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접평가인자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Development of Risk Prediction Index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관로 위험도 예측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

  • Ye Ji Choi;Han Na Jung;Dong Woo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2-402
    • /
    • 2023
  • 상수관망은 충분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 시설물이다. 상수관로의 노후화, 누수 등은 수도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킨다.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한 지능형 상수도관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수도 수질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사전에 취약지점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와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상수관로 위험도와 관련된 평가 인자를 선정하고 분류하였으며, 각 인자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상수도 위험도 평가 항목에 대한 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를 정립하여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지표의 현장 적용성과 실효성 검증을 위해 정량적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문헌 자료의 평가항목들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인자를 31개의 직접 인자와 5개의 간접 인자로 구분하였고, 인자별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직접 인자는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노후도 평가 항목, 지역 특성을 반영한 토양 부식성 항목,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간 계측 항목, 직접적인 수질 결과를 제공하는 정수장 수질 항목, 상수관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자산관리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추후, 위험도 평가 운용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상수도 사고 위험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ment of Quick Sweat Absorbency and High Speed Drying Fabric Using a Psychophysical Method (정신물리학적 측정법을 이용한 흡한속건성평가)

  • 김주용;구지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11-1318
    • /
    • 2003
  • 최근 흡한 속건성은 사이언스 소재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재 성능이다. 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측정 평가법이 존재하고 있지 않고, 몇몇 의류업체에서는 단순히 객관적 속성만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속성인지들의 연속적이 값들이 실제 인체에서는 얼마만큼의 변별력으로 인식되는지 정신물리학적 측정법으로 최소 자극치(PSE)를 구하여 등급을 나누어 보았다. 시료는 흡한속건성 직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Coolmax(R), Coolever(R), 친수성 이중직물의 3개 그룹으로 나누었고, 측정 인자로 객관적 속성인자는 cling force, drying time을, 이와 대응하는 주관적 속성인자는 clinginess, dampness를 측정하고 각각의 PSE값을 구하였다. 그룹에 따라 객관적 속성인자 값들이 이라고 느끼는 PSE 구간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속력을 측정하여 그룹마다의 흡한속건 등급을 정하였다. 또한 설계된 소재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transmissibility라는 인자도 도입하여 수분 전달성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Clinginess, Dampness, Transmissibility 각 인자들을 평가해본 결과 Coolmax(R) 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combustion chamber design and other combustion parameters on the performance of light duty diesel engine (소형 디젤엔진에서 연소실 형상 및 연소관련 주요 인자들이 엔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

  • 이민종;구영곤;장낙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1 no.6
    • /
    • pp.80-88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양산중인 배기량 2.4Liter, 간접분사방식의 소형 디젤엔진에서 연소방식을 직접 분사방식으로 연소계를 재설계하여, 간접분사방식과 직접분사방식에 따른 엔진성능상의 차이점을 비교 평가하고, 아울러 직접분사방식에서 연소실 형상과 연소 관련 주요 인자들의 변경시 엔 진성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직접분사방식 엔진은 간접분사방식 엔진에 대해 동 일출력, 동일 Smoke 수준인 경우 10-15%의 연료소비 저감의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연소관련 부품의 열부하면에서도 유리하였으나, 소음 및 NOx 배출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분사 연소방식에서는 Deep Bowl 연소실 형태의 Cylindrical Type 과 Re-entrant Type 에서 연비와 Smoke 등을 고려한 최적 분사시기가 Re-entrant Type 에서 4.deg. CA정도 늦었으며, 각기 최적 분사시기에서 스옴, NOx를 비교한 결과 Re-entrant Type이 더 우수하였다.

