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과정시스템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온톨로지에 기반한 간호진단 지식모델의 설계 (Design of Knowledge Model of Nursing Diagnosis based on Ontology)

  • 이인근;김화선;이성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68-475
    • /
    • 2012
  • 간호사는 NANDA, NIC, NOC과 같은 간호과정의 표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간호 실무를 수행하고, 간호과정에 대한 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기록하고 있다. 특히, NANDA는 간호진단 분류체계로써 간호진단의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고 있어, 상세한 간호진단 내용의 표현에 어려움이 있다. 그로 인해, 국내 병원에서는 자체적으로 간호진단 목록을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표준이 적용되지 않아 간호기록의 전산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ANDA와 SNOMED-CT와 같은 표준 용어체계를 참조하여 간호진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온톨로지로 구축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은 각 병원 및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간호진단 목록을 체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의료정보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이 가능하고 지식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안한 방법에 따라 경북대학교병원의 여성건강 간호기록 진술문을 분석하고, 간호진단 정보의 추출 및 정련을 통해 112개의 간호진단 용어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이 용어를 이용하여 여성건강 간호진단 온톨로지를 구축하였고, 전문가 평가 및 실험을 통해 개발한 온토롤지의 타당도와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가정간호를 위한 간호과정 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 조현;강인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26-1132
    • /
    • 2009
  • 본 연구는 가정간호사의 표준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진단과 연결된 중재를 분류하고 프로토콜을 전산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료기관간, 또한 의료인간의 격차를 없애고 서비스의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가정간호 표준중재 개발과정과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나누었는데, 가정간호 표준중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가정간호사의 직무분석, 대상자 사정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진단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중재 프로토콜 개발의 4가지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 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크게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을 위한 전략수립과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의 분석, 설계, 운영 및 평가 등의 4개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P시에서 가정간호사업 실시 기관에 근무하는 가정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정간호 정보시스템 매뉴얼을 사용하여 직접 시범, 교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 가정간호중재에 속하는 구성요소를 가정간호정보조사지, 가정간호경과기록지, 가정간호경과요약서, 가정간호종결 요약서 양식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표준 가정간호중재가 개발됨으로써 가정간호사업부서 간의 정보교환이 용이하고 기록의 누락 및 중복을 막을 수 있으며 EMR, HMR 개발시 병원용어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기반 천식환자 간호과정 분석 (Analysis of Asthma Patient Nursing Proces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 김현영;오현수;윤은경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55-6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ursing students' proficiency with ST(Systems Thinking) approach concerning asthma patient nursing process. For this study, 20 nursing students created causality cognitive maps which were consisted of the contents of 'asthma nursing care'. The word association and causality cognitive map were used to estimate ability of the ST. As a result, the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the nursing process with the ST approach, or alternatively they applied low level ST approach and had a lower understanding of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a ST-based nursing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for nurs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ST ability as well as knowledge integration for multidisciplinary practice.

  • PDF

전산화된 간호과정시스템(진단-중재연계시스템)에 대한 유용성 조사연구 (Usefulness about Computerized Nursing Process(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Intervention Linkage) System)

  • 박성애;박정호;정면숙;주미경;이혜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3-191
    • /
    • 2003
  • Purpose : to survey about satisfaction of nurses of NANDA nursing diagnosis and NIC nursing interventions and system's usefulness of information system forusing 10 medical diagnosis. Method : nurses learned about this system and used this system for 4 or 8 weeks. After that survey about satisfaction and usefulness of this system. Result : The good points of the nursing diagnosis systems are a rapid selection, accuracy, convenience of the using system. The good point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system are same as the nursing diagnosis system. About the good points of the general system are easiness, improvement of nursing knowledge, convenience, etc. However, further studies for pilot operations of the system are mandatory. Conclusion : We expect this system can be used in many hospitals efficiently in the future after pilot operations are completed in some hospitals. After verifying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through pilot operations, the further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diagnosis and NANDA nursing diagnosis is also necessary for the generalization.

