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로도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한약 및 절식요법을 포함한 한의 종합 치료와 공간척추도인안교를 병행한 청소년 비만 환자의 체성분 변화 증례보고 1예 (A Case Report o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n an Adolescent Obese Patient Treated with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Modified Fasting, and Space Spinal Conduction Exercise and Manipulation)

  • 박준규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2-110
    • /
    • 2024
  • 본 증례보고는 체중 115.8 kg이고 BMI가 35.5 kg/m2인 청소년 고도 비만 환자 1명을 대상으로 145일간 한약 치료와 감로수 절식요법, 전침, 약침 등의 한의 치료와 함께 공간척추도인안교를 시행한 결과, 최초 체중의 약 19.86%에 해당하는 23.0 kg의 체중감량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고려 후기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의 해석과 의미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Celadon Inlaid with Sanskrit Mantr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 이준광
    • 미술자료
    • /
    • 제104권
    • /
    • pp.70-100
    • /
    • 2023
  • 불교가 융성했던 고려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청자에는 불교문화의 여러 단면이 담겨 있다. 그중 범자(梵字)가 새겨진 상감청자는 불교 중에서도 밀교와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을 것이란 점은 익히 알려져 왔으나 판독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는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전하고 있는 자료의 수가 적은 데다 잔존 범자도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강진 사당리 23호 요지에서 이루어진 4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운 자료를 발견하게 되었고, 이 자료들을 판독하여 기존 자료들도 몇 가지 유형에 편입시킬 수 있었다. 범자 판독과 해석을 통해 얻은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자에 상감된 범자는 진언(眞言)을 이루는 글자들이었다. 범자 한 자만 남아 있는 경우 해석을 유보해야 했지만, 그 밖의 범자들은 동심원 구조인 자륜진언(字輪眞言) 방식 속에서 '정법계진언', '육자대명진언', '감로수진언', '보루각진언', '구보살원주', '무량수여래심주', '멸악취진언'을 표기하고 있었음을 판독했다. 각 진언은 실담(悉曇, Siddham) 범자로 표기되어 있었다. 둘째, 제작 시기는 범자 배치 방식과 '감로수진언'이 40수 진언에 포함되는 양상을 근거로 13~14세기에 걸친 것으로 보았다. 특히 진언이 있는 동심원 구조의 상감청자 자료들은 제작 특징을 보아 13세기 말~14세기 전반으로 편년했다. 셋째, 상감된 진언들의 해석을 통해 모두 파지옥(破地獄)과 정토왕생(淨土往生)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았다. 이를 근거로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 중 일부는 시아귀회(施餓鬼會)와 같은 망자(亡者)를 위한 불교 의례에 사용했으리라 판단했다. 또한 사당리 23호 요지와 '가'구역이 왕실용 자기 생산지로 추정되기 때문에 의례 또한 왕실 혹은 그 영향력 안에 있는 사찰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넷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원대 자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없었다. 그래서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은 원의 불교문화와 고려가 이미 품고 있던 밀교적 요소가 더해져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고려 후기 사회에 퍼져 있던 개인적 밀교 의례의 한 측면을 보여 주는 자료였다. 당장의 불안을 해소해 주길 바라는 데서 촉발된 밀교의 변화는 묘지(墓誌), 관등에서도 찾을 수 있었는데 파지옥과 극락왕생에 대한 염원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여섯째, 다른 공예품과 비교할 때 공통점으로 실담 범자를 사용했다는 점, '육자대명진언'을 중심적으로 활용했다는 점, 기와와 배치 방법이 유사하다는 점, 범종·목관·묘지의 진언과 의미상 상통한다는 점이 있었다. 차이점으로는 '멸악취진언'과 '감로수진언'은 다른 공예품에서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상감청자 특유의 경제성과 제작의 용이성은 다른 공예품과 차별되는 장점으로, 바로 이 점 때문에 범자 진언을 새길 기명으로 청자가 채택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판독하지 못한 자료들은 추후 잔존 상태가 양호한 자료가 보고된다면 새로운 유형을 수립하여 편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감로수(甘露水)를 이용한 절식요법의 임상결과에 관한 후향적 관찰연구 (Clinical Outcomes after Modified Fasting Therapy Supplied with Gamrosu: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신승우;김동환;신현택;오달석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9
    • /
    • 2016
  • Objectives: Two historical evidence supported the concept of Gamrosu. The first one was Jeho-tang, a selected thirst quencher in Chosun Dynasty and the second one was Saeng-Maek-san, Dongeuibogam's recommendation as one of the qi-vigorating summer beverages. Gamrosu is a modified fasting therapy beverage which is manufactured from those two prescriptions and the carbohydrates (420.6 kcal/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Methods: Thirty-three cases were reviewed at three local Korean Medical clinics that each site's participant has finished the modified fasting for 10 consecutive days. Clinical outcomes were reviewed at pre- and post-fasting sessions by retrieving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chemistries & urine tests, and subjective symptoms & fatigue scores. Results: Demographics of the observed participants were 17 of male and 16 of female. Post-Gamrosu session, -6.89% of body weight, -8.97% of body fat mass were reduced with the nutrition indices being improved (P<0.001). -8.72% of systolic blood pressure, -39.86% of serum triglyceride, -6.75% of fast blood sugar and -8.12% of waist circumference were improved (P<0.05). The levels of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58.34%), CRP (-43.55%) and eosinophil (-21.30%) showed the significant diminished profiles (P<0.05). Liver/kidney functions and the standard of electrolytes were maintained within normal range in stable manners. The fatigue scale scores indicated significant lower scores. Conclusions: Taken together, obesity-related clinical outcomes after a modified fasting therapy with Gamrosu were sufficiently feasible and the observed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prospective clinical studies.