  • PDF

An Evaluation Model on Supply Factors of Urban Park (도시공원의 공급인자 평가모형)

  • Chang, Byung-M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1-1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causal effects of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on visitor satisfaction?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the Korean park planning process,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have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had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452 visitors at 8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08, based on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After the elimination of 96 unsuitable samples,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method. We have found that: 1) Whil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accessibility(ACC) on visitor satisfaction(VS) turned out to be 0.184 and 0.220, respectively, the indirect effect of information(IFM) and promotion(PRM) on VS turned out to be 0.101 and 0.177, respectively. 2) Whil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ervice(SVR) on VS turned out to be 0.130 and 0.236, respectively, the direct effect of ACC turned out to be 0.698. 3) While the direct effect of ACC, SVR and attraction(ATT) on VS turned out to be 0.184, 0.130 and 0.698, respectively, composing 67.96% of causal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ACC, IFM, PRM and SVR on VS turned out to be 0.220, 0.101, 0.177 and 0.236, respectively, composing 42.04% of causal effect. 4) The magnitude of causal effect of supply factors on VS turned out to be ATT(39.98%), ACC(23.14%), SVR(20.96%), PRM(10.14%) and IFM(5.78%) in order, and 5) the causal effect of external supply factors of ACC, IFM and PRM compose 39.06% of the causal effect while that of the internal supply factors of SVR and ATT is 69.94%.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1) Planning for park marketing strategy and remedial directions for existing urban parks, in order to increase visitor satisfaction, be focused on IFM and PRM, especially. 2) The research approach and path analysis method adopted by this research be valid and highly useful for planning and evaluation of other recreation areas. It is recommended that: 1)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2) Evaluation of supply factors by type of urban park be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gricultural Drought through Actual Damage in Cultivated Land: Focusing on Damage Impact Index (실제 농경지 피해 사례를 통한 농업가뭄 심층분석: 농경지 피해영향지수를 중심으로)

  • Hyochan Kim;Hoyoung Cha;Jongjin Baik;Jinwook, Lee;Yookyung Lee;Chang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5-33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뭄정보통계집 내 실제 농경지 피해 사례를 바탕으로 농경지 피해영향지수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먼저, 전국 15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실제 발생한 가뭄피해 사례들을 심층 분석하고, 대상 지역 내 전체 농경지 면적 대비 농경지 피해 면적의 비율을 대표적인 농업가뭄 피해 인자로 선정하였다. 평년 대비 영농기 강수량 및 저수율을 가뭄영향인자로 고려한 후, 실제 가뭄 발생 당시 인자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그 영향 정도를 수치화하여 농경지 피해영향지수를 정의하였다. 추가로, 가뭄피해 발생시기의 농업용수 비상지원 사례에 주목하여 농업용수 비상지원 여부에 따른 가뭄인자의 조건별 농업가뭄 발생확률을 산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대상 지역별 상대위험도 및 농업가뭄 취약 정도를 비교·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정한 농경지 피해영향지수와 상대위험도는 국내 농업가뭄 취약지역을 선정하는 기준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지역별 농업용수 지원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요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Disaster Resilience Focusing on the Local Road under Complex Disaster (복합재해 발생 예상 시 지방도로 중심의 재난 레질리언스 평가체계 구축)

  • Kim, Young-Hwan;Jun, Ky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4
    • /
    • pp.37-46
    • /
    • 2020
  • Although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is emerging around the world, the single definition of resilience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is not clea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of how the definition of resilience relates to similar terms such as vulnerability, recovery, adaptability, and sustainability. In addition, it is because each country and region have different geographic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ach measurement index is different, just as typhoons, droughts, and earthquakes have different types of disast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resilience is reflected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s the ability to recover from'complex disasters (concentrated heavy rain, landslides, earth and stone flows) occurring on local roads or on local roads adjacent to people or facilities. Defined. And it was divided into DRR: Disaster Resilience focusing on the Road. In additi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urveys were conducted to derive road-centered disaster resilience factors,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was established and AHP surve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DRR evalu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HP survey, the weight of direct road disaster influencing factors (drainage facilities, protection facilities, etc.) located inside local roads was 0.742, and the weight of indirect road disaster influencing factors (population, property, etc.) located near local roads. Was found to be 0.258, indicating that the direct impact factor of road disaster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indirect impact factor.