  • PDF

강의자동녹화시스템을 사용한 수업설계가 아동간호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ass Design using Automatic Recording System on Program Outcomes of Pediatric Nursing)

  • 안성윤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7-2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의자동녹화시스템을 통해 발생한 녹화강의콘텐츠를 학습관리시스템에 연계하여 반복학습하도록 제시한 수업설계를 적용한 후 아동간호학 교과목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로 D광역시 일 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52명으로 총 104명이었다.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chi}^2$ 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강의 자동녹화시스템을 사용한 수업설계를 적용받은 실험군의 제1학습성과(다양한 교양지식과 전공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한다)의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제5학습성과(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임상적 추론을 실행한다)의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을 갖춘 간호 인재를 양성을 위한 학습성과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설계방안을 발전시키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HL7 임상문서구조의 기반 한 간호과정을 위한 간호기록지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ursing Records for the Nursing Process for Use Within the Health Level 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 김화선;트란퉁;김형회;이은주;조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54-1066
    • /
    • 2006
  •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간 정보공유를 위해 간호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임상문서구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의 생성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병원정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간호정보 CDA는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수행과 관련된 코딩시스템을 포함하였고 표준문서의 생성을 위해 CDA생성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개인의 필요한 간호정보를 간호전문가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적정 간호를 제공하며 건강 증진을 도와 생산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국제 표준인 HL7 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하기 위한 확장과 정제과정의 연구를 했으며, 둘째, 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임상문서구조에 대한 본 연구로 말미암아 평생전자의무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과 임상데이터저장소(Clinical Data Repository)를 포함하여 다양한 보건의료기관 간 간호정보 공유의 기반이 될 것이다.

  • PDF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vergence-based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 문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71-284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에 의한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C도 소재 일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64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9월 5일부터 2016년 12월 6일까지였다. 연구결과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 운영 후 문제해결과정 (t=-3.052, p<.01), 임상수행능력(t=-4.279, p=.000),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t=-2.416, p<.05)의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4학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의 임상실습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운영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평가 도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과목별 시뮬레이션실습과목의 통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임상실습에서의 간호과정 전산프로그램 활용결과 분석 - 일 간호대학의 중환자 실습을 중심으로 - (Impact of Applying 'Nursing Process Program' to Nursing Practice - Based on I.C.U Nursing Practice -)

  • 박순옥;박현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4-34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a 'Nursing Process Program' to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2000 to January 2001,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students who were doing clinical practice in the ICU.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st subjects had a personal computer, had experience in using computers for one year and usually did word processing and internet, and wanted computerization of nursing work. The average results of the questions on the need for, and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a 'Nursing Process Program' to clinical practice were, on five point scales, 4.07 and 4.21 respectively.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for suhjects' attitudes toward computers and computer anxiety between before and after using a 'Nursing Process Program'. 3. The total case study frequency using a 'Nursing Process Program' was 68, and 'Risk for infection' was the most frequent nursing diagnosis.

  • PDF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System Thinking 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 조정화;백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43-252
    • /
    • 2020
  • 본 연구는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지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t-test,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해결 적극성(r=.76, p<.001)과 시스템 사고능력(r=.80, p<.001)은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최종단계에서 간호학 전공 적응도, 문제해결 적극성, 시스템 사고능력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회복탄력성을 71.4% 설명하였다(F=34.17,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을 간호 핵심역량으로 포함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과정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Model for New Nurses using a System Dynamics Approach)

  • 최순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3-335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s and relevant variable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to produce a causal map, to build up a simulation model and to test its validity. Method: The basic data was collected from Sep. 2002 to July 2003.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of new nurses was analyzed through a model simulation. The VENSIM 5.0b DSS program was used to develop the study model. Result: This Model shows interrelation of these result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intention of leaving the work setting, decision making ability, and general result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model's factors are characteristic of organization and individual values, task-related knowledge and skills, and emotion and communication that affects new nurses' socialization process. These elements go through processes of anticipatory socialization, encounter, change and acquisition. The Model was devised to induce effectiv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esults within 24 months of its implementation. The basic model is the most efficient and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n the body of nursing.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proper direction for new Nurse'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refore, developing a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Model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could provide a framework that could create effectiv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or new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