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귤박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2초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자성 활성탄을 이용한 2,4-디클로로페놀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2,4-Dichlrophenol by Magnetic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 감상규;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388-394
    • /
    • 2018
  •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자성 활성탄(MAC, magnetic activated carbon)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2,4-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2,4-DCP)을 제거하는 연구하였다. 접촉시간, MAC의 투여량, 용액의 온도, pH 및 2,4-DCP 농도를 변화시켜 MAC에 의한 2,4-DCP의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등온 흡착 실험결과는 Langmuir 등온 모델식에 의해 잘 설명되었으며, Langmuir 등온식으로부터 구한 최대 흡착량은 312.5 mg/g이었다. 흡착속도는 유사 2차 속도식에 의해 잘 기술되었으며, 입자 내 확산 모델 자료는 흡착 과정 동안 막 확산과 입자 내 확산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말해 주었다. 열역학적 파라미터인 ${\Delta}H^o$${\Delta}G^o$는 각각 양의 값과 음의 값을 가지므로 MAC에 의한 2,4-DCP의 흡착은 자발적이며 흡열반응으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흡착실험을 완료한 후 사용한 MAC는 외부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었다.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활성탄을 이용한 수중의 항생제 Amoxicillin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ntibiotics Amoxicillin in Aqueous Solution with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 감상규;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369-375
    • /
    • 2018
  • 폐감귤박 활성탄(WCAC, waste citrus peel based activated carbon)에 의한 항생제 아목시실린(AMX)의 흡착에서 온도, 초기농도, 접촉시간 및 흡착제 투여량과 같은 운전변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 속도 및 등온 실험결과는 각각 유사 2차 속도식 및 Langmuir 등온 모델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었다. Langmuir 등온 모델로부터 계산된 WCAC에 의한 AMX의 최대 흡착량은 345.49 mg/g이었다. WCAC에 의한 AMX의 흡착은 흡착 과정에서 막 확산(외부 물질 전달)과 입자 내부 확산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흡착 속도는 WCAC의 입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 물질 전달보다 입자 내부 확산에 의해 더 영향을 받았고, 입자 내부 확산이 율속 단계였다. 열역학적 파라미터는 WCAC에 의한 AMX의 흡착 반응은 흡열반응이고 자발적인 과정임을 나타내었다.

감마선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젤라틴이 개질된 미생물 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작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latin-immobilized Bacterial Cellulose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Using Gamma-ray Irradiation)

  • 최종배;정성린;권희정;박종석;노영창;최영훈;박경진;박만용;신흥수;임윤묵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9-164
    • /
    • 2012
  • Bacterial cellulose (BC) is generated from citrus gel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TL-2C. BC has good properties such as high-burst pressure, high-water contact and the ultrafine highly nanofibrous structure of mimi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ECM) for tissue engineering. In this study, acrylic acid (AAc) was grafted onto BC surfaces under aqueous conditions using gamma-ray irradiation, and then immobilized gelatin onto AAc-g-BC. The characterization of scaffolds was perfo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TR-FTIR), toluidine blue O (TBO) assay. Morphology of gelatin and AAc incorporation onto BC nanofibers did not changed. Our study suggests that gelatin-immobilized BC nanofibers scaffold has a potentiality to fabricate 3D nanofibrous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폐감귤박 활성탄을 이용한 항생제 Dimetridazole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Dimetridazole Antibiotics on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Agricultural Waste Citrus Peel)