Evaluation of hydrological drought impact according to future population change (미래 인구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가뭄 영향 평가)

  • Shin, Ji Yae;Son, Ho Jun;Kwon, Hyun-Ha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9-299
    • /
    • 2022
  • 수문학적 가뭄 발생의 직접적 영향은 강수부족량이나, 다양한 사회경제적 인자들은 수문학적 가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관리 선진기관에서는 인간의 활동 및 물관리 방식에 따라 수문학적 가뭄을 심화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인간의 물사용이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및 미래의 인구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가뭄의 영향의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인간의 활동이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충정북도 시군지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시군 장래인구 추정값을 미래 인구자료로, 미래 유출량이 산정되어 제공되는 RCP 4.5와 RCP 8.5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미래 가뭄상황 예측하였다. 강수량 및 인구변화가 수문학적 가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하여 코플라함수 기반의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이 활용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강수량, 인구밀도, 수문학적 가뭄사이의 관계 도출을 위하여 활용되었으며, 베이지안 네트워크 내의 결합확률의 산정을 위하여 코플라 함수가 활용되었다. 미래의 강수량 및 인구밀도의 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가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수량이 인구밀도보다 수문학적 가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약 0.2~0.3 정도 발생확률이 크게 산정되었다. 두 인자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강수량이 적고, 인구밀도가 높아지는 조건(F(강수량)=0.1, F(인구밀도)=0.9)에서는 조건부 CDF 변화율이 크게 나타나, 곧 수문학적 가뭄의 위험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구밀도는 수문학적 가뭄의 발생 위험성을 높이 알려져 있으나, 정량적으로 그 값을 제시한 연구 사례는 찾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영향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였으며, 한 인자만의 영향이 아닌 두 개 이상의 인자들의 복합적인 영향 정도를 제시함으로써 수치적인 비교가 가능하게 하였다. 미래 추정 인자가 인구자료가 한정적이라 인구 자료만을 활용하여 수문학적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다른 사회경제적 지표를 활용하여 미래 변화에 따른 미래 수문학적 가뭄의 영향 정도의 비교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뭄 대응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Grain Moisture Meter using Microstrip Patch Antenna at 10.5㎓ (10.5㎓대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곡류의 함수율 측정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기복;김종헌;노상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85-190
    • /
    • 1999
  • 대부분의 물질에 함유된 수분은 물질의 중요한 구성성분중의 하나이며 특히 농산물이나 식품 등에 함유된 수분은 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이다. 각종 농산물 및 식품가공공정 뿐만 아니라 저장단계에서 원료의 수분함량을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원료의 수분함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전기저항, 고주파 정전용량, 근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이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Mo-Si Multilayer Mirror for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극자외선 노광공정용 Mo/Si 다층 박막 미러의 구조 분석)

  • 허성민;김형준;이승윤;윤종승;강인용;정용재;안진호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13-216
    • /
    • 2001
  • 극자외선영역의 빛에대한 Mo/Si 반사형 다층 박막 미러를 스퍼터링 시스템으로 증착하여, 특성을 평가한 결과 3mTorr의 낮은 공정 압력에서 최적의 구조인자를 가진 다층 박막을 증착할 수 있었다. TEM, low angle XRD peak, 반사도 그래프로부터 다층 박막의 구조인자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low angle XRD peak로부터 다층박막의 d-spacing, 층간 두께 uniformity에 대한 정보 및 광학적 정보를 간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최대 반사도는 12.7nm 파장에서 약 53%였으며, low angle XRD에서 추출한 d-spacing 값이 TEM 이미지에서 측정한 값보다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Beef Freshness with Electronic Nose (전자코를 이용한 쇠고기의 신선도 예측)

  • 김기영;이강진;최규홍;최동수;손재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394-399
    • /
    • 2002
  • 국민소득의 증대와 함께 소비자의 고품질 농축산물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하며 고품질인 농축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안전한 농축산물의 생산, 신선도 유지를 위한 유통구조의 개혁, 품질 및 안전성 평가기술개발을 위한 노력이 보다 더 요구되고 있다. 소비자가 믿고 구매하기 위해서는 농축산물에 대한 품질보증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품질 및 유해물질의 판정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많은 농축산물에 있어서 주요 품질인자인 숙도 및 신선도의 변화는 휘발성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냄새의 변화로 나타나므로 이를 측정하여 품질 및 안전성을 간접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기존의 냄새에 의한 품질 판정은 판별전문가에 의한 관능평가법 또는 GC(Gas Chromatography)나 GC/MS(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에 의하여 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관능평가법의 경우 판별전문가의 개인적인 차이, 피로, 건강상태 등에 따라 판정의 객관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GC나 GC/MS를 이용할 경우 냄새분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