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의실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ig Data based Classroom Assignment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to the Academics System (데이터에 근거한 강의실 자동 배정 알고리즘 설계와 학사관리 시스템 적용사례)

  • Chin, Sang-Kyu;Kim, Seung-Hwan;Lee, Soon-Kyo;Cheong, T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348-351
    • /
    • 2016
  • 대학에서는 매학기 개설된 수업에 대해 강의실 배정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년4회(1 2학기, 여름, 겨울 계절학기) 수작업으로 반복적인 강의실 배정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강의실 배정작업은 교수가 선호하는 강의실 또는 교과목특성(실험과목 및 대형 강의)이 반영된 강의실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강의실을 배정하고 있으며 수작업으로 일일이 강의실을 배정 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몇몇 대학에서는 강의실 배정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교수 및 강의실의 특성을 고려한 강의실 자동 배정 시스템을 구축을 시도 하였으나, 많은 변수로 인해 여전히 수작업으로 강의실을 배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의실 자동 배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3년간 기 배정된 강의실 빅 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강의실 자동 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적용한 고려대학교 시스템 구축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Virtual Classroom with a Learning Appraisement Agent (학습 평가 에이전트를 갖는 웹 기반 가상 강의실의 설계 및 구현)

  • 홍지영;이종학;장정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65-567
    • /
    • 2001
  • 웹의 등장으로 인터넷이 보편화됨에 따라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 강의실이 많이 구축되고 시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 강의실은 학습자에게 많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 가상 강의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내용이 대부분 교수의 임의의 한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어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수준이나 목적에 맞는 학습내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준별 학습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 평가 에이전트를 갖는 웹 기반 가상 강의실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본 가상 강의실의 학습 평가 에이전트는 학습자에게 학습 방향과 목표에 따라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 전에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테스트한다. 이러한 테스트를 위하여 학습 평가 에이전트는 테스트 항목들에 대하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다. 문항반응이론은 문항특성의 불변성, 능력추정의 정확성, 능력추정의 불변성을 가지고 있어 학습자의 단순한 평가가 아니라 학습자의 지식수준이나 이해정도를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상 강의실의 구축에 필요한 데이타베이스 설계와 시스템 환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 PDF

A Context-Aware Lecture Rooms Management System (상황인식 강의실 관리 시스템)

  • Park, Kyuhuen;Baek, Sunjae;Lee, Daesung;Yoon, Sungpil;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231-234
    • /
    • 2009
  •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작업과 관련 있는 적절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황'을 사용하는 경우 이를 상황인식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이 내장된 기기나 컴퓨터는 상황을 감지하여 적절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교육, 의료, 사무실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용된다. 특히 현대화된 강의실 환경은 각종 매체의 설치로 인해 전력소모가 심해지며, 매체들과 강의 환경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 기술을 이용한 강의실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 (온도, 조도, $CO_2$, 인체감지) 로부터 획득되는 저수준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추상화된 고수준의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관리자는 강의실 내부에 설치된 매체들과 환경요소에 대한 상황을 쉽게 인식 할 수 있고, 강의실 내부의 상황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의실에 대한 과거의 이력정보를 검색 할 수 있음으로써 사전관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수동적인 관리로 인한 전력소비에 비해 전력절감 효과가 있고 쾌적한 강의실 환경을 학생들에게 제공 해 줄 수 있게 된다.

  • PDF

Estimating occupied university classroom acoustical parameters from unoccupied values (대학 강의실의 공석 시 측정값을 이용한 만석 시 음향지표의 예측)

  • Choi, Young-J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5
    • /
    • pp.343-348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acoustical parameter values in an occupied classroom from measurements in the unoccupied classroom. The total sound absorption in an unoccupied classroom can be calculated from measured reverberation times in the room. The expected occupied absorption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that was obtained in a previous study (Choi, 2016) by fitting a linear regression line to a plot of total occupied absorption versus the corresponding unoccupied total absorption values measured in 12 university classrooms. The ratios of occupied-to-unoccupied sound absorption are used to predict increments in the values of acoustical parameters when occupants are added to the rooms. Occupied values of acoustical parameters can be estimated from unoccupied values and the change in total room absorption due to adding occupants.

Implementation of A Lecture Room Control System Based on a Sensor Network (센서 네트워크 기반 강의실 제어시스템 구현)

  • Bin, Ki-Cheol;Lee, Jong-Min;Kwon, Oh-J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3
    • /
    • pp.436-444
    • /
    • 2009
  • As the interest in sensor networks has been increased recentl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in many areas using sensor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 lecture room control system based on a sensor network. It is possible to give an efficient lecture by collecting lecturers' lecture history information through the sensor network and controlling a PC, a beam projector, lights, etc. in a lecture room appropriately using the information. We construct a sensor network and perform experiments so that the proposed lecture room control system performs efficiently. Through the experiments, we obtained the optimal message generation period of the sensor node in a lecture room and the optimal number of sensor nodes deployed in a lecture room to communicate without any trouble between sensor nodes.

