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각운동

Search Result 44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effect of sensorimotor stimulation for ingestion in dysphagic patients who have nonprogressive brain damage - Preliminary Study - (연하장애 환자의 구강인두 기능회복을 위한 감각운동 자극의 효과)

  • Kang, Hyun So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8 no.2
    • /
    • pp.211-219
    • /
    • 1988
  • 운동학습이론인 감각운동 통합이론을 본 연구의 개념적 틀로하여 한방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구강인두 기능이 저하된 환자를 대상으로 감각운동자극이 구강인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8년 3월초부터 5월 중순까지 예비실험 연구하였다. 감각운동자극을 주기 전에 구강인두기능을 시정하고 대상자 전원에게 저하된 구강인두기능에 따라 감각운동자극을 선택하여 하루 3번 매식후 30분전에 주었으며, 이를 일주일 동안 계속하였다. 일주일 후 다시 구강인두기능을 측정하여 자극을 주기전, 후의 기능정도를 paired t-test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머리와 목운동 조절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t=-2.71, df=5, p=.042). 2.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씹는 능력이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2.00, df=5, p=.102). 3.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입술운동의 조절점수는 높을 것이다”라는 제3가설은 지지되었다(t=-4.77, df=5, p=.005). 4.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혀 운동 조절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4가설은 지지되었다(t=-3.61, df=5, p=.015). 5.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연하능력이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2.24, df=5, p=.076). 이상의 결과로 감각운동자극은 연하장애환자의 구강인두기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Sensitivity to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neck retraction and rotation movements made with and without vision (시각 차단 유무에 따른 경부 후인과 회전의 운동 감각 비교)

  • Lee, Haejung;Nicholson, Leslie L.;Adams, Roger D.
    • PNF and Movement
    • /
    • v.2 no.1
    • /
    • pp.59-69
    • /
    • 2004
  • 목적 : 본 연구는 경부의 후인과 회전 운동 범위에 있어 운동 감각 역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19명(10명 남자, 9명 여자 나이 19~30세 평균 23.2, 표준편차 3.3)이 참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운동 감각 역치는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시각 차단시와 시각 허용시에, constant stimuli의 방법을 사용하여 반복 측정되었으며, 움직임을 수행 하는 과정에서 정지 상태를 유도하여 그 정지동작에서 두 동작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 후인 운동 감각이 오른쪽 또는 왼쪽 회전 운동 감각 보다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결론 : 중간 범위의 두 움직임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시각차단 유무는 각 운동 감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Proprioception associated with sub-clinical neck pain (경미한 경부 통증과 고유수용성 감각)

  • Lee, Hae-jung;Nicholoson, Leslie L.;Adams, Roger D.;Bae, Sung-Soo
    • PNF and Movement
    • /
    • v.3 no.1
    • /
    • pp.55-66
    • /
    • 2005
  • 목적 : 본 연구는 경미한 경부 통증을 가진 대상자의 경부 운동감각과 경부 통증과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81명의 (나이 18-30세, 평균 23.2) 건강한 대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측정은 경부운동감각과 통증 및 기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경부운동감각은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경부 후인과 좌우 회전의 중간 관절 범위에서 대상자의 두부에 착용하지 않는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부 통증과 기능은 가장 흔히 쓰이는 4가지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문화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을 거쳐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을 경부 통증 빈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통증 없음, 월별, 주별) 구분하였다. 각 집단간에는 4가지 설문지로 조사한 경부통증과 기능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경부운동감각은 통증 빈도가 높을수록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결론 : 경부 운동감각은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경부 후인과 좌 우회전의 중간 관절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경미한 경부 통증 빈도가 높을수록 경부 운동감각은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Lower Limb Ischemia on Linear Motion Perception (하지 허혈 유발에 따른 선형 운동 역치 변화)

  • Yi, Yong-Woo;Park, Su-Ky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11
    • /
    • pp.1185-1190
    • /
    • 2011
  • The lower limb somatosensory deficit observed among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is partially related to the decline in their balance ability. In general, balance ability has been examined by measuring the postural response (i.e., action). However, body motion is induced by integrated multisensory cues (i.e., motion perception).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reduced lower limb somatosensation might also lower motion perception. We induced lower limb sensory deficits through ischemia and then measured the cutaneous sensory sensitivity and directional motion perception. The sensory deficit was successfully induced, and it also lowered the motion perception. However, the center of pressure (COP) variation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under the sensory deficit. This result implies that measuring motion perception could enable the detection of precursors of sensory deficits.

The Effect of Vestibular-Proprioceptive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전정감각,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간 지각력과 시-운동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 Kang, Set-Byul;Kim, Su-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21 no.2
    • /
    • pp.24-34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cusing on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on the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Methods :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5 to 6 year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 ABA' design, which is one of the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s. A total of 18 sessions were conducted over a six-week period-that is, three 30-minute sessions per week. During the three baseline sessions, the children's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were evaluated prior to the intervention. During the 12 sessions conducted in the intervention period, a vestibular and propriocepti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was performed, while in the final three sessions, the children's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were again evaluated (without any further intervention Children were measured and evaluated every session after intervention using a compute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C). Moreover, 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nd the Korean-Development Test of Visual Perception-2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score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before and after the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More specifically, after the intervention, all three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Conclusion : The applied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of th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Desigining a Feedback for Exercises Using a Wear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중 피드백 방식 연구 - 근력 운동에 대한 멀티 모달 피드백 적용을 중심으로 -)

