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쇄기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16초

벽식마찰감쇄기의 개발 및 R/C 골조구조물에의 해석적 적용 (Development of Frictional Wall Damper and Its Analytical Applications in R/C frame Structures)

  • 조창근;박문호;권민호;강구수;서상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718-72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R/C 골조구조물에 대한 내진성능개선 방법으로서, 벽식 마찰 감쇄기 모델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기존의 감쇄 장치가 일반적으로 브레이스 부재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브레이스형 감쇄장치는 시공상 강골조구조물에는 적용하기 용이한 반면 R/C 골조구조물에 적용 시에는 R/C 구조부재와 감쇄기간의 연결 문제, 감쇄기와 R/C 부재 연결부에서의 응력집중으로 인한 R/C 구조부재의 파손 우려 등의 단점이 있다. 제안된 감쇄기는 감쇄기 연결부의 R/C 구조부재 파손 및 구조물의 P-Δ효과를 줄이는데 장점을 가지면서 감쇄기로서의 역할을 발휘하도록 한 테프론 슬라이더와 R/C 전단벽 조합형 감쇄기이다. 제안된 감쇄기의 내진성능개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감쇄기의 수치모델을 고려한 R/C 골조구조물의 비선형 동적해석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기존의 10층 3경간 R/C 골조구조물에 본 감쇄기를 적용한 수치해석 결과, 시간이력거동 및 층간변위의 억제에서 탁월한 제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층 기둥 부재의 소성힌지 발생 및 구조부재의 손상을 감쇄기의 소산에너지로 억제하여 줌으로서 구조물 내진성능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u-대역 위성중계기용 전압제어형 PIN 다이오드 감쇄기 및 온도보상회로 설계 (Voltage-Controlled PH Diode Attenuator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for Ku-band Satellite Payload)

  • 장병준;염인복;이성팔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84-49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Ku-대역 위성통신 중계기에 사용되는 전압제어형 PIN 다이오드 감쇄기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이 감쇄기의 온도 특성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온도보상회로를 제안하였다. PIN 다이오드 감쇄기는 박막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PIN 다이오드 감쇄기를 전압제어형으로 사용할 경우 최대 선형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부하 저항(R$_{L}$)의 값을 Simulation 및 실험에 의해 결정되었다. 최적의 부하 저항값은 사용한 PIN 다이오드의 특성에 의해 달라지며, 본 논문에서 사용한 APD-0805의 경우 150$\Omega$의 부하저항으로 PIN 다이오드 한 개에 10 dB 까지 선형 감쇄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부하 저항을 포함한 PM 다이오드 감쇄기의 온도 특성을 측정하였고, 측정결과 관찰된 PIN 다이오드 감쇄기가 전압제어형으로 사용되어질 경우의 가장 큰 단점인 온도 특성의 심각한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온도보상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온도보상회로를 갖는 PIN 다이오드 감쇄기는 동작온도에 대해 선형적인 특성을 보이며 동작온도 범위에 걸쳐 0.6 dB 이하의 오차만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리카 겔의 소수화 코팅 혼합 정도에 따른 나노 충격 흡수 장치의 이력 현상에 대한 기초적 연구 (Basic Study of the Hysteresis of a Nano Shock Absorbing Damper by Employing Mixed Lyophobic Coating Silica Gel)

  • 문병영;김흥섭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59-6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 감쇄 기능을 활용한 내진용 감쇄기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구조물에 사용되는 기존의 유체 감쇄기를 대체하는 무기재료를 이용한 새로운 감쇄기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하였다. 완충역할을 하는 입자로는 미로구조를 가지는 실리카겔을 사용하였으며, 입자에 관련한 작동 유체로는 물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콜로이드 감쇄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형성된 실리카 겔 입자의 표면을 유기 실리콘 매질을 이용한 소수화 코팅 처리를 하였다. 콜로이드 감쇄기의 이력곡선은 서로 다른 소수화 코팅 처리가 된 입자의 혼합과 소수화 처리시의 분자간 거리에 의해서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콜로이드 감쇄기의 에너지 소산양은 상이한 소수화 처리 정도와 서로 코팅처리량이 서로 다른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어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유압 감쇄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이러한 특징은 콜로이드 감쇄기가 충격 흡수 장치로 사용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실리카 분말을 이용한 나노 충격완화 장치의 설계에서 작동 유체 영향과 복원 시간에 대한 연구 (Effect of Water Volume and Relaxation Time in the Design of Nano Shock Absorbing Damper Using Silica Particle)

  • 문병영;김병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86-29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 감쇄 기능을 활용한 감쇄기 개발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하였다. 기계 구조물에 사용되는 기존의 유체 감쇄기를 대체할 수 있는 무기재료를 이용한 새로운 감쇄기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감쇄기 설계와 실용화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완충역할을 하는 입자로는 미로구조를 가지는 실리카겔을 사용하였고, 입자에 관련한 작동 유체로는 물을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콜로이드 감쇄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형성된 실리카겔 입자의 표면을 유기 실리콘 매질을 이용한 소수화 코팅 처리를 하였다. 콜로이드 감쇄기의 에너지 감쇄량과 효율을 작동 유체에 대하여 각각 구하여 유효한 감쇄 효과를 입증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압축해제에 걸리는 시간을 조사하여 기존의 유압 감쇄기와 비교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감쇄기의 기능이 우수함이 입증되었다.