조선시대 감로탱화 풍속장면의 복식 연구 (Studies on the Costume of Gamrotenghwa in Choson Dynasty)

  • 양숙향;이태호;이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481-494
    • /
    • 2003
  • The Gamrotenghwa of the Choson Dynasty is a unique genre of buddhist painting in that the destiny of the dead souls and the guidance to nirvana are expressed in reality. More than 50 of the Gamrotenghwa are known to be present, and the lower part of the paintings includes a wide assortment of folk customary scenes reflecting the social life style of the time when the painting was drawn, such as difficulties in life. public life, punishment and war. Changes in the costume of the people shown on the customary scenes of the Gamrotenghwa according to the time based changes in painting styl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the costumes of bureaucrats showed a tendency of preservation without any major changes in the painting. On the other hand, costumes of public and entertainer in the scenes were very close to those worn by the people at that time.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public life in the painting may establish the value of the Gamrotenghwa as the historical documents. Second, the costume of the people in the painting showed a dual structure as the social positions; bureaucrats wore various official hats, large coats and belts to expose their social prestige. while the general public wore simple and convenient clothing which is divided into shirt and pants. The dual structure of the costume in the painting is in well accordance with that of the later period of Choson dynasty, suggesting that the customary scenes in the painting represent the social life style of the period. Finally, the customary scenes in the Gamrotenghwa are very variegated. which shows a variety of beauty of wearing even though they look coarse in a sense. The diversity of wearing beauty in the picture may contribute to the recreation of the beauty of shape in the new design of Hanbok.

해인사 소장책판의 판각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raving place of wood printing plates in the Haeinse)

  • 김영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415-445
    • /
    • 1998
  • This study attempts at the engraving place of wood-printing plates held in the Haein Temple(해인사), which were famous for playing the significant role in the understanding of publishing activities of both the Koryo and Choson Dynasty. Following the common way the bibliographic elements of the books were analyzed namely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place and the publisher.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Haeinsa the wood-printing plates books are preserved moved from 17 temples such as Bongso-Sa(봉서사), Hago-Sa(하고사), Soksuam(석수암), Inhung-Sa(인흥사), Wonkwang-Sa(월광사), Sinha-Sa(신하사), Gunsyaeng-Sa(군생사), Jangsu-Sa(장수사), Yongtong-Sa(영통사), Wonjok-Sa(원적사), Unjin(은진) SSanggye-Sa(쌍계사), Songsan(성산) SSanggye-Sa(쌍계사), Hungyul-Sa(흥률사), Jongwon-Sa(정원사), Yon-Sa(연사), Gamro-Sa(감로사), Yongguam(영귀암) besides the publications of temples, there are publications of local branches of gangyengdogam(간경도감) such as Jinju(진주), Sangju(진주), Sangju(상주), Andong(안동), of local public agencies such as Gaelimbu(계림부), Dalsunggwan(달성관), and of private families of which 8 titles in the Koryo Dynasty and 13 titles of the Choson Dynasty. Among the "SSanggyae-Sa(쌍계사) publication" held in the Haeinsa, 9 titles including Chimungyonghun(치문경훈) are recklesaly preserved with dividing both in Gap temple(갑사) and in Haeinsa as the same publication. It is possible that other scattered present publications or remaining publications might have been remaining publication from those partly burnt ones of the complete publications. By mean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catalogs of publications, 5 titles such as <> <> <> <> <> which are now kept in the Haeinsa moved from the Taegubu(대구부) or Yongyon-Sa(용연사) were newly identified.

