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ing Pavement Marking for Hi-pass Lane Based on Kansei Engineering

이용자 감성분석을 통한 하이패스 차로 노면표시 설계 기법

  • 홍성민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장지용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광호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박준영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1.09.17
  • Accepted : 2011.12.07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Effective use of traffic marking can lead to driver's safer driving by speed management and visibility enhancement. One of the critical factors in designing traffic marking is how to incorporate human factor issues into the design process.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Hi-pass marking on Korean freeways based on kansei engineering. Hi-pass marking scenarios made by a virtual reality tool were used to evaluate the user's perceptions. Various combination of chevron angles and peripheral transverse(PT) bars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effective scenario is a combination of 60 degree chevron angle and an askew parallelogramshaped PT bar shape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and outcome will be useful for making safer driving maneuvers.

본 연구에서는 하이패스 차로의 속도감소를 유도하기 위한 적절한 노면표시를 도출하기 위하여 감성공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고속도로 영업소에서는 감속유도를 위하여 하이패스 차로에 갈매기 노면표시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패스 차로의 감속유도를 위하여 갈매기 노면표시 및 Peripheral Transverse Bar(PT bar)에 대한 효과평가를 실시하고, 두 가지 노면표시를 조합하여 6가지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시나리오에 대하여 이용자의 Perception 측정 및 분석을 통한 노면표시 설계 시 Human Factor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빗살무늬의 PT bar 및 $60^{\circ}$ 각도의 갈매기 노면표시의 조합시나리오가 가장 적절한 노면표시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이패스 차량들의 통과속도를 감소시켜 고속도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고시 제2010-3호"(2010), 경찰청
  2. 김갑수, 김정수(2000), "과속방지턱과 차량통과속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논문집 28,1(2000.6) pp.173-181
  3. 노관섭, 이종학, 김종민, 장혜란(2010),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감속유도 노면표시의 효과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2권 제3호, pp.9-16
  4. 노형진(1990), "다변량해석(질적 데이터의 수량화)", 석정출판사
  5. 박상명, 이병주, 남궁문(2006), "감성공학에 의한 운전자의 가로경관 평가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3호, pp.125-131
  6. 박준영, 오철, 김명주, 장명순(2010), "감성공학을 이용한 차내 경고정보 제공방식 평가",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3호, pp.39-49
  7. 왕이완, 금기정, 손승녀, 유재상(2010), "감성공학을 고려한 터널 내부경관 평가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2권 제1호, pp.9-20
  8. 이동준, 박준영, 장명순, 김정룡, 강 경우(2010), "감성공학을 이용한 스쿨존 보행자 신호등 디자인 요소 평가", 제62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129-134
  9. 정재욱(2005), "스텝과 사운드의 정량적 감성반응 분석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60호, Vol.18, No.2, pp.211-218
  10. "하이패스 안전시설 설치기준"(2010), 한국도로공사 내부자료
  11. "하이패스 중장기 계획수립 및 시스템 개선 연구용역 최종보고서"(2010), 한국도로공사
  12. Agent, K R(1980), "Transverse Pavement Markings for Speed Control and Accident Reduction(Abridg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Issue Number 773, ISSN: 0361-1981
  13. Akinori Horiguchi, Takamasa Suetomi(1995), "A Kansei Engineering approach to a driver/vehicle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5, pp.25-37 https://doi.org/10.1016/0169-8141(94)00054-7
  14. Alex Drakopoulos, Georgia Vergou(2003), "Evaluation of the converging chevron pavement marking pattern: at one Wisconsin Location", AAA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
  15. Bryan J. Katz, "Pavement Markings for Speed Reduction, Final Report"(2004),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Turner-Fairbank Highway Research Center
  16. Javeir Zamora, Eric Hilbrand, Peter Allaby, Jonathan Lewis, Darren Charters(2011), "Evaluation of Peripheral and Transverse Pavement Markings for Speed Reduction", 21st Canadian Multidisciplinary Road Safety Conference Halifax, Nova Scotia
  17. Michael Hunter, Saroch Boonsiripant, Angshuman Guin, Michael O. Rodgers, and David Jared(2010),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Converging Chevron Pavement Markings in Reducing Speed on Freeway Ramp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149, pp. 50-58
  18. Seikou Yokoyama, Shigekazu Ishihara, Mitsuo Nagamachi(2010), "Kansei Ergonomics applied to a toilet seat design", Japan Ergonomics Society
  19. Timothy J. Gates, Xiao Qin, and David A. Noyce(2008), "Effectiveness of Experimental Transverse-Bar Pavement Marking as Speed-Reduction Treatment on Freeway Curve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056, pp. 95-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