최대 -110dBm 감쇄기능을 제공하는 능동형 광대역 RF 감쇄기 (Broadband Active RF Attenuator with Maximun Attenuation of -110dBm)

  • 백정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65-67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50MHz에서 2.15GHz 대역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최대 -110 dBm 까지 신호 레벨을 감쇄시키는 능동형 감쇄기의 구현 기술을 제안한다. 구현되는 능동형 감쇄기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해 PC와 연결되어 PC상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신호의 주파수 및 최소 1 dB의 감쇄 스텝이 설정된다. 감쇄기는 입력신호를 최대 -110 dBm 수준까지 감쇄시켜 출력하므로 외부잡음의 유입과 내부 블록간의 잡음 방사를 제어시키는 회로 기술과 기구 설계 기술을 적용한다. 감쇄기의 성능 시험을 통해 -10 ~ -30 dBm 수준의 입력신호에 대하여 목표성능인 -110 dBm 수준까지 신호 감쇄가 이루어짐을 확인한다.

프로펠러 감쇄기를 이용한 고속정 진동 감소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the Vibration in PKM Using a Propeller Damper)

  • 김혜진;이근화;성우제;표상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3-110
    • /
    • 2008
  • 작전 수행시 고속으로 운행해야 하는 고속정의 경우 프로펠러에 의한 진동이 크게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승조원의 근무환경이 악화되고 피탐 가능성이 증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펠러에서 기인하는 고속정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프로펠러 감쇄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프로펠러 감쇄기는 프로펠러 변동압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선체의 하부평판의 일정영역을 고립시키는 (isolated) 방식으로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펠러 감쇄기를 높은 감쇄비를 갖는 고립된 평판으로 단순화시켜 프로펠러 변동압력에 대한 DnV식과 유한요소 모델 (ANSYS)을 이용해 고속정의 선미부에 대해 진동해석을 실시했다. 이 해석을 통해 감쇄기의 감쇄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제 고속정에 측정된 실측자료를 근거로 프로펠러 감쇄기 장착후의 격실별 진동가속도 감소율을 예측하였다.

미소 감쇄 시스템에 대한 감쇄 주입법을 이용한 외란 관측기 설계 (Disturbance Observer for the Low Damped System using Damping Injection Method)

  • 주영준;심형보;서진헌;이찬화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73-74
    • /
    • 2008
  • 이 논문은 두 개의 질량을 가진 미소 감쇄 시스템에 대해 외란 관측기 기반 추종 제어기의 강인성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감쇄 주입법(damping injection)을 제시한다. '미소 감쇄'란 감쇄 계수가 다른 파라미터들과 비교해서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라미터에 불확실성을 가진 미소 감쇄 시스템에 대한 외란 관측기의 적용은 전체 시스템을 불안정성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관측할 수 있기에, 외란 관측기의 구조 중 공칭 (Nominal) 모델에 인위적으로 더 많은 감쇄를 추가함으로써 강인성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강인 제어 이론의 제로 익스클루젼(zero exclusion) 정리를 이용하여 감쇄 주입법의 안정성을 증명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UHF대역 3-dB 커플러(Coupler)를 이용한 가변 감쇄기(Attenuator)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UHF-band Variable Attenuator Using the 3-dB Coupler)

  • 박경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68-74
    • /
    • 2001
  • UHF 대역에서 동작하는 3db-커플러(Coupler)를 이용한 가변 감쇄기(Variable Attenuator)를 설계하고 제작한다. 가변 감쇄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9$0^{\circ}C$, 3dB-커플러를 사용한다. 커플러를 이용한 가변 감쇄기의 동작 원리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수학적 해석(Mathematical Analysis)을 통하여 가변 감쇄기 제작에 사용할 3dB 커플러를 시뮬레이션(Simulation) 등을 통하여 설계한다. PIN 다이오드(Diode)를 이용한 가변저항(Variable Resistor)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설계하고, 직접 제작하여 네트웍 분석기(Network Analyzer)를 통하여 측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최저 삽입손실(Insertion Loss) -l0dB, 연속적인 가변 최대 감쇄(Attenuation) 10dB를 얻을 수 있다.

  • PDF

전압제어형 PIN 다이오드 감쇄기 설계를 위한 새로운 PIN 다이오드 모델 (A New PIN Diode Model for Voltage-Controlled PIN Diode Attenuator Design)

  • 장병준;염인복;이성팔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27-1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전압제어형 PIN 다이오드 감쇄기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PIN 다이오드 모델을 제안하였다. 종래의 PIN 다이오드 모델의 문제점인 DC해석과 전압/감쇄 특성의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종래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PIN 다이오드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간단한 구성으로 상용 시뮬레이터에 쉽게 삽입되어질 수 장점이 있다.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압제어형 감쇄기를 설계하여 DC특성과 입력전압에 따른 감쇄특성을 실험한 결과 제시된 모델이 종래 모델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압제어형 감쇄기를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모델은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다양한 초고주파 회로 설계시 적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체 두뇌 보호를 위한 무선 전화기용 Corrugate 유전체 칩 전자파 감쇄기 (Wave Attenuator for Human Brain Protection to be et Wireles Phone Hand Set by Corrugate Ceramic Chip)

  • 손태호;김성복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907-913
    • /
    • 2000
  • 세라믹 강 유전체를 이용한 corrugate 구조의 으 전극으로 마들어지 유전체 칩에 의한 전자파 감쇄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이 감쇄기의 감쇠는 corrugate 구조에 의한 전파모드 차단조건으로부터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근거리 프로브 측정 및 SAR 측정에 의한 결과는 셀룰라 밴드인 824∼849MHz에서 3.6∼5dB, PCS 밴드인 1750∼1780 MHz에서 4∼5dB의 감쇠를 얻었다. 또한 감쇠 범위는 휴대폰 정면을 중심으로 ±35°이외는 감쇠가 없으므로 통화기 통화품질의 저하가 거의 없음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