  • 이창한;감상규;이민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798-806
    • /
    • 2017
  • 제주의 농업폐기물인 감귤박으로 제조한 활성탄(WCAC)을 수용액 중의항생제 dimetridazole (DMZ)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WCAC에의한 DMZ의 흡착을 접촉시간, WCAC의 투여량, WCAC의 입자크기, 온도, pH 및 DMZ 농도와 같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연구하였다. DMZ의 흡착량은 온도가 증가하고 입자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pH 4 이상에서는 DMZ의 흡착량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지만, pH 4 이하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흡착등온 결과를 Langmuir, Freundlich, Redlich-Peterson 및 Duinin-Radushkevich (D-R) 등온 모델식에 적용하여 검토한 결과 Redlich-Peterson 등온 모델식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었다. 흡착속도는 유사 2차 속도 모델에 잘 적용될 수 있었으며, 입자 내 확산 모델의 결과로부터 흡착 과정 동안 막 확산과 입자 내 확산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역학적 파라미터는 WCAC에 대한 DMZ의 흡착반응은 흡열반응이고 자발적인 과정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는 WCAC가 항생제 DMZ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값싸고 유용한 흡착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감귤 과피 유래 Flavonoid의 추출효율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 from Citrus Peel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최찬익;정원근;정은영;고민정;조상우;이재환;장판식;박영서;백현동;김기태;정명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66-1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감귤 과피 가공부산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가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었고, 열수(80$^{\circ}C$), 에탄올, 설탕용액을 이용한 기존 추출법과의 추출효율이 비교 분석되었다. 건조된 감귤 과피로부터 총 polyphenol(27.25${\pm}$1.33 mg QE/g DCP) 및 flavonoid(7.31${\pm}$0.41 mg QE/g DCP)에 대한 최대 수율이 아임계 추출법(190$^{\circ}C$, 1300 psi, 10 min)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이것은 기존 추출법 가운데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인 에탄올 추출법을 통한 총 polyphenol (3.79${\pm}$0.73 mg QE/g DCP) 및 flavonoid(0.86${\pm}$0.27 mg QE/g DCP) 수율 대비 7.2배와 8.5배 이상 더 높은 것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건조 감귤 과피 1 g 당 아임계 추출법(190$^{\circ}C$, 1300 psi, 10 min)에 의한 항산화 성분의 상대 수율(relative yield, %)이 다른 추출방법을 통해 획득된 것보다 대략 9.5배 이상 더 높다는 것을 설명하는 결과로, 아임계 추출법이 기존의 전통적 추출법에 비하여 감귤 과피의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비지박 첨가 먹이원 급여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육과 영양성분 변화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Composition in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Fed Agricultural By-product, Soybean Curd Cake)

  • 송명하;한문희;이석현;김은선;박관호;김원태;최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85-1190
    • /
    • 2017
  • 세계적으로 곤충시장이 매년 성장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곤충산업이 미래 유망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갈색거저리와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및 장수풍뎅이가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됨에 따라 식용곤충에 대한 관심이 늘고 곤충의 대량사육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안전하고 고영양성분이 포함된 식용곤충 전용 먹이원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각종 부존자원의 사료화는 부존자원의 활용, 사료비 절감, 환경보존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식용곤충으로 많이 사육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육을 촉진하면서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사육을 도모하기 위해 감귤박, 비지박, 대두박, 맥주박 등 4종의 부존자원을 이용하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10% 비지박을 급여한 유충의 무게가 대조구 대비 약 3.5배 증가하였고, 유충기간 또한 40% 이상 단축되었다. 또한, 10% 비지박 첨가 실험구에서 일반조성분과 미네랄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 분석 결과, 납과 카드뮴 및 비소는 모든 실험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육 촉진 효과를 가지는 비지박이 곤충 먹이원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감귤해충의 종합적방제에 관한 연구(2) 루비붉은좀벌(Anicetus beneficus)도입에 의한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의 방제효과 (Studies on Integrated Control of Citrus Pests (2) Control of ruby states (Ceroplastes rubens) on citrus by introduction of a parasitic natural enemy, Anicetus beneficus (Hymenoptera, Encyrtidae))

  • 김홍선;문덕영;박중수;이승찬;;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0
    • /
    • 1979
  • 기생봉인 루비붉은좀벌(Anicetus beneficus)을 1975년 일본에서 도입하여 제주도에 방사시키고 루비깍지 벌레 방제를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한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귤의 주요해충인 루비깍지벌레는 년 1회 발생하였고 부화시류는 6월하순부터 8월초순이었고 부화최성기는 7월 중순이었다. 2. 루비붉은좀벌은 1975년 방사이래 16개 지역에 분포되었다. 3. 루비붉은좀벌의 기생율증가로 루비깍지벌레의 밀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평균기생율은 1975년 $1.7\%$ 1976년 $14.\%$ 1977년 $31\%$ 1978연에는 $37\%$였다.

