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마선

Search Result 1,49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Gamma Irradiation for the Inhibition of Shrimp (Penaeus aztecus) Allergy (새우(Penaeus aztecus)의 알러지 억제를 위한 감마선 조사)

  • 김재훈;이주운;육홍선;김정옥;변명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437-441
    • /
    • 2000
  •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여 새우 알러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구(A), 감마선 조사후 가열처리구(B), 가열처리 후 감마선 조사구(C)로 실험구를 설정하고 1,3,5,7,1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A 처리구로부터 새우의 근혈장 단백질 용액과 근섬유 단백질 용액을 준비하였고, B와 C처리구에서도 각각의 단백질 용액을 준비하였다. 각 단백질 용엑에 대한 환자 IgE와 mAb 4.9.5의 결합력을 ELISA로 조사하였다. 두 항체 모두 감마선 조사구의 단백질을 용액과의 결합력이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고, 감마선 조사후 가열처리가 항체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SDS-PAGE 결과 감마선 조사된 새우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분리 pattern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 결과는 적절한 선량의 감마선 조사가 새우 알러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A Response Time of the Nuclear Emergency Preparedness Robot based on the Gamma Ray Dose-Rate Constraints (감마선 선량율 제한조건에 따른 원자력 비상대응로봇의 대응시간)

  • Cho, JaiWan;Choi, Young Soo;Kim, TaeWon;Jeong, Ky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07-810
    • /
    • 2014
  •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및 이를 이용한 환경 인식에는 많은 전자 광학 소자들이 사용되고 있다. 로봇 제어회로에 사용되고 있는 Si CMOS 공정의 CPU, ASIC, FPGA 소자는 고 선량의 감마선에 취약하다. 환경정보 수집용으로 로봇에 탑재되는 CMOS/CCD 카메라의 관측영상에는 고선량 감마선으로 인한 speckle (백색잡음, white noise) 들이 나타나며, 이들이 카메라의 관측성능을 저하시킨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와 같이 원자력시설에서 제어불능의 심각한 사고가 발생되면 고선량 감마선이 방출된다. 이러한 고선량 감마선방출은 사람에 의한 사고수습을 불가능하게 하며, 사고 수습을 위해서는 로봇의 활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방출되는 고선량 감마선의 세기(선량율)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로봇 전자회로가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로봇의 적절한 임무수행이 가능한 감마선 세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선량 감마선 환경하에서의 로봇 탑재 CCD/CMOS 카메라의 관측 성능을 고려하여 100 Gy/h 를 감마선 선량율 제한조건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재 가동 승인심사를 받기 위해 일본의 원전 운영자들이 제시한 PWR (가압경수로) 원전의 중대사고 대책 적합성 평가문서에 나타난 노심용융개시 시점의 원자로 격납건물내 감마선 선량율 추이 계산결과를 활용하여 로봇의 대응시간을 계산하였다. 문서 (PDF) 에 표현된 감마선 선량율 추이 그래프를 영상 판독하여, 격납건물내 감마선 선량율이 100 Gy/h 제한조건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이를 로봇의 대응시간으로 설정한다.

The Development of Beam Profiling System for the Analysis of Pulsed Gamma-ray Using the Electron Accelerator (전자빔가속기를 이용한 펄스감마선 출력특성 분석용 빔프로파일링 장치개발)

  • Hwang, Young-Gwan;Lee, Nam-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12
    • /
    • pp.2410-2416
    • /
    • 2016
  • Recently, most countries in the world have pursued a denuclearization. So it has been of interest to increase to Nuclear weapon in such as North Korea's continued nuclear test. Pulsed gamma rays produced in the nuclear explosion and the space environment can give the big damage to the electronic device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To confirm the extent of damage of these electronic devices, pulsed gamma irradiation facility that can occur in nuclear weapon or space environment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pulsed gamma-ray detection module and analyzed output of the irradiation test. We have experimented using an electron beam accelerator research facilities in Pohang Accelerator similar conditions to equip and Nuclear weapon.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pulsed gamma rays emitted by the gamma radiation and electron beam conversion device.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studies for utilizing pulsed gamma rays.