  • Yoo, Hyunjin;Maeng, Wookjae;Lee, Joongseek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1 no.3
    • /
    • pp.23-30
    • /
    • 2016
  • The landscape of the current fitness trackers is not only limited to the aerobic exercises but also the weight training is comparatively excluded. Recently, a few weight training fitness tracker was released, human-computer interaction was not well designed due to the lack of considering the context. Because body movement would be intense while doing exercises, having exercise performers hold or operate a device makes a negative experience. As the wearable device is always inseparable to body, it could provide effective feedback because holding or operating a device is not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the exercise performers feel a natural feedback through the wearable device to do effective exercise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ree findings. First, the information which exercise performers most needed was 'during exercise.' and the most necessary information for exercise performers through wearable device's sensory feedback was about 'pace control' with counting and motivation. Second, the order of the most preferred presentation type of sensory feedback was auditory feedback, haptic feedback and visual feedback. Third, the satisfaction, utility, usefulness score of sensory feedback as same as the personal trainer's feedback. In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d the feedback design implications using a wearable device while doing weight training and the possibilities that wearable device could be substitute for personal trainer.

The Effect of Ayre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yres 감각통합 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운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 Park, Ha-na;Kim, Kyeong-Mi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7 no.2
    • /
    • pp.18-30
    • /
    • 201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yres's sensory integration (ASI) intervention on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Methods : 9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evelopmental Delay children aged 3-5 years. For research tool, the Short Sensory Profile (SSP),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2 (PDMS-2) a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dividual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ccording to principle of ASI was performed for twice a week, 40 minutes, and 16 times for 8 weeks.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included Mann 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 Cohen's d test of SPSS 24.0. Results : In the ASI Intervention group,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 movement sensitivity, auditory filtering and low energy/weak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ASI intervention (p<.05). In the ASI Intervention group, the motor develop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ss Motor Quotient, Fine Motor Quotient and Total Motor Quoti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ASI intervention (p<.05). Conclusions : In this study, ASI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 processing and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Skill, and Social Skill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와 소운동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Hong, Eun-Kyoung;Kim, Han-Gill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7 no.2
    • /
    • pp.1-12
    • /
    • 200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group approach of sensory integration (SI) enhances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function, and social skill for the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s. Method : Three children with problems related in sensory integration had got received 21 intervention sessions. We evaluated children with sensory profile(SP), social maturity test, 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K-DTVP),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 before-and after interven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ata is test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Results : All data of post-interventio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P, social maturity test, K-DTVP, BOTMP. Conclusions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SI intervention on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function, and social skill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average score after SI intervention has been improved in the section of fine motor and social skill comparing to that of pre-intervention period. It would have positive impact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It is needed to study with the larger number of target children and more often treatment session are suggested. The confounding variables also should be controlled in the further study.

  • PDF

The Effects of Visual Rhythmic Stimulation in Gait and Proprioception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시각리듬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 Cho, Nam-Jeong;Lee, Dong-Yeop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98-901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 운동을 적용하여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14m의 보행로가 확보된 공간에서 준비운도 5분, 보행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 씩 주 3회, 4주간 12회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의 운동프로그램과 같은 조건에서 보행운동시 시각리듬자극(RVS)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운동 전과 후에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리듬자극(RVS)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분속수, TUG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고유수용성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적 요소인 시각리듬자극 (RVS)이 정신적 육체적 기능을 상실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Brown-Sequard Syndrome Produced by Cervical Disc Herniation : Manual and Exercise Therapy after Operation-Case Studies (경추 추간판탈출증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후군 : 수술 후 도수치료와 운동치료 효과-사례연구)

  • Kim, Myung-Joo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15 no.1
    • /
    • pp.79-85
    • /
    • 2009
  • 목적 : 브라운시쿼드는 대부분 척추손상과 수질외 척추 종양에서 주로 나타난다. 드물게 경추 디스크가 브라운시쿼드의 원인이 된다. 경추디스크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세의 수술후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 결과를 보고하기 위함이다. 방법 : 50세 남자로써 브라운시쿼드 증세로 진단을 받고 수술후 좌측 팔과 다리에 운동신경에 의한 마비증세가 있었으며(팔>다리), 우측으로 감각과 온도감각이 저하된 경우이다(팔>다리). 측정방법은 통증지수(VAS), 근력(Distal PowerTracII$^{TM}$ test), 지구력(Ergometer) 측정과 심리상태(설문)를 치료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물리치료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도수치료 및 운동치료 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수치료는 통증완화와 근력강화를 위한 MET, MFR, Mobilization 등을 실시하였으며, 운동은 슬링시스템 등을 이용한 운동과 견관절의 불안정을 위해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이 케이스는 수술후 이상 징후가 척수압박으로 인하여 보다 넓게 통증이 나타났으며, 운동 및 감각신경이 둔해지고 온도에 대한 감각이 반대편 결손으로 나타났으며, 좌측 어깨, 팔 견갑부의 근육 마비와 우측의 감각이 떨어진 현상이 나타났다. 물리치료 후 단기목표와 장기목표에 있어서 통증과 운동 및 감각 기능이 회복되어 각각 팔 통증에서는 VAS 8 ${\rightarrow}$ 1, 상지 하지의 운동기능은 Trace ${\rightarrow}$ Good 로 평가 회복되었으며, 근력측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치료과정 결과에서 심리적 상태의 설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긍정적 신뢰가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결과 다리의 근력이 증가는 걷기 운동 및 에르고메터의 지구력 및 균형이 레벨1의 10분 수행능력이 레벨 20에서 30분 수행능력으로 향상되어 일상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결론 : 예상하지 못했던 수술 후유증(side effects)에 대한 치료과정이 환자의 심리에 심각한 부정적인 생각이 신체의 기능과 감정의 손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과정에서 기능적 향상과 더불어 정신적인 심리의 정서 안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