  • PDF

몇 가지 농약(農藥)의 아치사량(亞致死量) 처리(處理)가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a}l$) 의 생식력(生殖力) 및 개체군밀도(個體群密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ublethal Doses of Some Pesticides on the Biotic Potential and Population Density in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 이시혁;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9-149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살균제(殺菌劑) validamycin A와 neoasozin, 그리고 살충제 diazinon과 decamethrin 의 아치사량(亞致死量)이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의 생식력(生植力), 부화(孵化), 성충수명, 감로배설량(甘露排泄量), 차세대개체군밀도(次世代個體群密度) 및 이들 개체군(個體群)에 의한 hopperburn 발견(發現)에 미치는 몇가지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멸구의 산란수(産卵數)는 validamycin A와 neoazin 처리(處理)에서는 무처리(無處理)와 대등(對等)하였으나, diazinon과 deeamethrin처리(處理)에서는 각각 $7{\sim}23%,\10{\sim}13%$ 증가(增加)되었는데, 저농도(低濃度)로 갈수록 그들 증가율(增加率)은 높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일당(日當) 산란수(産卵數)에 있어서, 약제처리(藥劑處理)에서 최고산란수(最高産卵數)는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낮았으나, 약제처리(藥劑處理) 초기(初期)와 후기(後期)의 산란수(産卵數)는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 성충처리에서 얻어진 난(卵)의 부화율(孵化率)은 모든 처리(處理)에서 약제(藥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공시약제(供試藥劑) 모두 벼멸구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켰다 .4. 벼멸구의 감로배설량(甘露排泄量)은 validamycin A와 neoasozin처리(處理)에서는, 무처리(無處理)와 같은 수준이었으나 diazinon 과 deeamethrinl처리(處理)에서는 $8{\sim}19%$의 증가율을 보였다. 5. 실내(室內)의 acryl pot에서 조사(調査)한 차세대(次世代) 벼멸구의 부화약충수는 diazinon과 deeamethrin처리(處理)에서 $8{\sim}17%$의 증가율(增加率)을 보여 산란수(産卵數)의 증가(增加)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6. Pot시험(試驗)에서,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조성(組成)된 벼멸구 차세대개체군밀도(次世代個體群密度)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모든 처리(處理)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증가(增加)되었는데, 특히 diazinon 과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높은 증가율(增加率)을 보였다. 7.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hopperburn발현도(發現度)는 약제(藥劑)의 종류(種類) 및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큰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hopperburn발현(發現)은 diazinon,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크게 촉진(促進)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diazinon 과 decamethrin의 처리(處理)는 포장(圃場)에서 벼멸구의 산란력(産卵力)과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키고, 식이활동(食餌活動)을 촉진(促進)함으로서 벼멸구의 resurgence를 유발(誘發)하고 아울러 수도체(水稻體)의 hopperbun을 가속화시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19세기 말~20세기 초 불화에 보이는 민화적 요소와 수용배경에 대한 고찰 -16나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of Minhwa(民畵) and accepted background that are appeared at Buddhist paintings from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 focused on Sixteen Lohans painting -)

