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나무 잎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야생식용식물 7종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seven species of wild edible plants in Korea)

  • 지희영;주신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78-584
    • /
    • 2021
  • 본 연구는 야생에서 자란 식용식물 7종을 선정하여 항산화 물질과 활성을 측정하였다. 야생식용식물 7종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찔레나무 순(57.76 mg GAE/g), 감나무 잎(46.55 mg GAE/g), 쑥 잎(41.35 mg GAE/g)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나무 잎(46.50 mg NE/g), 쑥 잎(38.13 mg NE/g), 찔레나무 순(35.21 mg NE/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찔레나무 순(IC50 232.52 ㎍/mL), 쑥 잎(IC50 504.77 ㎍/mL), 감나무 잎(IC50 553.42 ㎍/mL)이 높았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찔레나무 순(IC50 470.10 ㎍/mL)과 감나무 잎(IC50 854.60 ㎍/mL)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은 찔레나무 순(IC50 431.88 ㎍/mL)이 다른 추출물들에 비해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찔레나무순(IC50 363.38 ㎍/mL)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감나무 잎(IC50 598.97 ㎍/mL)이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은 각 시료별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력도 증가하였으며, 모든 농도에서 찔레나무 순(0.39-2.47 O.D.)의 환원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찔레나무 순이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나무애매미충, Zorka sp. (매미목: 애매미충아과)에 의한 감 (Diosprosi kaki) 피해 보고 (Report on Zorka sp. (Homoptera: Typhlocybinae) as a Pest of Persimmon (Diosprosi kaki) in Korea)

  • 황인천;임태헌;이석준;박정규;추호렬;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79-484
    • /
    • 2009
  • 2008년 6월 15일 경북 상주의 상주둥시 감나무 (Diospyrosi kaki)에서 매미충이 채집되었다. 매미충은 감나무 잎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었으며 Zorka속의 신종으로 확인되었다. 피해 잎은 앞면쪽에 1 mm 이하의 흰색 반점이 엽맥 주위부에 형성되었고, 피해가 심해지면 잎 전체에 반점이 형성되었다. 엽당 4마리 밀도로 접종 시 4일 후부터 피해 흔적이 확인되었다. 2008년과 2009년 6월에서 8월 사이 6개도 11개 시 군 감나무 과원에서 Zorka sp.에 의한 피해지역을 조사하였다. 조사과원 중 15.4%인 22개 과원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다. 충북 영동지역에서는 40.7%의 과원이 피해를 받고 있었고, 전북 완주지역에서는 33.3%가 피해를 받고 있었다. 반면 남부지역인 경남과 제주지역에서는 피해 과원이 없었다. 피해과원이 많았던 충북 영동지역의 경우 11개 피해 과원 중 9개 과원이 포도밭과 인접해 있었다.

감나무 잎에서 분리한 Phialocephala piceae에 대한 보고 (A New Report on Phialocephala piceae Isolated from Leaf of Diospyros kaki in Korea)

  • 박상규;이승열;이재진;강인규;이향범;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8-192
    • /
    • 2016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재식된 감나무 잎의 표면에서 국내 미기록종인 곰팡이를 분리하여 형태학적 및 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곰팡이는 Phialocephala piceae의 형태적 특징인 암갈색 균총과 굵고 짧은 분생자경 유사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다. Phialocephala속의 동정에 사용되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과 RNA polymerase II largest subunit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해당균이 P. piceae임이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최초로 국내에 P. Piceae가 존재함을 보고하였다.

한국산 감잎로부터 Polyphenol계 생리활성물질 분리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us kaki L. Folium))

  • 안봉전;배만종;최희진;장운빈;성태수;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4호
    • /
    • pp.212-217
    • /
    • 2002
  • 옛부터 민간 약제로 사용했던 감나무 잎을 식품, 화장품 기능 생물 신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감나무잎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폴리페놀 화합물을 분리하고 생리활성 기능을 조사하였다. 감나무 잎을 60%의 아세톤으로 추출한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농도별로 조제하고 glucosyltransferase, tyrosinase 효소저해를 관찰한 결과 glucoslytransferase는 $1.8{\times}10^{-1}$ mg/ml에서 82.84% 저해를, tyrosinase는 0.8 mg/ml에서 21,65% 저해 활성이 확인되었다. Sephadex G-50으로 gel filtration한 결과 fraction 1, 2, 3, 4, 5로 분획되었고 이중 fraction 1, 2에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 분획물의 물질군을 확인하기 위해 proteinase K 처리와 멸균처리한 결과 효소저해에 영향은 없어 활성물질군은 단백질군이 아니며, UV spectrum에서 자외선 영역에 최대 흡광치를 보여주므로 페놀링을 갖는 화합물로 추정하게 되었다. 추정화합물을 Sephadex LH-20, MCI-gel 및 Bondapak $C_{18}$ column에서 분리한 결과 F1 fraction에서 compound $1{\sim}4$가지 4종류의 화합물, F2 fraction에서는 compounds 5, 6, F3 fraction에서 compound 7, 8, 9를 순수 정제하여 재결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TLC 발색반응에서 flavan-3-ol 골격을 기본으로 하는 축합탄닌 반응을 보였고 전개정도에서 monomer가 2종류, dimer가 3종류, trimer가 1종류로 확인되었다.

