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도 검증

Search Result 2,801,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Shear Strength Evaluation of Unreinforced Masonry Walls Using Pushover Analysis (푸쉬오버 해석을 통한 비보강 조적벽체의 전단강도평가)

  • Lee, Jung-Han;Kim, Hye-Won;Kim, Jin-Seon;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746-74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비보강 조적조에 대한 부재 비선형거동 및 비탄성힌지 속성을 고려할 수 있는 midas GEN Ver.741(해외판) 프로그램에 의한 비보강 조적벽체의 푸쉬오버 해석결과와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전단강도평가를 비롯하여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역량스펙트럼 해석 프로그램을 검증하고자 한다. midas GEN Ver.741(해외판) 프로그램의 사용성 검증을 위하여 조적벽체의 축하중, 형상비, 쌓기방법(두께) 그리고 개구부 유무를 변수로 한 10개의 비보강 조적벽체의 전단강도를 비교 평가한다. 비보강 조적벽체에 대한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각 시험체별 전단강도 값이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며 국내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에 대한 해석방법으로 본 프로그램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study of Design and Certification for Reduced Speed in Valve (밸브의 감속기 검증 및 설계에 관한 연구)

  • 이명재;안태현;김윤철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1-1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유체기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홀로제트밸브의 감속기에 대하여 APM S/W로 시뮬레이션(simulation) 하였다. 수압과 외부의 힘에 의해서 전달되는 베벨기어의 설계검증 및 재설계 관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도면의 재원을 변경시키지 않고 기어의 수명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SM45C를 Martempering하여 사용할 시 기어의 수명이 짧아 적절치 못하였고 고주파열처리강, 질화열처리강을 사용할 경우 기어의 수명시간이 12,957-20,983시간 이였고 침탄강을 사용할 시 기어의 수명은 영구적이었고 소재의 경도가 우수할수록 더 많은 허용굽힘응력과 허용접촉응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된다. 그리고 기어의 검증결과로 기어를 다시 설계할 경우 고주파나 질화강으로 하여 기어의 잇수가 1-3개만 늘어나고, 피치원의 지름이 4-12mm늘어나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침탄강을 사용할 시 치폭이 3mm줄어들고, 기어 잇수가 1-3개 줄어들고 피치원의 지름이 4-13mm 줄어들어 감속기를 경량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Online Learning Platform Usability on Course Satisfaction (대학 비대면 강의 플랫폼 이용성이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yun Soo Chae;Jee Yeon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8 no.1
    • /
    • pp.225-254
    • /
    • 2024
  •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platform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The literature review facilitated the summarization of maj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development process and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The follow-up survey verified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constituents regarding the fulfillment of the university online learning platforms' user interface principles, platforms' usability, satisfaction with platform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tested and modeled by analyzing survey results. We also confirmed that the same model can be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learners and various types of online learning metho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verifying that the fulfillment of the platforms'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can affect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using the platforms based on learners' evaluation results. We expect that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Multi-scale Model for Concrete Strength Estimation using Intelligent Self-diagnostic sensor (지능형 자가진단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강도추정을 위한 다중스케일모델 개발)

  • Kim, Dong-Jin;Park, Woong-Ki;Lee, Chang-Gil;Hong, Seok-Inn;Park,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03-306
    • /
    • 2011
  • 본 논문은 콘크리트의 양생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매립형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임피던스 및 유도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 강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임피던스 및 유도초음파 신호는 구조물의 물성을 나타내며 특히 양생 기간 중 임피던스 및 유도초음파의 변화는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매립형 압전 센서로부터 저비용의 셀프 센싱 기반 임피던스 및 유도초음파를 계측하여 콘크리트의 임피던스 공진 주파수 및 유도초음파의 전달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통하여 콘크리트 양생 강도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기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계 압축강도 30MPa의 콘크리트 슬라브 내부에 매립형 압전 센서를 매립하고 양생기간 동안 임피던스 및 유도초음파 신호를 측정, 비교 분석 하였다. 측정된 신호 및 압축강도를 통하여 임피던스 및 유도초음파 기반 강도 추정 모델을 도출하고 보다 높은 정확도를 얻기 위해 다중스케일 강도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매립형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양생 강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 PDF

