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기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34초

인공피부모델 KeraSkinTM을 이용한 유전독성 평가 (Evaluating the Micronucleus Induction Potential for the Genotoxicity Assay Using the Human Skin Model, KeraSkinTM)

  • 이수현;정행선;김설영;김혜수;임경민;정영신;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1-216
    • /
    • 2016
  • 소핵시험은 세포분열 단계 중 간기 세포의 세포질 내 소핵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유전독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이다. 최근 화장품 안전성 평가에 동물실험을 금지하거나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어 유전독성 평가에 있어서도 기존의 동물실험이 아닌 새로운 in vitro 시험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배양인공피부모델인 KeraSkin$^{TM}$을 이용하여 도포 처치된 물질의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2종의 유전독성물질인 mitomycin C (MMC)와 methyl methanesulfonate (MMS)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과 소핵 형성이 유도된 반면, 대조물질인 4-nitrophenol (4-NP)와 trichloroethylene (TCE)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은 관찰되었으나 소핵은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소핵시험이 화장품과 같은 피부적용물질의 in vitro 유전독성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렁이 생체 및 가공제품의 저장안정성 조사 (Preservative Safety Analysis of the Fresh Apple Snails and their Processing Products)

  • 오병태;강성원;최성길;허호진;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0-346
    • /
    • 2008
  • 저장안정성을 검토하여 품질개선방안을 확립하고자, 우렁이 생체 및 반건조 우렁이 제품을 저장하는 기간중, 처리조건별 미생물의 경시적 변화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우렁이의 초기 총균수(${\log}_{10}\;CFU/g$)는 5.6으로 나타나 식품가공과 유통을 위해서는 살균처리가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염침지농도, 건조온도, 건조시간에 따라 우렁이 생체의 조직감, 수분활성도, 건조 특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기 때문에 가공 시에 약 10%의 염농도를 가진 침지액에 침지한 후 냉풍 건조하여 처리하여 저장성이 뛰어난 반건조제품을 제조하였다. 천연 보존제 및 연화제를 첨가하여 진공 포장하여 미생물 검사를 한 결과, 총균수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장균, 효모 및 곰팡이, 호염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가공처리 후 필수적으로 진공 포장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연 식품첨가물의 첨가시 우렁이 중간수분식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에, 가공시에는 파인애플 착즙액을 원료 대비 5% 첨가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우렁이 가공품은 우렁이가 함유한 여러 생리활성기능(항산화, 항염 및 간기능 개선)의 건강식품 이미지를 살리면서 우렁이를 주원료로 한 반건조 제품, 통조림, 건강음료, 분말 등 가공품의 품질특성을 부여된 가공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상엽 물추출물이 다이옥신 유도 독성에 대한 흰쥐의 혈액 생화학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berry Leaf Extract o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 White Rats Exposed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 이윤복;배수정;이다경;박재승;박지원;김병원;황석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99-308
    • /
    • 2013
  • TCDD 독성이 유발된 흰쥐 혈액의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상엽 물추출물 (MLE)의 효과를 조사하였고 통계자료는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증을 하였다. TCDD 투여 시 감소했던 백혈구와 혈소판의 수가 MLE투여로 급격하게 회복(p<0.01)되어 면역기능 개선효과가 있었다. TT에 의해 감소했던 혈중 칼슘 및 마그네슘의 농도는 MLE 투여 시 유의하게 증가(p<0.01)하였으나 인의 농도는 TT군에 비하여 MLE군이 유의하게 감소(p<0.01)하였다. 신장 기능과 관련된 creatinine 및 blood urea nitrogen은 TT군과 MLE군 사이에 유의성은 없었으며, 요산은 TT군과 MLE군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한편 TT에 의해 증가했던 glucose 농도, amylase 및 lipase의 효소 활성도는 MLE 투여시 유의하게 감소(p<0.01)하여 혈당상승 억제효과가 있었다. Total protein, ${\gamma}$-GTP 활성은 TT와 MLE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나 TT에 의해 증가했던 AST, ALT 및 ALP의 활성도는 MLE 투여 시 모두 유의하게 감소(p<0.01)하여 간기능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한편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와 LDL-cholesterol의 경우 TT에 의해 유발된 고지혈 증상이 MLE 투여 시 유의하게 감소(p<0.01)하여 항고지혈 효과가 있었으며 HDL-cholesterol은 TT군과 MLE군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MLE는 TCDD독성이 유발된 흰쥐에서 독성을 완화시켜 주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차전초(Plantago asiatica var. densiuscula Pilg.) 열수 추출액이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한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과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antago asiatica var. densiuscula Pilg. Water Extracts on Rat Serum Lipids and Enzyme Activities Induced by CCl4)

