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염율

검색결과 1,155건 처리시간 0.026초

천궁에 감염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엽맥황화바이러스 제거를 위한 리바비린 처리 효과 (Ribavirin Treatment for Efficient Cucumber mosaic virus and cnidium vein yellowing virus Elimination in Cnidium officinale in vitro Shoots)

  • 안찬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50
    • /
    • 2020
  • 본 연구는 천궁에 감염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와 천궁엽맥황화바이러스(CnVYV)의 제거를 위해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 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천궁 기내식물체의 생장점을 절취 후 항바이러스제 농도를 달리한 배지에서 생육을 유도한 후 RT-PCR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 검출율을 조사하였다. 리바비린을 40 mg l-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바이러스 검출 종 수는 1.1종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동일조건에서 CMV와 CnVYV-2의 검출율은 무처리구 대비 각각 1/5과 1/2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리바비린 처리에 따른 CnVYV-1의 검출율은 감소하지 않았다. 리바바린 처리 농도에 따른 생존율은 처리구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40 mg l-1 리바비린 처리구에서 신초 발생 수와 신초 길이는 무처리구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리바비린 처리를 통해 CMV와 CnVYV-2가 미검출된 23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추가적인 바이러스 검정 단계를 거쳐 무병묘 생산에 활용될 것이다.

  • PDF

뉴스페이지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13권2호통권123호
    • /
    • pp.44-47
    • /
    • 1989
  • PDF

Fibricola seoulensis와 요꼬가와흡충에 혼합 감염된 흰쥐에서 충체 회수율과 소장 병변 (Worm recovery rate and small intestinal lesions of albino rats coinlected with Fibricola seoulensis and Metaqonimus yokogawai)

  • 홍성종;우호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09-116
    • /
    • 1993
  • Fibriuraseouensis와 요꼬가와흡충을 흰쥐에 혼합감염시키고 충체 회수율과 소장 병 변을 각 충체를 단독 감염시켰을 때와 비교하였다. 동시 감염군은 흰쥐 한 마리에 두 흡충의 피낭유충을 각각 1,000개씩 감염시키고 20일 후에 도살하였다. 도전 감염군은 F. seoulensis 피낭유충을 1,000개씩 감염시키고 10일 후에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층 1,000개씩으로 도전 감염 시켰으며 그 10일 후에 도살하였다. 동시 감염 군에서 F. seoulensis와 요꼬가와흡충은 각각 평균 250마리와 118 마리가 회수되어 단독 감염군과 아주 비슷하였지만 F.seoulensis의 경우 십이지장에서 평균 223마리로 단독 감염 군보다 높았으며 공장에서는 26마리로 낮았다. 도전 감염군에서 F. seoulensis의 총 충체 회수율은 단독 감염군과 비슷하였으며 부위별로는 동시 감염군과 같았으나 요꼬가와흡충은 평 균 69마리가 회수되어 단독 감염 군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십이지장에서 평균 7마리, 공장에서 평균 45마리, 회장에서 평균 17마리가 회수되어 기생부위가 넓어겼고 공장보다 회장에서 더 많은 충체가 회수된 단독 감염군과 달랐다. 동시 감염군에서 십이지장의 융모는 비후, 융합, 단축이 흑 seodenis 단독 감염군에 비하여 매우 심하였으며 선와 상피세포가 과증식되었으나 기질층의 염증 세포 침윤은 덜했다. 공장과 회장의 융모 위축은 요꼬가와흡충 단독 감염 군보다 가벼웠다. 도전 감 염군은 동시 감염군과 유사하였으나 십이지장의 선와 상피세포 증식은 심하지 않았으며 공장과 회장의 접막하조직에 염증반응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소장 상부에 먼저 기생하고 있는 F. seoulensis는 소장응모의 위축과 염증을 일으켜 나중에 감염되는 요꼬가와흡충에게 불리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이 흡충이 소장 하부에 정착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 PDF

대두 갈색무늬병에 의한 수량감소의 평가 (Assessment of the Soybean Yield Reduction due to Infection of Septoria Brown Spot, Septoria glycines Hemmi)

  • 오정행;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4
    • /
    • 1983
  • 2년간에 걸쳐 조사한 대두의 수량감소는 갈색무늬병을 접종한 경우 농약 살포구에 비해 $15.7-16.4\%$ 감소 차였으며 자연감염의 경우에는 $8.2-9.2\%$의 감소를 나타냈다. 갈색무늬병의 감염은 초장, 주당절수(株當節數), 주당분지수(分枝數)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주당협수(狹數)와 종실중(種實重)에는 현저한 감소 현상을 보였다. 대두의 수량감소율을 갈색무늬병의 이병율과 정(正)의 상관을 보였으며 그 상관도는 Van der Plank's infection rate (0.156) 보다는 병 진전국선면적(AUBC) 과의 상관도가 높았다$(r=0.388^*)$. 병진전곡선 면적으로 표시된 갈색무늬병의 감염율과 대두수량 감소율과의 관계는 y=4.38+0.5X $(r=0.686^{**},\;df=25)$으로 나타났다.