  • 신은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121-150
    • /
    • 2004
  • 일반적으로 산수표현을 많이 하는 불화 장르로는 십육나한도를 비롯하여 팔상도, 감로도, 관음보살도 등과 조선후기에 특히 많이 조성된 독성도나 산신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화는 대체로 산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배경을 갖추고 있는데, 18세기 이후 수묵적 전통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지만 화려한 채색과 산수를 비롯한 다양한 경물의 표현으로 복잡해지는 경향이 강해지며, 19세기에는 흔히 말하는 민화적 요소가 등장하여 시대적인 경향을 보여 준다.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제작된 16나한도는 이러한 경향 중에서도 배경묘사에 있어서 전통적인 요소도 있지만 그보다는 채색이나 제재면에서 시대적인 예술경향을 반영하는 민화적인 배경이 가장 다양하고 뚜렷하게 부각되어 배경표현의 주된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다른 불화와 차별된다. 즉 조선후기 16나한도에는 당시 유행하던 민화풍과 궁중화풍 등에서 보이던 청록산수식의 배경묘사가 두드러지며 십장생(十長生) 운룡(雲龍) 맹호(猛虎) 괴석(怪石) 화조(花鳥) 책가(冊架) 등과 같은 새로운 배경표현이 등장하여 폭넓은 수용 태도를 보여준다. 대체로 제재면에서는 수명장수, 부귀, 기복과 관련된 길상 상징물이 압도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서민불교로의 전환이라는 불교계의 동향, 특히 도교와 민간신앙과의 습합이라는 불교계의 자구적 모색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이는 16나한도나 당시 불화에 표현된 다양한 도교인물들의 모습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주로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제작된 16나한도에 정형화된 양식의 민화풍이 등장한다는 것은 현존 민화의 제작연대를 추론하는 하나의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하며, 불화승들이 민간의 수요와 요청에 의해 민화의 작가로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조선후기 불화에서의 민화적 요소의 고찰은 그 제재나 형태상의 유사점에서 출발했지만, 극단적인 희화화라든가 파격미 등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궁중의 장식그림과 유사한 양식의 표현이 많다는 점은 종교화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불화라서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한다.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의 부화율과 온도발육기간 (Hatchability and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Overwintered Eggs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 강택준;김세진;김동환;양창열;안승준;이성찬;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31-436
    • /
    • 2013
  •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p.)은 블루베리에서 흡즙에 의한 양분손실과 감로로 인한 그을음을 유발하고, 암컷 성충은 1년생 가지의 목질부속에 산란하여 가지를 고사시키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들의 실내 온도발육 실험과 노지에서 약충의 부화 시기 조사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충남 예산의 노지재배 블루베리에서 갈색날개매미충 난괴를 채집하여 10, 14, 18, 22, 26, 30, $34^{\circ}C$ (14L:10D) 조건하에서 매일 부화하는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전혀 부화하지 않은 $10^{\circ}C$ 처리구를 제외한 월동 난괴의 온도별 부화소요기간은 평균 107.1, 54.5, 33.9, 25.3, 25.1, 16.7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졌고 부화율은 23.1, 30.8, 13.8, 21.7, 11.9, 0.6%로 조사되었다. 노지에서 정확한 부화시기 조사를 위하여 약충으로 부화하자마자 끈끈이트랩에 포획되도록 클립케이지를 설치하여 3~4일 간격으로 포획된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약충은 5월 19일과 22일 사이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평균 19.6%의 부화율을 보였다. 조사한 40개의 피해 가지 중 15개의 가지에서는 약충이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유완소(劉完素)의 방제학설(方劑學說) 및 임상경험(臨床經驗)에 관한 연구(硏究) -"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을 중심(中心)으로- 관어류완소적방제학설급임상경험적연구(關於劉完素的方劑學說及臨床經驗的硏究) -"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위핵심(爲核心)-