  • 백경연;한준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1-168
    • /
    • 1999
  • 차전초는 무병 장수의 식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주로 잎과 씨가 약재로 쓰이는데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렸다가 잘게 썰어서 사용하고 씨는 익는 대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그대로 사용하였다. 차전초에는 plantagnin과 aucubin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호흡기에 작용하여 기침에 특효약으로 이용되며, 또한 체내의 분비신경을 자극하여 기관지의 점액이나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는 할로겐 화합물로 단백질의 불활성, 효소활성 감소 또는 막의 구조와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간장을 표적장기로 독작용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간장해를 유발한 흰쥐에게 차전초 열수 추출액을 투여하여 혈청 중의 효소활성도와 지질 함량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 손상의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효소인 ALT, AST, LDH와 ALP 활성도는 사염화탄소를 투여함으로써 증가하여 간 손상이 초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증가한 효소활성도는 차전초 열수 추출액을 투여함으로써 양호하게 감소하였다. 2.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함량은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서 증가하였으나 차전초 열수추출액 투여로 양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HDL-cholesterol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로 인해 감소되었으나 차전초 열수 추출액을 병행투여함으로써 증가하였다. 3. 혈청 중의 total lipid, triglyceride 및 phospholipid 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해 차전초 열수 추출액 단독투여군은 양호하게 감소하였고 차전초 열수 추출액과 병행 투여군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차전초 열수 추출액이 간기능을 증강시키며 지질성분과 효소활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차전초의 함유성분이 보간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 PDF

일부 대학생의 B형간염 표면항원과 표면항체 양성률 (Sero-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in University Students)

  • 나지현;조형민;정권태;최성우;박민정;손석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3호
    • /
    • pp.245-253
    • /
    • 2006
  • 남학생 3,391명과 여학생 5,136명 총 8,5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4년 조사결과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2.7%이었으며 표면항체 양성률은 61.1%이었다. 성별로 표면항원 양성률은 남학생에서 3.3%, 여학생에서 2.3%로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 .05) 표면항체 양성률은 남학생에서 59.6%, 여학생에서 62.1%로 여학생에서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 .05). 출생년도에 따른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1980년 이전 출생군 3.8%에서 1986년 출생군 2.3%까지로 최근 출생군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일정한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출생년도에 따른 B형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은 1980년 이전 출생군 38.7%에서 1984년 출생군 71.7%까지로 1983년 출생 이후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일정한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자의 39.6%에서 e항원 양성률을 보였으며 비정상 간기능은 19.1%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극적인 보건교육, B형간염 예방접종 등으로 인하여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지역으로 불리는 우리나라에서도 B형간염 표면항원 및 표면항체 양성률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PDF

發情週期에 EK른 생쥐子宮의 Phosphatase 活性의 變化에 관하여 (Changes in Phosphatase Activity of the Mouse Uterus during the Estrous Cycle)