The development of th gamma-ray imaging and operation algorithm for the gamma-ray detection system (감마선 탐지장치의 감마선 영상화 및 운용 알고리즘 개발)

  • Song, Kun-young;Hwang, Young-gwan;Lee, Nam-ho;Yu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942-943
    • /
    • 2016
  • Stereo gamma ray detection system generates a two-dimensional image of the gamma ray by using the position values and the gamma ray signal. And the device will overlap with the visible light image shows the actual distribution of the gamma-ray space. The gamma ray detection device is a stereo configuration to a mo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ignal measurement unit and the position detection portion for detecting the detection portion and the gamma-ray signal comprising a gamma-ray detection sensor.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ystem operation management algorithm for each module individually configured efficiently. We confirmed the imaged and distribution information output for the gamma rays from gamma-ray irradiation test site by using these results.

  • PDF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for Transportable Storage Cask Material of Spent Nuclear Fuel Irradiated by Gamma Rays (감마선 조사된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 용기 소재의 물성 및 내식성에 관한 연구)

  • Lee, Gyeong-Hwang;Park, Jong-Won;Park, Sin-Hwa;Pyo, Ju-Yeong;Park,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5a
    • /
    • pp.155-156
    • /
    • 2013
  • 본 연구는 사용후핵연료 수송 저장 용기인 저합금강(SA350 LF3)에 일정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감마선 조사 전후 물성 및 내식 특성 변화와 표면처리에 의한 내식성 개선 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상온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의 기계적 물성은 감마선 조사 여부에 따라 물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저온충격 특성은 감마선 조사를 하지 않은 충격 흡수에너지에 비교하여 조사후 시험편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감소되었다. 양분극 곡선에 측정에 의해 관찰된 저합금강의 내식성은 감마선 조사된 시험편에서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시험편 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in the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감마선 이용 저염 새우젓 제조시 품질변화)

  • 이경행;안현주;이철호;김종군;신명곤;변명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430-436
    • /
    • 2000
  • 식품첨가제의 사용없이 저장성과 품질이 우수한 저염의 새우젓을 rokf하기 이한 바업으로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각각 10%, 15%, 20%로 조절한 새우젓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일반성분, 염함량, 수분활성도, pH, 총균수 및 관능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 및 발효기간 중 일반성분과 식염함량 및 수분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새우젓의 총균수와 pH는 식염농도와 감마선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변화가 적었다. 관능검사 결과, 15%의 식염 첨가와 10 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의 식염첨가와 5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를 병용처리한 새우젓을 발효시킨 경우 비조사구에 비해 적절한 미생물의 생육 억제로 저장기간 연장 효과를 보였고, 발효 10주까지도 관능적 품질이 적합하게 유지되었다.

  • PDF

Effect of Gamma-Irradiation Sterilization on the Creep and Wear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감마선 멸균처리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와 마모에 미치는 영향)

  • Lee, Kwon-Yong;Lee, Soo-Cheol;Lee, Keun-Ho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4 no.4
    • /
    • pp.1-6
    • /
    • 1998
  • 인공관절 라이너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생체재료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체내에 삽입되기 전에 멸균처리를 거쳐야 하며, 가장 보편적인 멸균방법은 감마선을 이용한 멸균처리이다. 그러나, 감마선은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에 변화를 일으키며, 따라서 물리적, 기계적 물성치에 변화를 야기시킨다. 이는 인공관절 수명을 좌우하는 변형과 마모현상에도 결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멸균처리가 UHMWPE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에 미치는 영향이 관찰되었고, 그 결과들은 감마선 멸균처리로 야기된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의 변화(Crystallinity, Oxidation, Crosslinking)와 함께 분석되었다. 압축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으로부터 원통형의 시평을 제작하여 감마선 멸균처리를 행하고, 압축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여 멸균처리하지 않은 시편을 제작하여 감마선 멸균처리를 행하고, 압축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여 멸균처리하지 않은 시편 사이에는 크리프 복원정도를 제외하고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반면에 마모의 경우, 감마선 멸균처리된 시편이 멸균처리하지 않은 시편보다 훨씬 적은 마모량을 보였다(p〈0.05). 이것은 crosslinking 증가에 따른 마모 저항력 향상으로 볼 수 있다.

