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호인력정책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ducation Perspective (간호원의 위치에 대한 역사적 고찰 : 교육부문)

  • Han Y.B
    • The Korean Nurse
    • /
    • v.22 no.3 s.121
    • /
    • pp.56-60
    • /
    • 1983
  • 오늘날 건강은 생존하는 모든 인간이 지녀야 할 기본권리로 인정되고 있다. 국민의 복지향상이 없는 경제 발전은 국제사회에서도 신망을 얻지 못하는 현대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수준은 그 사회전체의 문명척도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계 어느곳에서나 인간의 복지 향상과 인권옹호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로 건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인력은 건강 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교육은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 되었다. 간호교육 이념 정립과 제도의 개선을 위해 간호협회와 학계에서는 꾸준한 연구를 계속하여 정책 수립에 반영해왔다. 지금까지의 진료 중심의 간호에서 건강증심의 간호역할로의 전환기에 있음을 인식할 때 바람직한 변화가 올 수 있도록 교육 목표를 설정하는 일에 앞서 간호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사회적 위치를 올바로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 PDF

A Thematic Analysis of Nurses' Work-Family Balance in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간호사신문에 게재된 일-가정 양립 주제분석)

  • Kim, Miyoung;Lee, Kyoung 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446-457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described nurses' work-family balance for fifteen years by drawing on the qualitative thematic approach. From September 14, 2012 to February 10, 2015,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news articles associated with nurses' work and family balance published from 2000 to 2014 in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online. A total of 73 news articl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wo themes and ten sub-themes were derived; under the first theme of the government policy on work-family balance, the 'policies of maternity leave', 'parenting support', 'working condition improvement', and 'family-friendly culture' were identified as the sub-themes. For the second theme of Korean nurses association activities on work-family balance, the 'activities for various working shifts', 'constructing 24 hours childcare facilities', 'supporting unemployed nursing workforce development', 'healthy birth and parenting environment',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 and 'securing nurses for nursing shortage' were identified as sub-themes.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in terms of work-family balance providing a voice for nurses regarding the benefit of maternity leave, increasing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leading the public attention to it in depth.

A study on delegation level of nursing activiti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urnover intention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행위 위임정도, 간호전문직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 Park, Hyun Ja;Kang, Ji Sook
    • 한국노년학
    • /
    • v.39 no.4
    • /
    • pp.903-920
    • /
    • 2019
  • This study was aimed to prepare the evidences for establishing policies on nursing manpower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delegation level of nursing activiti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urnover intention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146 nurses agreed to take part in the research. They worked in six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A and B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16 and analyzed through SPSS 2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s a results, first, as for the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by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levels of delegation of direct nursing activities were 34.63±14.12, and the level of delegation of indirect nursing activities were 1.71±1.75. Second, the mean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ere 3.62±0.77 and 2.71±0.97, respectively. Third, the delegation of direct nursing activities by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nurses in the ward and the number of caregivers in the ward. The delegation of indirect nursing activities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nurses in the ward, the presence of conflicts and stress related to delegation. Fort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by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and with turnover intention. Most of nursing activities, were delegated to nurse aids, since there were no clear guidelines or legal procedures on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ind how to clearly establish positiv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develop a proper nursing manpower arrangement and the guidelines for the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a long-term care hospital in terms of policy.

A Study on the Knowledge of Nurses, Performance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욕창간호지식, 욕창예방 간호수행 및 간호수행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 Jo, Eun-Hee;Kim, Hyun-Suk;Lee, Su-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8
    • /
    • pp.356-365
    • /
    • 2015
  • This study is the descriptive research intended for identifyi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of nursing and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that registered nurses at the aged care hospital possess. A total of 317 nurses who had been working at the aged care hospital for 4 months from March 1 2014 to June 1 2014 were chosen as research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knowledge of nursing on pressure ulcer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group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item of clinic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education time and education frequency(p<.05), In the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only the education frequency among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40). The knowledge of nursing related to pressure ulcer had the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f nursing(rho=-.137, p<.05). Among the factors disturbing nursing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the shortage of nursing staff appeared to be 57.7%.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both increasing the education frequency of preventive nursing and managerial consideration concerning the shortage of nursing staff were needed more rather than the knowledgement of preventive nursing to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Related Factors to Korean Hospital Nurses in Burnout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 Systematic Review

  • Park, S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6
    • /
    • pp.123-130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rucial issue to require further management plan for Korean hospital nurses in burnout during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factors related to hospital nurses in burnout for the COVID-19 outbreak. Appropriate studies in the recent three years were selected from database. To perform a systematic review, the databases of RISS, KISS, DBPIA, and Kyobo scholar were searched using the key words, 'nurse in burnout' or 'burnout for nurse'. Fifty-five references were checked, but only seven studies were decided inclusion criteria to review. It was founded that Korean hospital nurses felt moderate or higher burnout level for COVID-19 pandemic. We were confirmed that related factors of hospital nurses in burnout were personal characteristics, physical symptom, depression,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resilience,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hift work and job stress.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regulating programs for hospital nurses in burnout and to set up a policy and guidelines so as to reduce burnout of nurses working.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전문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수행)

  • Kim, Sang-D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2
    • /
    • pp.6146-6154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in Korea.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2009 APNs' job satisfaction survey of 452 nurses who received the certificate of APN between 2005 and 2008 conducted by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NOVA and t-test analyses using SPSS version 14.0 were performed.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APNs was 2.94 out of 5.00. APNs who were performing jobs as a certified APN had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23, p<.001), higher wages (t=2.23, p<.05), promotion in rank (t=2.56, p<.05), more professional job performance (t=10.52, p<.001), greatest trust in their bosses and coworkers (t=5.31, p<.001), and higher confidence in their job performance (t=5.07, p<.001) than those who were not. The government and the nursing community need to provide the APNs' with the appropriate supply and demand polices, as well as a proper incentive system and job improvement.

Effect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과 조직공정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 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2
    • /
    • pp.369-38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affected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nurses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n August 23th to September 8th, 2017. Results: The model explained 49.7% of the total variance in job embeddedness scor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ospital nurses that had higher perceived nurse practice environment, higher organizational justice, and were older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job embeddedness scores. Conclusion: To enhance nurses' job embeddedness, hospital and nurse leaders should improve nurse practice environment,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taffing and resource adequacy and collegial nurse-physician relations. Additionally, the nurse leaders can facilitate nurses' job embeddedness by creating and maintain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fairness and justice.

Effects of Care Hospital Nursing Staff's Knowledge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on th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병원감염관리 지식이 병원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의 매개효과)

  • Choi, Yun-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7
    • /
    • pp.463-47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nursing staff at care hospital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beliefs between the knowledge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and th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nurses and assistant nurses working at five care hospitals located in Busan, and finally 21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5.0 and SPSS Procee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nowledge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is significant in th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B=2.90, p<.001), and the influence of health belief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as well(B=.52, p<.001). Knowledge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has a direct effect on th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and was also shown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through health beliefs, confirming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baseline data necessary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of nursing organizations in care hospital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s in terms of the effects of knowledge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perceived by nurses and assistant nurses working in care hospitals on th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A Study on Calling, Resillence,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회복탄력성, 리더-구성원 관계 및 간호업무환경에 관한 연구)

  • Lee, Joo-Yeon;Lee, Mi-Hya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313-32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manpow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program by assess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calling, resilience,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callin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while resil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There also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offer motivation to increase calling and resilience from the personal perspectiv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In addition, a program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ntinuous leadership of the hospital administrator to improve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from organizational perspective.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