  • PDF

Toxoplasma 감염 마우스에 있어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의 투여 효과 (Prophylactic effects of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in Toxoplasma-infected mice)

  • 이영하;이두용;신대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63-370
    • /
    • 1993
  • Toxoprqsmagonnii의 강독주(RH주) 혹은 약독주(Beverley주)를 마우스에 감염시킴과 동시에 trimethoprim-sulfamethoxazole(TMP-SMZ)을 투여하여 Toxoplasma 감염 마우스에 있어 서 TMP-SMZ의 감염 예방효과를 마우스의 생존기간과 생존율. 면역혈청학적 반응 및 뇌조직내 씨스트의 수로 평가한 후 감염대조군 및 spiramycin 투여군과 비교하였다. T. gondii의 RH주를 감염시킨 마우스(마우스당 $1{\;}{\times}{\;}10^5$개의 tachyzoite를 감염)에 TMP-SMZ을 투여시 마우스의 생존기간은 감염대조군이나 spiramycin 투여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 < 0.01), TMP-SMZ의 투여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생존기간 및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마우스당 24 mg/day 이상 15일간 투여시 100% 생존하였다. T. gondii의 Beverley주를 감염시킨 마우스(마우스당 10개의 씨스트를 감염)의 혈청내 IgG 및 IgM 항체가는 TMP-SMZ 투여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TMP-SMZ을 마우스당 24 mg/day 이상 투여시 뇌조직내에서 씨스트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spiramycin 투여군은 감염대조군과 유사한 항체가를 보였으며 감염 후 20일부터 씨스트가 발견되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TMP-SMZ은 T. gondii의 강독주나 약독주 감염 마우스에 투여시 감염 예방효과가 있었다.

  • PDF

진균(Fungus)에 감염된 질증 환자에서 젖산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ctobacilli associated with Fungus Infection in Vaginosis)

  • 박미순;장병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2
    • /
    • 2015
  • 질염 환자의 질분비물 도말에서 광학현미경상에서 고배율로 관찰한 결과 정상 상피세포에서는 질내 정상 pH를 유지하기 위해 무수한 젖산균의 존재를 확인할수 있었다. 그러나 저배율, 고배율의 광학현미경상에서 진균에 감염된 세포 주변에서 젖산균(lactobacilli)은 관찰되지 않았다. 주사전자 현미경 상에서 Candida albicans는 기능을 탈락한 상피세포의 세포질에 기생하며, biofilm의 성장환경을 만들며, budding을 통해 2차 딸세포를 형성하며, 성장과 증식을 끊임없이 반복함을 확인하였다. 성장과 재생이 주기적으로 일어나지 않은 면역력이 약화된 임산부나, 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한 위축성 질염 환자는 상피세포층이 떨어지면서 나오는 글리코겐을 이용해 질내에 존재하는 lactobacilli균이 젖산을 풍부하게 만들 수 없으므로 감염증 발생이 더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에서 발생하는 돼지 Eperythrozoon증

  • 임병무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7권6호
    • /
    • pp.52-55
    • /
    • 1981
  • 현재까지도 본질병의 원인체인 Eperythozoon에 대한 생활환 감염경로 및 매체등 역학적인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에서는 본증의 연구 조사가 거의 전국적 규모에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인데, 본인등이 건강돈으로 도살되는 성돈에서 $72\%$의 자연 감염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단위 양돈장에서 높은 자돈의 치사율을 보이는 본증의 유행상을 경험한 점을 감안할때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효과적인 양돈사업의 육성을 위해서 본질병에 대하여 더욱 관심과 연구를 집중해야 될 줄 믿는다. 또한 본 원인균은 일반 전염병 치료제로 많이 애용되는 Sulfa제나 항생제에 대하여 전혀 감수성이 없으며 매독성이 비소제인 Arsphenamine만이 특효가 있다. 점도 임상수의사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항이면, 보다 저독성이며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도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라 하겠다.

  • PDF

티벳버섯(Tibetan mushroom)에서 분리한 EPS(Exopolysaccharide)가 로타바이러스의 MA-104 세포 감염에 미치는 영향

  • 김태진;송진욱;김현철;신희철;이종익;유제현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88-390
    • /
    • 2004
  • 본 연구는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 Lab. acidophilus, Lab. brevis)과 효모(Candida kefyr, Cryptococcus albidus, Pichia ohmeri)등이 주요 균총인 티벳버섯 배양액에서 crude EPS를 분리하여, 로타바이러스의 MA-104 세포감염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분리된 crude EPS는 0.0026${\sim}$0.363%의 농도에서 MA-104 세포에 대해 독성효과가 없었다. 로타바이러스 Wa, S2, YO의 MA-104 세포 감염에 대해 EPS 0.0026%의 농도에서는 9.11${\sim}$20.06%의 억제율을 보였고, EPS 0.33%의 농도에서는 23.69${\sim}$38.09%의 억제율을 보였다.

  • PDF

경기지방 소의 Buxtonella sulcata 감염 실태 (Incidence of Buxtonella sulcata from cattle in Kyonggi-do)

  • 홍기옥;윤희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2호
    • /
    • pp.135-138
    • /
    • 1995
  • 1984년도와 1994년도에 경기지방의 소분변 792두와 293두분을 조사한 결과 266두 (33.6%)와 101두(34.5%)에서 Buxtonelaa sulcata의 포낭이 분리되었다. 역종별로 조사한 바 종모우가 85.9%와 64.2%. 유우가 44.8%와 9.4%. 한우가 7.5%와 14.9% 그리고 비육우가 1.8%의 감염율을 보였다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봄철은 62.5%와 27.8%, 여름은 20.1%와 66.7%, 가을은 21.3%와 0%, 겨울은 34.8%와 64.6%의 감염율을 보였다. 소분변의 성상에 따라서 조사한 결과 B. sulcata가 감염되지 않은 소 526두와 192두 중 37.6%(198두)와 32.3%(62두)가 그리고 감염우 266두와 101두 중에서는 69.1% (184두)와 55.5% (56두)가 설사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