Gamma-irradiated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감마선 멸균처리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 ;;Lee,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227-233
    • /
    • 1998
  • 인공관절 라이너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생체재료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체내에 삽입되기 전에 멸균처리를 거쳐야 하며, 가장 보편적인 멸균 방법은 감마선을 이용한 멸균처리이다. 그러나, 감마선은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에 변화를 일으키며, 따라서 물리적, 기계적 물성치에 변화를 야기 사려된다. 이는 인공관절 수명을 좌우하는 변형과 마모현상에도 결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멸균처리가 UHMWPE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에 미치는 영향이 관찰되었고, 그 결과들은 감마선 멸균처리로 야기된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의 변화(Crystallinity, Oxidation, Crosslinking)와 함께 분석되었다. 압출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으로부터 원통형의 시편을 제작하여 감마선 멸균처리를 행하고, 압축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여 멸균처리 하지 않은 시편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크리프 변형의 경우, 감마선 멸균처리 된 시편과 멸균처리 하지 않는 시편 사이에는 크리프 복원정도를 제외하고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반면에 마모의 경우, 감마선 멸균처리 된 시편이 멸균처리 하지 않은 시편보다 훨씬 적은 마모량을 보였다 (p<0.05). 이것은 crosslinking 증가에 따른 마모 저항력 향상으로 볼 수 있다.

  • PDF

Effect of γ-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Rice Bran and Barley Bran (감마선 조사에 의한 왕겨, 미강, 맥강의 항산화능의 변화)

  • 배성문;김정한;조철우;정태준;육홍선;변명우;이승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1 no.2
    • /
    • pp.246-250
    • /
    • 2002
  • Effect of ${\gamma}$-irradiation to cereal processed by-products was examined for antioxidative ability. Rice hull (RH), rice bran (RB) and barley bran (BB) were irradiated with 5, 10, 15 and 20 kGy of ${\gamma}$-ray at 4.2 kGy/h. The amount of total phenol compounds of unirradiated RH, RB, and BB were 0.873 mM, 0.643 mM, and 0.377 mM, respectively. Irradiation up to 20 kGy did not show noticeable effect to the amount of total phenol compounds in RH, RB and BB.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RH, RB and BB were very similar, and they were not affected by irradiation. According to TBARS analyses, the inhibition abilities of lipid peroxidation of RH and RB were not affected by ${\gamma}$-irradiation, while those of BB were decreased with irradi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B is more sensitive to ${\gamma}$-irradiation than other rice processed by-products.

감마선 조사된 실크펩타이드의 항산화능 평가

  • Lee, Ju-Un;Seo, Ji-Hyeon;O, Sang-Hui;Yu, Yeong-Chun;Seong, Nak-Yun;Jeong, Il-Yun;Byeon, M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210-213
    • /
    • 2005
  • 감마선 조사된 실크 펩타이드의 전자공여능은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IC50은 비조사구에 비해 50${\sim}$70%로 감소되었다. 또한, 실크 펩타이드가 첨가된 햄버거 패티를 감마선 조사하여 측정한 결과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 산패도가 증가하였지만 실크 펩타이드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지방산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실크 펩타이드의 첨가가 가열 및 감마선 조사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햄버거 패티의 지질 산패를 억제시켜 TBA값이 낮아짐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