CE형 원전연료 부품의 국산 시제품에 대한 구조강도 및 특성시험

  • 송기남;서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33-38
    • /
    • 1996
  • 영광 3,4호기용 원전연료에 사용되는 구조용 부품들 중에서 coil형 Holddown spring을 포함한 Upper end fitting assembly, Lower end fitting 등을 국내에서 제조할 수 있는 제조공정이 대우 정밀(주)에서 개발되었다. 이 공정에서 제조한 시제품들에 대하여 기계/구조적인 설계 관점에서 요구되는 제 조건들의 만족 여부를 구조강도 및 특성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검증시험 결과 주조제품인 Holddown plate 및 Lower end fitting은 주조물에서 요구되는 제기준과 기계/구조적인 설계 관건에서의 구조적 강도요건을 만족하고 있었고 coil형 Holddown spring의 특성이 설계 요구범위내에 있음이 확인됨으로서 향후 생산될 원전연료에는 금번에 개발된 공정으로 제조될 부품들이 사용필 수 있으리라 전망된다.

  • PDF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고속화차 대차프레임의 정하중시험 및 진동가속도 측정시험

  • 홍재성;함영삼;백영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4-114
    • /
    • 2004
  • 주)태양금속에서 고속화차 용접구조형 대차를 채택하여 화차론 제작하였는데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대차의 구조강도론 검증하기 위해 구조해석을 시행한 후 스트레인게이지를 실재 대차에 장착하여 정하중 시험을 시행하였고 또한 진동가속도계를 차체 및 대차프레임에 장착하여 주행안전성과 관련된 진동성능시험을 시행하였다. 본 논문은 새로 개발된 용접구조형 대차 및 이를 장착한 화차에 대해 대차프레임의 강도 검증과 화차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을 시행한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중략)

  • PDF

Category-Based Feature Inference: Testing Causal Strength (범주기반 속성추론: 인과관계 강도의 검증)

  • JunHyoung Jo;Hyung-Chul O. Li;ShinWoo Kim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1
    • /
    • pp.55-64
    • /
    • 2023
  • This research investigated category-based feature inference when category features were connected in common cause and common effect causal networks. Previous studies that tested feature inference in causal categories showed unique inference patterns depending on causal direction, number of related features, whether the to-be-inferred feature was cause or effect, etc. However, these prior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inference pattens that arise from causal relations, and few studies directly explored how the effects of causal relations vary depending on causal strength. We tested feature inference in common cause (Expt. 1) and common effect (Expt. 2) causal categories when casual strengths were either strong or weak. To this end, we had participants learn causal categories where features were causally linked and then perform feature inference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causal strengths as well as causal relations had important impacts on feature inference. When causal strength was strong, inference for common cause feature became weaker but that for the common effect feature became stronger. Moreover, when causal strength was strong and common cause was present, inference for the effect features became stronger, whereas the results were reversed in common effect networks. In particular, in common effect networks, casual discounting was more evident with strong causal strength. These results consistently demonstrate that participants consider not only causal relations but also causal strength in feature inference of causal categories.

Numerical Analysis Method for Target Strength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표적강도 수치해석 기법 개발과 실험적 검증)

  • Choi Y. H.;Kim J. S.;Shin K. C.;You J. S.;Joo W. H.;Kim Y. H.;Park J. H.;Choi S. M.;Kim W. S.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71-174
    • /
    • 2004
  • 표적강도는 수중 산란체의 능동 탐지 확률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중 하나이며 산란체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결정이 되기 때문에 수치해석을 통한 해석 및 예측이 가능하다. 수치해석 기법은 현재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그중 Kirchhoff approximation이 다른 해석 기법에 비해 거울면 반사특성의 산란해석에 적합하며, 프로그램으로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점에 의거하여 Kirchhoff approximation을 이용하여 표적강도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성능 검증은 원통형 산란체에 대한 이론해 검증과 원통형 실험 산란체를 통한 실험 검증을 수행하였다.

