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각처리 평가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작업치료사 욕구 조사 (Occupational Therapist Needs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a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for Schools)

  • 조선영;유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2호
    • /
    • pp.31-41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감각처리 수행을 알아보기 위한 기존 평가방법과 기존 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한계점을 알아보고,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 필요성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여 새로운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학령기 아동의 작업치료 중재 경험이 3년 이상인 작업치료사 20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와 전화면접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과 기존의 학교에서의 감각처리 평가 방법 및 한계점,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의 필요성과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의견 조사로 나누어 폐쇄형 질문은 12문항, 개방형 질문은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90%가 학령기 아동의 학교에서의 수행 정도를 부모나 아동을 통해'약간의 정보'를 파악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학교생활에서 감각처리와 관련 된 어려움에 대한 호소를 경험한 것은 '종종'이 50%, '보통정도'이상이 50%로 나타났다.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 필요성은'상당히 필요함'이상이 80%로 조사되었다. 결론 : 국내 아동을 담당하는 작업치료사들은 학교에서의 감각처리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 필요성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평가도구 개발을 통해 학령기 아동의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감각처리 평가도구의 체계적 고찰 (Assessment Tools of Sensory Processing for Preschool-Age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김명희;신현희;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종류를 알아보고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감각처리 평가도구는 PubMed, Cochrane, CINAHL, PsycINFO와 같은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논문을 검색한 뒤, 초록과 원문 검토를 통해 포함기준에 적합한 평가도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결과 : 총 38개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으며, 8개의 평가도구가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는 Sensory Processing Measure-Preschool(SPM-P)이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부족한 도구로 는 Sensory Experiences Questionnaire(SEQ), Sense & Self-Regulation Checklist(SSRC), 그리고 Sensory Processing Scale Assessment(SPSA)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임상가와 연구자들이 학령전기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처리 평가도구를 선정할 때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대학생의 감각처리와 성격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Personality in College Students)

  • 이춘엽;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23
  • 목적 :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을 사용하여 감각처리와 성격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보건관련 학과 대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는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로 평가하고, 성격은 성격 5요인(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IPIP)으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피어슨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외향성과 친화성 성격은 모든 감각처리 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각추구를 제외한 모든 감각처리 유형과 신경성 성격 간, 감각추구 유형과 개방성 성격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성실성 성격과 등록저하 및 감각예민 유형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 대학생의 감각처리와 성격 5요인 평가를 통한 성격 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추후 대학생에게 나타나는 여러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ombined with Eye Tracker on Sensory Processing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권소현;안시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53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이며, 중재는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중재 기간의 매 회기 평가로 시각-운동 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을 평가하였으며, 사전·사후 평가로 감각프로파일,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선잇기검사를 실시하였다. 매 회기 평가와 사전·사후 평가는 시각적 분석 및 경향선 분석을 통해 중재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 : 회기별 평가 결과, 시각-운동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에서 모든 아동의 경향선 기울기가 기초선기간보다 중재기간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사전·사후 평가결과, 감각처리에서는 움직임, 몸위치, 시각의 감각처리가 또래보다 많음에서 또래와 유사 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시지각에서는 모든 아동의 시각통합능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아동의 시각추적 및 시각-운동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선잇기검사 결과, 모든 아동이 사전보다 사후에 수행시간이 감소하였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최근 기술의 향상과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맞추어 아동의 흥미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신지은;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2-54
    • /
    • 2020
  • 목적 :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써, 도구의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고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 지역 소재의 일반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일반 아동 만 3~5세 337명을 대상으로 표준점수와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을 사용하였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표준점수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1 표준편차, 평균-2 표준편차를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 아동감각처리척도의 총점에 대한 표준점수를 확인한 결과, 총점이 115~150점일 때 '정상', 105~114점일 때 '문제 가능성', 50~104점일 때 '확실한 문제'로 선별할 수 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총점 간의 상관계수는 .755로 강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임상적 사용을 위해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였고, 다른 평가도구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여 만3~5세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에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감각처리와 관련된 섭식기능의 평가와 중재방법에 대한 고찰 (Fee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 강현진;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3-86
    • /
    • 2010
  • 섭식기술의 문제는 성장, 학습, 의사소통, 다른 아동과의 상호작용 등 삶의 모든 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강섭식은 입을 열고 음식/액체를 입속에 넣고 삼키는 것이다. 본 문헌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섭식과 관련된 평가방법과 중재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섭식은 아동 초기 발달의 중요한 요소이며 일상생활 참여를 촉진한다. 아동이 음식을 먹을 때 받아들이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그 이유로는 음식으로부터 제공되는 감각자극의 등록과 해석의 과정을 거쳐 섭식행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감각처리 문제로 인한 섭식의 문제는 촉각과민성, 구강거부, 촉각과소반응, 구강실 행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섭식문제의 평가 가운데 감각처리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을 확인하고 중재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섭식과 관련된 신경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섭식과 관련된 감각처리의 특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 다. 또한 감각처리와 관련되어 야기된 섭식문제의 중재방법을 고찰하는 것은 의의가 있으며, 이는 섭식에 관한 효율적인 접근을 통해 아동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값과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점수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cores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Tactile Threshold From Tactile Detection Task)