  • 정성채;장희욱;박현국;이병욱;김기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31호
    • /
    • pp.101-119
    • /
    • 2005
  • 금원사대가적태두류완소(金元四大家的泰斗劉完素), 1110년생어하북성하간현(年生於河北省河間縣), 졸어(卒於)1200년(年), 향년(享年)90세(歲). 타통과연구(他通過硏究)${\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화(和)${\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 저술료(著述了)${\ulcorner}$소문현기원병식(素問玄機原病式)${\lrcorner}$,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 ${\ulcorner}$소문병기기의보명집(素問病機氣宜保命集)${\lrcorner}$, ${\ulcorner}$상한표본심법류췌(傷寒標本心法類萃)${\lrcorner}$, ${\ulcorner}$상한직격론(傷寒直格論)${\lrcorner}$등저작(等著作). 령외, 응용운기대이론진행연구(應用運氣對理論進行硏究), 주장(主張)‘화열론(火熱論)’, 제출이한량약물치료질병적방법, 사금원시대재의학상(使金元時代在醫學上), 형성료백가쟁명적국면(形成了百家爭鳴的局面). 필자통과대류완소적방제학설급임상경험적연구(筆者通過對劉完素的方劑學說及臨床經驗的硏究),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재방제학설상(在方劑學說上),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중(中), 기사용적(其使用的)${\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화각가급기제자문운용방제(和各家及其弟子們運用方劑), 공포괄(共包括)366개(個). 대부분주장료이용신고적한약(大部分主張了利用辛苦的寒藥), 래개통울결(來開通鬱結), 조습제열(操濕除熱). ‘상복보양(常服保養)’시인위여기소거주적중국북방(是因爲與其所居住的中國北方), 기후건조(氣候乾操), 인문다식습성강(人們多食濕性强), 차교표한적식물(且較標悍的食物), 소이유사인체장위비조적경향(所以有使人體腸胃秘操的傾向).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적(的)366개방중(個方中), 유산제(有散劑)126개(個), 탕제(湯劑)87개(個), 기중(其中), 지유(只有)18개방가칭지위진정적탕제, 기여도접근위자산(其餘都接近爲煮散).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중소나열적주요방제유(中所羅列的主要方劑有)‘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삼화신우환(三花神佑丸)’, ‘쌍해산(雙解散)’,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 ‘대금화환(大金花丸)’, ‘익원산(益元散)’, ‘대건중탕(大建中湯)’, ‘당귀룡담환(當歸龍膽丸)’, ‘비방다주조산(秘方茶酒調散)’, ‘계령감로산(桂零甘露散)’, ‘천궁석고탕(川弓石膏湯)’, ‘전성산(全聖散)’, ‘지유탕(地楡湯)’, ‘인참산(人參散)’, ‘작약탕(芍藥湯)’, ‘내통황연탕(內統黃連湯)’, ‘신궁환(神芎丸)’, ‘도환산(倒換散)’등(等). 재임상경험상(在臨床經驗上), 류씨유풍부치료경험(劉氏有豊富治療經驗), 단시유감적시몰유전하일부관우의안방면적저작(但是遺憾的是沒有傳下一部關于醫案方面的著作). 재질병적치료상(在疾病的治療上), 가간출기유독창적견해(可看出其有獨創的見解), 저일점도견우(這一點都見于)${\ulcorner}$소문현기원병식(素問玄機原病式)${\lrcorner}$등이론저작(等理論著作), 우기산견어(尤其散見於)${\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중(中).

  • PDF

감로음(甘露飮)의 항염증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ti-inflammaory effects of the Gamroeum in vivo and in vitro)

  • 임진호;정호준;김상찬;지선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26
    • /
    • 2010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Gamroeum water extracts (GRE) in vivo and in vitro. Methods : The effects of GRE on anti-inflammation were measured by production of NO, $PGE_2$ (Prostaglandin $E_2$),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X-2, $NF{\kappa}B$ (Nuclear Factor kappa B),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1{\beta}$ (Interleukin-$1{\beta}$), IL-6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timulated with LPS. Results : 1. In machrophage cells, LPS displayed significant stimula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NO and $PGE_2$. However, GRE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NO and $PGE_2$ release. The level of NO and $PGE_2$ was decreased by GR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s compared with LPS only group. 2. Immunoblot analysis verified that LPS stim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OS and COX-2 protein level, but GRE suppressed the induction of iNOS and COX-2 protein at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3. GRE reduc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TNF-$\alpha$, IL-$1{\beta}$ and IL-6 by LPS. Moreover, the inhibitory effects of GRE was occurred in a dose-dependent manner. 4. GRE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NF-${\kappa}B$ protein in nuclear fraction. 5. GRE effectively inhibited the increases of hind paw skin thicknesse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induced by carrageenan treatment. It, therefore, considered that GRE will be favorably inhibited the acute edematous inflammation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RE could have anti-inflammatory capacity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NO, $PGE_2$ and cytokines in vitro and by reducing the formation of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in vivo. Moreover, inhibitory effects of GRE on the macrophage activation were attributable to the reduction of some of inflammatory factors by inhibiting iNOS and COX-2 through the suppression of NF-${\kapp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