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수행도

검색결과 1,887건 처리시간 0.028초

일 도시지역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Elders in Urban Regions)

  • 김은하;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25-235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지역 노인의 삶의 질 정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2012년 10월 2일부터 10월 25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의 노인대학에 다니는 65세 이상의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수집하였으며 최종 245부를 분석하였다. 노인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였고, 삶의 질 영역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노인의 삶의 질 평균평점은 3.17(5점척도)로 중간정도의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하위영역별간에는 우울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 간에서 유의미한 양의관계를 보였다. 셋째, 삶의 질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신체적 관계 순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p<0.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삶의 질에 심리적 건강인 우울증상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우울증 완화를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와 프로그램의 적용방안이 요구된다.

뇌졸중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수준에 따른 환자가족의 부담감과 우울정도에 관한 연구 (The degree of burden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 이강이;송영신
    • 혜화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5-566
    • /
    • 1997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degree of burde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level of self-care activity and variables to which affect that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3th to November 20th, 1995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0 caregivers, that is, one family member and 80 patients with stroke who were hospitalized in one oriental medicine hospital in D city.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burden(13 items, 6 point scale), depression(20 items, 4 point scale), and self-care activity(15 items, 5 point sacle)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s, means, t-test and ANOVA with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client's self-care activity was 2.58. The highest score of the self-care activity item was 'returning'(M=3.604), and the lowest score of the self-care activity item was 'shower or tubbathing'(M=1.925). 2) the degrees of self-care activ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ere teste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P<0.01), occupation(P<0.05), and relationships with patients(P<0.05). That is, the degree of self-care activity was higher in men than that of women, and caregiver with job than caregiver without that. In the case that caregiver was a patient's spouse, the degree of self-care activity was higher than other case. 3) The score for family caregiver's burden was higher than the mid level for the 13 items and caregiver's depression was relatively low. 4)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care activity, the group was divided to 3, that is, A( 15-33), B(34-56), and C(57-75). The score of total burden was the highest in group A(M=55.257) and the lowest in group C(M=51.928),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score of objective burden was the highest in group A(M=30.400), and the lowest in group C(M=25.214),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score of subjective burden was the highest in group B(M=26.000) and the lowest in group A(M=24.783),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the highest in group A(M=44.750) and the lowest in group C(M=40.751),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 PDF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Andersen's Behavioral Model (A Convergenc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Paid Care Service: Andersen's Behavioral Model)

  • 김한결;김성국;심현진;이희명;이현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27-337
    • /
    • 2017
  • 현재 입원환자 및 환자 가족의 사적 고용으로 시행되는 유급 간병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자료 (2011-2014)를 활용하였으며, 연간 1회 이상 입원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5,1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을 위해 STATA 12.0 SE를 활용하였으며, 입원환자들의 기본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성에 따른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 및 t-test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입원환자들의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Andersen's Behavioral Model의 3 범주를 단계적으로 모형에 투입하는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은 여성, 고연령, 장기입원 및 장애가 있을 경우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적고용에서 중요한 가구소득 변수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현재 논의 중에 있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대상자 선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대상자 선정에 관한 세부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 Adheren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전혜원;장희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31-244
    • /
    • 2020
  • 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상남도 J시 G대학교병원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고 외래를 내원한 환자 126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후 SPSS/WIN 21.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이행은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삶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의료인 지지, 회복탄력성에서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각된 스트레스, 지각된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가족관계, 불안과 위축, 빈곤과 재정,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지각된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빈곤과 재정, 교육수준, 주관적 삶 만족도가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을 27.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튜터의 역할-Focus group을 중심으로 (The Role of Effective Tutors Recognized b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roblem-Based Learning-Focu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69-476
    • /
    • 2020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효과적인 튜터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PBL을 경험한 적이 있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며, 총 21명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의미 있는 주제를 찾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2개의 주제(동기적 측면과 지식적 측면)와 허용적 분위기 형성, 상호작용촉진을 위한 격려, 학생들의 고른 참여 유도, 동료 참여자, 학습속도 조절, 학습목표에 부합하는 시나리오 및 문제 개발, 학습과정의 진행에 대한 길잡이, 피드백을 통한 지식확장 등의 8개 범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튜터의 역할을 정리하면, 첫째는 학생들이 생각을 자유롭게 펼치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둘째는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셋째는 모든 학습자가 참여하도록 한다. 특히 참여가 저조한 학습자에게는 질문을 하여 적극적인 토의를 촉진시켜야 한다. 넷째는 불필요한 개입은 피하며 토론에 함께 참여한다. 다섯째는 학습속도를 조절하며, 시간을 잘 관리하여야 한다. 여섯째는 목표에 부합하는 시나리오를 개발하며, 일곱째는 학습자의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질문을 중심으로 수업을 운영하고, 여덟째는 학습자의 응답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영아 수면건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an Infants' Sleep Health Program Using a Video for SIDS Prevention Education and Measurement of the Program's Effects)