  • 주유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
    • /
    • 2012
  • 목적 : 감각처리기능은 지각 및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작업수행을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아동의 경우 감각처리 문제로 인해 두드러지는 기능장애를 나타내지만 성인의 경우 살아가면서 감각에 적응하거나 그냥 무시한 채 지내기 때문에 흔히 감각처리기능을 간과하게 된다. 하지만 감각에 대한 생리적 특질은 변하지 않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불편한 감각자극으로 인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인의 감각처리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은 일상생활에 기반을 둔 감각처리기능을 설문형식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이런 설문형식의 평가는 응답자의 주관이나 그 외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결과의 타당도가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 처리영역 점수와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측정한 촉각역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일부 영역 (촉각 처리영역)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네 가지 항목(저등록, 감각민감, 감각추구, 감각회피)의 점수를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얻어진 개인의 촉각역치 값과 비교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 중 저등록 및 감각추구 항목은 촉각역치 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감각민감 및 감각회피 항목의 경우 촉각역치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나 촉각의 역치가 높을수록 저등록 항목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 촉각의 촉각역치가 높을수록 감각등록이 적으며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저등록 관련된 설문문항이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측정값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설문문항의 타당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 PDF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로 처리된 견직물의 주관적 선호감성 (The preference of silk fabrics by the linen-like finishing-used polyurethane resin)

  • 이정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9-214
    • /
    • 2002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의 섬유를 개발하기 위해서 얻어진 다양한 태 특성을 가진 직물의 적절한 용도를 감각적 감성평가를 통해 밝히려는 목적을 가지고, 첫번째 단계로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로 가공처리한 견직물의 선호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물의 개별감각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강경성이 부여된 견직물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감각을 평가하고 객관적인 특성과 연관지어 보았다. 강경성이 다르게 제작된 견직물과 시판모시로 구성된 9종류의 직물의 까실까실하다, 매끄럽다, 습하게 느껴진다, 뻣뻣하다, 차다, 하늘하늘하다의 6개의 개별감각과 촉감이 좋다와 여름철소재로 선호한다의 종합적 평가를 행하여 9종류의 직물의 위치도를 작성하여 여름철소재의 선호감성과 촉감, 직물개별감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름철소재의 선호감성에 영향을 주는 직물의 개별감각은 부드러워서 촉감은 좋지만 까실까실한 감각이 있어 다소 차게 느껴지는 감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의마가공된 견직물이 여름철 소재로 선호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in Older Adults)

  • 이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72-279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121명이 참여하였으며, 삶의 질 평가는 노인생활만족척도를 사용하였고, 한국판 AASP를 이용하여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활동수준 평가는 한국판 활동분류카드를 사용하였다. 노인의 삶의 질과 활동수준과의 상관성 검증 결과, 총점(p<.01), 수단적 일상생활(p<.05), 여가활동(p<.01), 사회활동(p<.01)에서 낮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노인의 삶의 질과 감각처리 능력과의 상관성 검증에서 등록저하는 낮은 음의 상관관계(p<.01), 감각찾기는 낮은 양의 상관관계(p<.05), 감각민감성은 낮은 음의 상관관계(p<.01), 감각회피는 낮은 음의 상관관계(p<.01)를 나타냈다. 삶의 질과 감각처리 능력의 하위 영역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노인에 대한 감각처리 능력 향상이 노인 작업치료 분야에 있어 새로운 중재 방향임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활동수준과 감각처리 능력과의 상관성이 있다는 것으로 판별되어 앞으로의 노인복지정책에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