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갈매기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4초

천연기념물 난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 개체군 및 서식 환경 (Breeding Population and Habitat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on Nando Island, Natural Monument)

  • 김미란;권영수;남기백;이호;명현호;노형수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34-142
    • /
    • 2017
  • 난도는 괭이갈매기 번식지 중 하나로 천연기념물로서 보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 개체군과 서식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2015년 7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하였다. 둥지 밀도를 이용하여 번식 개체군을 산정하였다. 괭이갈매기는 $1m^2$당 평균 0.51쌍이 번식하고 있었으며 약 26,760개체가 난도에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난도의 우점식생은 돌피와 개밀이었으며 괭이갈매기가 은신처나 둥지장소로 이용하고 있었다. 번식기간 중 괭이갈매기의 주된 먹이는 멸치 (48%)로 보인다. 그 밖에 난도에서 번식하는 바닷새로는 슴새, 가마우지, 바다제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반도 괭이갈매기의 개체군 유전 구조와 희귀 CO1 유전자형의 지리적 파편화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regional fragmentation of rare CO1 haplotypes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Laridae) in Korean Peninsula)

  • 정길상;황보연;권영수;진선덕;최성훈;김미란;최한수;박진영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6-111
    • /
    • 2018
  • 괭이갈매기는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흔한 갈매기류 중 하나이며, IUCN에 의하면 LC(Least Concern)로 분류되어 있다. 인간의 활동이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친 이래 괭이갈매기는 해양 환경오염과 서식지 교란의 중요한 지표종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괭이갈매기가 6개의 미토콘드리아 CO1 하플로타입(haplotype)이 있고, 이중 일부 희귀 haplotype은 지리적으로 제한되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본 종이 멀리 분산하지 않음을 암시한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괭이갈매기를 대상으로 한 첫번째 개체군 유전적 연구결과이며, 환경지표종으로서 모니터링과 유전학적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쇠제비갈매기 Sterna albifrons의 과산란 및 이종 알 혼합 둥지 생성 원인으로서 알 회수 행동 (Egg Retrieval as a Source of Nests with Supernormal and Mixed Egg Clutch in Little Terns Sterna albifrons)

  • 김정훈;남형규;;유정칠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45-550
    • /
    • 2006
  • 2003$\sim$2005년의 쇠제비갈매기 Sterna albifrons의 번식기 동안 충남 홍성군 간월호의 번식군집에서 총 10개의 과산란수의 둥지(nest with supernormal clutch)와 7개의 이종 알 혼합 둥지(nests with mixed species clutch, 쇠제비갈매기와 흰물떼새의 알이 혼합된 둥지)가 관찰되었다. 쇠제비갈매기의 알 회수 행동은 한 배 산란수와 관계없이 두 번째 알 산란 이후 높은 빈도를 보였다. 알 회수 행동은 모든 포란 단계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쇠제비갈매기는 둥지에서 약 15 cm 떨어진 알에 대하여 높은 알 회수 행동 비율을 보였으나 35$\sim$55 cm의 거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60 cm 거리에서는 알 회수 행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쇠제비갈매기는 알의 종류 및 크기와 관계없이 둥지 인근에 배치된 알들을 자신의 둥지로 편입시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조사 결과는 쇠제비갈매기의 알 회수 행동이 과산란수의 둥지 및 이종 혼합 둥지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낙동강 하구 사주식생의 천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lant Succession of Sand Bars at the Nagdong River Estuary I.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 Mun, Hyeong-Tae;Kim, Joon-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79-93
    • /
    • 1985
  • 낙동강 하구에 형성되어 있는 사주의 식생천이와 그에 따른 토양성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지도에 의해서 추정한 사주의 형성연령은 옥류등, 백합등, 갈매기등 및 나무싯등이 각각 60년, 25년, 15년 및 10년이었다. 각 사주에 생육하는 식물종수는 갈매기등, 나무싯등, 백합등 그리고 옥류등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우점도-다양성 곡선과 종다양성 지수에 의하여 판정된 식물군집의 안정성은 갈매기등, 나무싯등, 백합등, 옥류등의 순으로 높아졌다. 토양의 산도,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갈매기 등에서 옥류등으로 이행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생육식물의 종수, 식물군집의 안정성 및 토양성질의 변화 등을 근거로한 각 사주의 천이정도는 그들의 나이와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갈매기등과 나무싯등 처럼 아직도 모레가 불안정한 사주에서는 천이정도와 사주의 나이가 일치하지 않았다.

  • PDF

이용자 감성분석을 통한 하이패스 차로 노면표시 설계 기법 (Designing Pavement Marking for Hi-pass Lane Based on Kansei Engineering)

  • 홍성민;오철;장지용;김광호;박준영;장명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73-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하이패스 차로의 속도감소를 유도하기 위한 적절한 노면표시를 도출하기 위하여 감성공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고속도로 영업소에서는 감속유도를 위하여 하이패스 차로에 갈매기 노면표시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패스 차로의 감속유도를 위하여 갈매기 노면표시 및 Peripheral Transverse Bar(PT bar)에 대한 효과평가를 실시하고, 두 가지 노면표시를 조합하여 6가지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시나리오에 대하여 이용자의 Perception 측정 및 분석을 통한 노면표시 설계 시 Human Factor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빗살무늬의 PT bar 및 $60^{\circ}$ 각도의 갈매기 노면표시의 조합시나리오가 가장 적절한 노면표시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이패스 차량들의 통과속도를 감소시켜 고속도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침습적 성감별 방법에 의한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의 암수 포란행동 (A non-invasive sexing method reveals the patterns of sex-specific incubation behavior in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 주은진;하미라;정길상;윤종민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9-76
    • /
    • 2018
  • 조류에서 성적이형은 암수간 신체크기, 깃털, 색, 또는 행동의 차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갈매기과를 포함한 많은 해양성조류는 깃털 색에서 성적동형을 보이며, 암수가 양육을 공유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성감별을 어렵게 만든다. 쉽고 비침습적인 성감별 도구의 개발은 생활사의 진화에서 암수 양육의 정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육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 번식쌍의 부리-머리 형태를 이용하여 비침습적 성감별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야생 번식쌍의 암수 포란행동의 변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육상태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쌍에서, 수컷은 배우자 암컷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부리-머리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이 성감별 도구를 이용하였을 때 성공적으로 야생 12 번식쌍의 성감별을 수행하였다. 야생수컷과 암컷은 함께 낮시간의 95%를 포란을 위해 둥지를 지켰다. 그러나, 수컷의 포란비율은 일몰시간이 가까워지면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컷의 야간 포란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적동형인 검은머리갈매기의 비침습적 성감별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 하였을때 야생 번식쌍의 암수 포란행동의 변이가 다른 생태적인 요인보다는 일주기와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