  • 장숙;김일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19
    • /
    • 2015
  • 목적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욕구이며,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별히 영아기는 수면주기가 불안정하고 영아급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아 초산모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초산모를 위한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Dick, Carey와 Carey (2009)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문헌고찰과 자문위원들의 자문과정을 거쳐 개발되었으며, 소책자, 동영상 및 PPT 슬라이드로 구성되었다.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출산 2주 이내의 초산모들을 대상으로 편의 모집한 총 78명 중 최종적으로 분석한 연구대상자는 59명이었다. 실험군 I, II에게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 II에게는 교육 2주 후 동영상 강화교육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I, II와 대조군 모두 교육 전과 교육 4주 후에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I, II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및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2주 후에 동영상 강화교육을 받은 실험군 II는 실험군 I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초산모의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고, 동영상 강화교육은 현장 강의를 대신할 수는 없으나 초산모를 위한 교육에 보조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5년간 한국 의학드라마에 나타난 간호사 이미지와 역할 수행에 대한 연구 (The Image of Nurses and Their Clinical Role Portrayed in Korean Medical TV Dramas in Recent 5 Years)

  • 김정은;정희정;김한나;손승윤;안슬기;김샛별;손정은;이의진;이효원;정민경;전기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20-132
    • /
    • 2013
  • Purpose: Since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on nurses tends to be shaped substantially by the media,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 of nurses portrayed in Korean medical TV dramas. Methods: This study was on five Korean medical TV dramas in recent five years selected based on their popularity. Ten coders broke into five groups of two. Full episodes of each drama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he coders made assessments separately and cross-matched their analysis, checking with the Holsti's method. Results: Ten of the analyzed twenty nurses were supporting characters. They were mainly in their twenties. Only one nurse was male and 13 (65%) were staff nurses. Nurses were described as strong (30.0%), active (30.8%) and kind (40.0%). They were mostly portrayed discussing patients mainly with doctors (24.4%).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 work, they appeared diligent (37.6%) and communicative (31.6%). Conclusion: There have been positive changes compared to past studies. Despite the enhancement in the image of nurses in medical dramas, there is yet a long way for dramas to properly portray the professionalism nurses truly have. Further research is needed and diverse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the improvement in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nursing profession.

  • PDF

모유수유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f Domestic Research Papers on Breast-Feeding Intervention)

  • 최은영;박복순;박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41-452
    • /
    • 2016
  •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통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국내에서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된 모유수유 중재 교육에 대해 보고된 연구의 특성과 중재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최적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은 1993년 1월에서 2014년 12월까지의 보고된 국내 연구로 4개의 전자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검색결과 76편 중 최종 15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Whittmore와 Knaf의 통합적 고찰 지침에 따라 연구 분석 한 결과 개별교육 중재 논문이 2편, 개별교육과 집단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진 논문은 4편, 개별교육과 집단교육, 전화 상담 및 가정방문 교육이 복합으로 이루어진 논문이 9편이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연구 설계를 통하여, 모유수유 증진에 보다 적합한 간호중재임을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축적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산모의 모유수유 교육에 대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추후 모유수유 교육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침이 될 것이다.

사회복귀예정 수형자의 원예활동 및 원예식물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Plants Preference on Prisoners Scheduled for Release)

  • 이상미;정순진;문지혜;이예지;이숙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87-96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귀를 예정하고 있는 수형자들의 원예치료 및 원예활동에 대한 요구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사회복귀예정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교정 교화 원예치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식물 및 원예활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남성, 40대, 고졸이하가 가장 많았고 사기에 기독교가 가장 많았다. 교정 교화프로그램으로써 원예치료가 제공되는 것에 대해서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약 70%, 교정 교화프로그램으로써 원예치료가 제공되었을 때 60% 이상이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원예활동 경험은 없는 사람이 많았고, '산책, 견학, 여행 등의 식물감상활동'을 가장 선호하고 다음으로 '실내외에서 식물 가꾸기', '식물을 이용한 장식 및 공예활동' 순이었다. 선호하는 식물은 화훼를 가장 선호했고, 화훼식물 중에서는 '난초류'를, 채소식물 중에서는 '열매채소'를, 열매채소 중에서는 '토마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Marital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on Happiness in middle aged women)

  • 신매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78-388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239명으로, 평균연령은 54.15±6.38세 이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간의 차이,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 평균 3.46점((1-5점), 부부의사소통 평균 2.44점(1-5점), 정신건강 평균 1.82점(0-4점), 행복감 3,21점(1-5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서 행복감의 차이는 교육수준(F=3.406, p=.035), 주관적 건강상태(F=7.38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 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행복감은 자아탄력성(r=.393, p=<.001)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신체화(r=-.134, p=.039), 우울(r=-.356, p<.001), 불안(r=-.269, p<.001)과는 부적상관 관계를 보였다.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우울(β=-.437, p<.001)자아탄력성(β=.350, p<.001), 신체화(β=.239 p=.009), 건강상태: 보통(β=-.150, p=.009), 나쁨(β=-.147, p=.015)로 30.4%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4.02,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정신건강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