  • PDF

Evaluat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Lecture Rooms Using Temporal Factors in Autocorrelation Function(ACF) (ACF의 시간적 요소에 의한 강의실 요해도 평가)

  • Kim Jeong Mi;Jeon Jin Yo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71-274
    • /
    • 2001
  • 강의실의 언어 요해도에 관한 연구는 그 평가방법과 지표에 대한 주제로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기존의 지표들에서는 전체 음에너지에 대한 초기음에너지의 비율로 계산하거나(C80, D50) 주파수 대역별 음에너지의 감쇠율(RASTI)을 구하여 명료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utocorrelation Function (ACF)의 시간적 요소를 통해 강의실의 언어 요해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시뮬레이션 대상 강의실에서 무향실 음원이 제시되었을 때 12개 수음점에서 음향특성을 측정$\cdot$분석하였으며 청감실험과 ACF 분석을 통해 강의실 요해도와의 상관관계 규명하였다

  • PDF

Mathematical modeling approach for classroom assignment problem (수리적 모델링을 통한 강의실 배정문제 해법에 관한 연구)

  • Ahn, Nams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0
    • /
    • pp.580-587
    • /
    • 2017
  • Recently, as the education population of Korea has been rapidly declining, many changes have been taking place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Especially, community college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have responded to these crises through various educational changes, such as three-year study transfers, work-parallelism, and employee commissioned education. However, such changes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causing a new type of classroom allocation problem, in which it is difficult to assign the limited number of classrooms to the major courses.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constraints involved in assigning classrooms into absolute constraints and relative constraints, mathematically modeled them, and allocated the classrooms optimally through optimization software.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and enabled us to obtain superior results in terms of the various performance indices (classroom utilization rate, teacher satisfaction, etc.) than when assigning classrooms in the normal way.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USN technology (USN을 적용한 강의실 조명 전원 관리 시스템)

  • Ha, Eun-Yong;Hong, Sung-Mo;Lee, Eun-Chul;Choi, Hyun-Jin;Son,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500-504
    • /
    • 2007
  • CPMS(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층별 강의실 조명 전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강의실에는 조도를 센싱하는 모트와 조명 전원을 제어하는 모트가 설치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 및 강의실 전원 상태를 주기적으로 CPMS서버에 보고한다. CPMS 서버는 베이스 모트를 통해 각 강의실의 방의 제어 모트들과 통신하고 전원을 제어하고, 윈도우즈 GUI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트의 상태를 표시하고, 강의실 사용에 대한 스케줄을 입력하여 관리한다. 본 논문에서 CPMS는 모트간의 통신은 IEEE 802.15.4/Zigbee모듈을 사용하여 구현했고 서버소프트웨어는 윈도우즈 시스템을 기반으로 C# 언어와 MS SQL Server로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장치들 간의 통신이 모두 무선으로 이루어지므로 설치가 쉽고, 유선 공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한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선 공사가 난감한 기존 빌딩에서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Improvement of lecture room light by pattern search method (Pattern Search법을 이용한 강의실 조명 향상)

  • Shim, Yong-Sik;Choi, Hong-Kyoo;Park, Seung-Won;Seo, Beom-Gwan;Lim, Myung-Hwan;Shin,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0a
    • /
    • pp.89-92
    • /
    • 2008
  • Lecture room, space for student to study, need to get exactly information and show up what students are required So, problems for illuminated environments are low effect of studying, and that students may get weak-sighted. Research is required to get enough lighting for lecture room which students spend most their time. If we compare lighting system for recent college lecture room with computer simulation, lighting system at the lecture room with down light will be improve intensity of illumination. Therefore we can get economical benefit and save energy.

  • PDF

A Comparative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Active Learning Classroom vs. Fixed Classroom (Active Learning Classroom과 고정식 강의실에서의 플립러닝 비교 사례연구)

  • Lee, Sang-Eun;Song, Bong-Shik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4 no.2
    • /
    • pp.295-303
    • /
    • 2022
  • This study compares two cases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in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LC) and fixed classroom of advanced engineering education. To this end, the difference in pre-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between ALC and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were compa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in ALC flipped learning watched more video lectures for pre-learning than those in the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and achieved higher scores on final tests, though they obtained lower points on midterm exam. In addition, examination of class satisfaction with questions about class factors, instructor factors, and overall satisfaction revealed that ALC flipped learning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all factors than the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he ALC environment, a learning space built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for flipped learning that requires active interaction in th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