  • PDF

감귤박, 다시마, 손바닥 선이장 분말을 함유한 식이의 급여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체내 지질수준과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 혈소판 응집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Tangerine Pulp, Sea Tangle or Prickly Pear Cactus on Lipid Level,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Platelet Aggregation and Liver Tissue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강민숙;강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41-149
    • /
    • 2001
  • This study done to investigate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ow dietary fiber in a high cholesterol diet in aspect of cholesterol absorption and excretion using Sprague Dawley rats. After feeding diets containing 0.5% cholesterol and 5% tangerine pulp, sea tangle or prickly pear cactus for four weeks, we measured the levels of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fecal neutral sterols and fecal radioactivity after ingestion 14(sup)C-cholesterol. We also examined platelet aggregation and histological change in liver tissues in association of hypercholesterolemia. The liver to body weight ratio was significantly(p<0.01) lower in rats fed prickly pear cactus than in other groups. The levels of plasma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p<0.01) in the prickly pear cactus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iver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mong groups. Fecal corprostanol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p<0.01) higher groups of control and prickly pear cactu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Radioisotope excretion after ingestion of 14(sup)C-cholesterol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angerine pulp group or sea tangle group, with the highest in prickly pear group. Radioisotope excretion was the highest during the 2nd and 3rd days in all groups. Hematocrit and platelet aggregation were decreased in all fiber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cholesterol diet cause a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and prickly pear cactus decreased the fat accumulation. Result indicates that prickly pear cactus has hypocholesterolemic effect by decreasing absorption and increasing excretion of cholesterol, thereby protective effect on fatty liver. Control group fed diet containing high cholesterol and low fiber seems to have a self control system in cholesterol absorption and excretion preventing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Nutrition 34(2) : 141-149, 2001)

  • PDF

감귤박 건조용 진공고주파 건조기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Drying Machine with Microwave at Vacuum Condition for Discarded Citrus Scrapes)

  • 고광수;박윤철;윤형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21-25
    • /
    • 2014
  • A drying machine for discarded Citrus scrap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itrus produced in Jeju Province was treated as wastes (a) after making a beverage, such as drinking juice, and (b) if the size of the product did not fit with its agricultural product criteria. Various types of drying machine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different kinds of technologies were combined improve the performance. To enhance the performance, the system wa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and a high frequency micro wave was activated to the waste Citrus scrap, to heat up the moisture inside the Citrus kernels. The frequency of the micro-wave was 2.6 GHz, which is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molecul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vacuum of 50, 100, 150, 300, 500, and 700 mbar. The waste Citrus scrap has two types of status : (a) original scrap, and (b) mixed with blender. As results, specimen (a) shows a 0.13 g/sec evaporation rate, while specimen (b) shows a 0.19 g/sec rate, at 50 mbar of environment vacuum condition. For the drying efficiency, specimens (a) and (b) show 0.15 g/W and 0.24 g/W, respectively.

KOH 활성화법으로 제조한 폐감귤박 활성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by KOH Activation)

  • 감상규;강경호;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49-654
    • /
    • 2017
  • 제주도에서 다량 발생하고 있는 폐감귤박을 활성화제로 KOH를 사용하여 활성탄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활성탄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KOH 침적비율(100~300%), 활성화 온도($400{\sim}900^{\circ}C$) 및 활성화 시간(0.5~1.5 h)의 조건에서 각 조건이 증가할수록 요오드 흡착능은 증가하였으나 활성탄의 수율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활성화 시간의 경우 1.5 h 이상에서는 요오드 흡착능 및 활성탄 수율에서 비슷하였다. 또한 KOH 침적비율이 증가할수록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는 증가하였으나 세공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제조된 평균 세공크기는 $20{\sim}25{\AA}$이었다. KOH의 침적비율 300%, 활성화 온도 $900^{\circ}C$, 활성화 시간 1.5 h에서 제조된 활성탄은 비표면적 및 요오드 흡착능이 각각 $1,527m^2/g$ 및 1,246 mg/g으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