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duction of the Vibration in PKM Using a Propeller Damper

프로펠러 감쇄기를 이용한 고속정 진동 감소방안 연구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Strategically, the Patrol Killer Medium (PKM) ought to run at high speed that produces largely vibration by propeller, in a consequence, the vibration gradually deterioratescrews' working condition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SONAR det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ropeller damper, which is one of waysto reduce the vibration induced by the propeller, and simulate the ability of the damper numerically. The propeller damper was designed to apply to an isolated plate at the bottom flat board of ship which is directly affected by the fluctuating pressure. The dynamic pressure for the stern part of the PKM is calculated by using the DnV rule and the numerical analysis when the propeller damper applied or not, is performed with ANSYS at the isolated plate that simplified. From the analysis, the damping effect of the proposed propeller damper is confirmed and the reduction ratio for each compartment is estimat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in the PKM.

작전 수행시 고속으로 운행해야 하는 고속정의 경우 프로펠러에 의한 진동이 크게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승조원의 근무환경이 악화되고 피탐 가능성이 증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펠러에서 기인하는 고속정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프로펠러 감쇄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프로펠러 감쇄기는 프로펠러 변동압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선체의 하부평판의 일정영역을 고립시키는 (isolated) 방식으로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펠러 감쇄기를 높은 감쇄비를 갖는 고립된 평판으로 단순화시켜 프로펠러 변동압력에 대한 DnV식과 유한요소 모델 (ANSYS)을 이용해 고속정의 선미부에 대해 진동해석을 실시했다. 이 해석을 통해 감쇄기의 감쇄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제 고속정에 측정된 실측자료를 근거로 프로펠러 감쇄기 장착후의 격실별 진동가속도 감소율을 예측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태영, 허주호, 한성용, 이호성, 최종필, 정균양, 김병현, 김영복, "선박진동제어기술에 관한 국내 관련기관 현황," 대한조선학회지 31(3), 6-15, 1994
  2. 김사수, 한성용, 엄재광, 현명환, 김재홍, 김명현, 이도경, "선박용 동흡진기 시스템에 관한 연구,"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32(3), 1-18, 1995
  3. 조대승, 이수목, 정균양, "기계식 구동기를 이용한 선박진동의 능동제어장치 개발,"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32(4), 105-113, 1995
  4. 문석준, 정태영, "유압식 Actuator를 이용한 구조물 진동의 능동제어시스템 개발,"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32(1), 94-102, 1995
  5. 한국선급, 선박 진동.소음 제어지침 (한국선급, 대전, 1991)
  6. 설한신, 정병석, 정철웅, 이수갑, "수중 프로펠러의 비공동 소음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 추계 학술대회지, 421-426,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