  • PDF

Building of cyanobacteria forecasting model using transformer (Transformer를 이용한 유해남조 발생 예측 모델 구축)

  • Hankyu Lee;Jin Hwi Kim;Seohyun Byeon;Jae-Ki Shin;Yongeu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5-515
    • /
    • 2023
  • 팔당호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여 생성된 호소로 수도인 서울과 수도권인 경기도 동부지역의 물 공급을 담당하는 중요한 상수원이다. 이러한 팔당호에서 유해남조 발생은 상수원수 활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관리 및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상수원 활용을 위해,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유해남조 사전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모델 입력 변수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의 주간 팔당호 수질(수온, DO, BOD, COD, Chl-a, TN, TP, pH, 전기전도도, TDN, NH4N, NO3N, TDP, PO4P, 부유물질)과 수문(유입량, 총방류량), 기상 정보(평균기온, 최저기온, 최고기온, 일 강수량, 평균풍속, 평균 상대습도, 합계일조량), 그리고 북한강과 남한강 유입지점의 남조 세포 수를 사용하였다. 모델 출력 변수는 수질, 수문, 기상 요인으로 인한 남조의 성장 발현 시기를 고려하여 1주 후의 댐앞 남조 세포수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딥러닝 기법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Temporal Fusion Transformer (TFT)를 사용하였다. 모델 훈련용 데이터와 테스트용 데이터는 각각 8:2의 비율로 나누었으며, 검증용 데이터는 훈련용 데이터 내에서 훈련 데이터와 검증 데이터를 6:4 비율로 분배하였다. Lookback은 5로 설정하였고, 이는 주단위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세트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모델의 성능은 실측값과 예측값을 토대로 R-square와 Root Mean Squared Error (RMSE)를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모델학습은 총 154번 반복 진행되었으며, 이 중 성능이 가장 준수한 시점은 54번째 반복 시점으로 훈련손실 대비 검증손실이 가장 양호한 값을 나타냈다(훈련손실:0.443, 검증손실 0.380). R-square는 훈련단계에서 0.681, 검증단계에서 0.654였고, 테스트 단계에서 0.606으로 산출되었다. RMSE는 훈련단계에서 0.614(㎍/L), 검증단계에서 0.617(㎍/L), 테스트 단계에서 0.773(㎍/L)였다. 모델에 사용한 데이터세트가 주간 데이터라는 특성을 고려하면, 소규모 데이터를 사용하였음에도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델의 성능은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 데이터세트를 보강하고 모델을 업데이트한다면, 모델의 성능을 더욱더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ater-Age Strength Prediction of Concrete With Curing Temperature (양생온도에 따른 콘크리트 장기강도 예측)

  • 김진근;문영호;양주경;송영철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3
    • /
    • pp.153-164
    • /
    • 1998
  • 본 연구는 양생온도의 영향에 따른 콘크리트의 장기강도 예측식을 개발하고, 기존에 보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식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제안식은 반응률상수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장기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양생온도에 따른 확산장벽의 효과를 고려하였다. 제안식을 검증하기위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28일 상대강도의비로바꾸어 -0.6~59.7$^{\circ}C$ 범위의 8개의 평균 양생온도에 대해서 회귀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통해 제안식의 온도 영향계수인 반응율상수, 한계강도, 반응지수를 양생온도에 따른 함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제안식은 기존의모델식에 비해 신뢰성이 높았으며, 초기재령에서는 기존의 모델식등과 큰 차이를나타내지 않았으나 장기재령으로 갈수록 제안식의 정확도가 크게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