 분석이다 전통적으로 재무시계열은 장, 단기의사결정을 가진 시장참여자들간의 거래특성이 시계열에 각기 달리 가격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이한 집단들의 고유한 거래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예를 들어, 주식시장이 프랙탈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이처럼 재무시계열은 다양한 사회현상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만큼 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계열의 주기적 특성에 기반을 둔 신호처리분석으로서 기존의 시계열로부터 노이즈를 줄여 주면서 보다 의미 있는 정보로 변환시켜 줄 수 있는 웨이블릿분석 방법론을 새로운 필터링기법으로 사용하여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인공신경망과의 모형결합을 통해 기존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통합예측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통합방법론은 크게 2단계 과정을 거쳐 예측모형으로 완성이 된다. 즉, 1차 모형단계에서 원시 재무시계열은 먼저 웨이블릿분석을 통해서 노이즈가 필터링 되는 동시에, 과거 재무시계열의 프랙탈 구조, 즉 비선형적인 움직임을 보다 잘 반영시켜 주는 다차원 주기요소를 가지는 시계열로 분해, 생성되며, 이렇게 주기에 따라 장단기로 분할된 시계열들은 2차 모형단계에서 신경망의 새로운 입력변수로서 사용되어 최종적인 인공 신경망모델을 구축하는 데 반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