감나무 잎(Diospyros kaki folium)으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 화합물이 카드뮴 중독 흰쥐의 피해경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 (Reduction of Cadmium Poisoning by Polyphenol Compounds Prepared from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 조국영;최희진;손준호;배두경;우희섭;안봉전;배만종;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61-365
    • /
    • 1999
  • 감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가지고 카드뮴으로 중독 된 동물장기의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S-transferase(GST) 활성 및 과산화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OT는 대조군에 대하여 P-1군(10,000 ppm)과 P-2군(25,000 ppm)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금 낮았고, GPT 활성은 P-1군은 5% 수준에서, P-2군은 1%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대하여 P-1군은 5% 수준에서 그리고 P-2군은 1%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ST 활성은 대조군에 대하여 P-1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금 높았고, P-2군은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과산화지질은 대조군에 대하여 P-1군과 P-2군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요소 및 제일인산칼륨 엽면시비가 초가을 잎 손실 감나무의 과실 특성과 저장양분 축적에 미치는 영향 (Foliar-application Effects of Urea and Potassium Phosphate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s of Persimmon Trees 75%-defoliated in Early Autumn)

  • 최성태;박두상;안광환;김성철;최태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3-57
    • /
    • 2013
  • 초가을 태풍에 의해 잎 손실이 심해지면 감나무의 과실 품질이 나빠지고 이듬해 생장에 필요한 저장양분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가림하우스 내 50 L 용기에서 재배한 2년생 '부유' 감나무를 대상으로 9월 상순에 인위적으로 적엽한 후 엽면시비 효과를 검토하였다. 9월 9일에 나무 전체 잎 수의 75%를 고루 적엽한 후 9월 중순과 10월 중순에 요소 0.5%액을 8회 엽면시비하거나 요소와 제일인산칼륨을 교호로 4회씩 엽비시비 (요소+KP 시비구)하는 처리를 하였다. 적엽한 나무 일부는 시비를 하지 않고 대조구로 두었다. 요소 엽면시비로 11월 6일 잎의 N과 P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증가한 반면, 요소+PK 시비에 의해 P와 K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엽면시비는 과실 비대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과피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경향이었다. 과실 당도는 요소 또는 요소+NK 시비로 대조구보다 각각 1.5, $1.0^{\circ}Brix$가 높아졌다. 엽면시비로 세근의 건물중이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영구기관인 지상부 목질과 뿌리의 건물중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영구기관의 N 농도는 엽면시비구에서 높은 경향인 반면 P와 K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가용성당 또는 전분 농도는 엽면시비 방법에 관계없이 신초, 주간 또는 세근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엽면시비가 잎 손실 감나무의 과실품질과 저장양분 회복에 부분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감나무의 배 배양법에 의한 기내 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Persimmon(Diospyros kaki) by Embryo Culture)

  • 박시원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15-22
    • /
    • 1995
  • 감나무의 배를 대상으로 인공배지내에서 배배양을 시행하여 발아 및 생장을 시켰다$.$ Murashige­S Skoog(MS), Woody Plant Medium(WPM), C Campbell and Durzen(CD), Lictvay's Medium (LM), Kao-Michaluk(KM), Wolter-Skoog(WS), N Nitsch, White, Heller 배지 중에서 식물생장조절제 없이 배양을 시켰을 때 MS배지와 WPM배지에서 배양이 성공되어 발아와 생장이 잘 되어 $5.4{\pm}1.2 cm$의 신장과 5-6장의 잎을 가진 유묘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식물생장조절제의 효과는 aUXin, c cytokinin, gibberllin류 중에 서 특히 gibberellin ($GA_3$)을 LM배지와 KM배지에 첨가했을 때 우수한 배양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최척농도는 $1~2{\mu}moles/\ell$ 이었다. 아울러 배배양과 자연파종에 의한 발아와 생장의 생리적 차이를 규명하고자 그 일환으로 식물 잎의 특정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SOD) 활 성을 비교했을 때 특히 발아시기에 자연파종된 식물체의 SOD활성이 배양에 의한 식물체의 SOD활성보다 약 4배 이상 더 높았다.

  • PDF

감나무잎 폴리페놀의 기능성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 (An Industrial Application for functional Materials and Polyphenols Isolated from the Korean Persimmon Leaves)

  • 안봉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2년도 춘계총회 및 제20차 학술발표회
    • /
    • pp.29-40
    • /
    • 2002
  • 감잎으로부터 통풍치료, 미백효과, 고혈압 억제효과의 개발목적으로 9종의 flavan-3-ol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기기분석에 의해 화학구조를 자혔다. 각 화합물은 (+)-catechin (+)-gallocatechin procyanidinB-l, pyrocyanidin C-1, prodelphinidin B-3, gallocatechin-(4$\alpha$$\longrightarrow$8)-catechin과 감나무 잎에서 새로운물질인pocyanidin B-7-3-0-gallate, pr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 (-)-epigallocatechin-(4 $\beta$ -18)-epigallocatechin-(4$\beta$-'8)-catechin 3종류를 발견하였다. 감잎으로부터 순수 분리한 polyphenol류의ACE 저해활성측정을 실험한 결과 pocyanidin B-7-3-0-gallate는 100rM농도에서 9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catechia procyanidin C-1-3'-3" -3f'.-0-trigallate는 각각 90.69, 80.90% 저해를 하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측정을 조사한 결과pocyanidin B-7-3-0-galtate와 p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 즉, gallate가 붙은 호합물에서100rM의 농도에서 66%와 63%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p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는 100rM에서 70%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catechin는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업적응용을 위해 분획한 폴리페놀군은 미백효과 검증실험인 tyrosinase 저해율 측정평가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Fraction 111의 경우 Sooppm에서 74.2%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 실험에서는500pw1이상에서 강한 활성능을 보인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나머지 DPPH와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에서는 Fraction II와III 모두가50ppm이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 Fraction별 항균력 측정 결과 Fraction 르와 111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