  • Kim, Moon-Kyoo;Kim, Sung-Rye;Cho, Wan-Ky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1-68
    • /
    • 1980
  • 발정주기에 EK라서 생쥐자궁의 alkaline phosphatase와 transport ATPases의 활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발정주기의 각 시기에 있어서 이 효소활성들의 비율은 대체로 그 양상이 서로 비슷하나, 발정기의 $K^+$-dependent와 $Na^+, K^+$-activated ATPases를 제외한 다른 효소들의 활성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유의하게 (p<0.025) 높았다. 즉, $K^+$-dependent와 $Na^+, K^+$-activated ATPases의 활성은 발정간기에서 발정기에 이르는 동안 무시할 정도이고, 다만 발정후기에 약간의 활성(0.04$\\sim$0.05 $\\mu$M/mg protein/hr), 총활성의 6$\\sim$7%)이 나타났다. 한편, 발정기에서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와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들은 급속히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0.69(35%), 0.42(21%), 1.58(79%)였다. Alkaline phosphatase는 전 발정주기를 통해 0.60$\\sim$1.58(79$\\sim$90%)의 활성을 보여 그 주종을 이루었다.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중에는 $Mg^++$-dependent의 것이 총활성의 12$\\sim$16%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K^+$-dependent와 $Na^+$-activated ATPases는 발정기 때에 자궁액의 누적을 조절하는 요인이 아니고 발정후기에는 자궁상피 속으로 내액을 재흡수하는 요인인 것으로 짐작되며, EH한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는 생쥐의 자궁 상피세포에서부터 내액을 분지하는 데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알코올 투여한 쥐에서 발효유의 섭취가 간조직 내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Milk Intake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s in Alcohol treated Rats)

  • 안영태;배진성;김용희;임광세;허철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31-635
    • /
    • 2005
  • 2주간 에탄올(3g/kg B.W.)을 투여한 쥐에서 항산화 기능이 있는 유산균과 소재들이 함유된 발효유 쿠퍼스^{\circledR}$ 섭취에 의한 간조직내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혈청내 AST와 ALT는 $88.7{\pm}6.5$$41.2{\pm}4.1$(대조군), $l14.6{\pm}7.1$$64.7{\pm}3.8$(알코올군), 그리고 $94.0{\pm}5.5$$44.7{\pm}5.3\;IU/L$(발효유근)으로 에탄올에 의해 유도되는 간수치의 증가가 발효유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GSH-Px와 SOD 활성은 에탄을 투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발효유 섭취에 의해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고(p<0.05), GST 활성은 발효유군에서 122%로 증가하였다. ADH 활성은 알코올군과 발효유군 모두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유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지질내 과산화물은 에탄을 투여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역시 발효유 섭취에 의해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들은 발효유 쿠퍼스^{\circledR}$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유산균과 다양한 항산화물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발효유는 체내 항산화 손상을 낮추어 주며, 간기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 알코올 투여 시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이 체내 지질 조성 및 간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Medicinal Plants Composites on the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During the Short-term)

  • 강민정;신정혜;이수정;정미자;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34-942
    • /
    • 2009
  • 40% 알코올을 1주간 경구투여한 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을 각각 0.5%와 1%(GMP-I) 및 1%씩 (GMP-II) 식이에 혼합하여 3주간 급이하였을 때, 흰쥐의 체내 지질 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vitro상에서 마늘 추출물의 ADH 활성은 20% 알코올농도에서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ALDH 활성은 마늘 추출물 첨가 시 무첨가구보다 활성이 낮았으나, 한약재 추출물 첨가 시 40%의 알코올농도에서 시료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알코올 투여 흰쥐에서 혈당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시 마늘의 급이량이 많아질수록 혈당 저하에 효과적이었다. 혈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인지질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마늘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체내 지질 감소 효과가 높았다. GOT, GPT, r-GTP 및 ALP 활성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TBARS 함량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 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TBARS 함량은 마늘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생성이 억제되었다.

가미십전대보탕의 RAW 264.7 세포에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amisipjeondaebotang in RAW 264.7 Cells)

  • 명정호;이명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71-1277
    • /
    • 2017
  • 가미십전대보탕(이하 KSD로 표기) 추출물은 생약 성분으로 인체 및 동물에 투여 시 세포 독성 및 장기에 중금속 등에 의한 독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SD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중금속 검사, 간과 신장 기능 지표 검사 및 RAW 264.7 세포 생존 시험을 거친 후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KSD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았다. KSD 추출물에서 중금속은 발견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간기능지표인 AST, ALT는 정상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신기능 지표인 Cr, BUN도 정상군과 같거나 낮아 인체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 독성은 대조군 대비 농도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KSD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항염증 효과 측정 결과 NO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10, $100{\mu}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IL-1{\beta}$와 IL-6는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TNF-{\alpha}$는 유의적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KSD는 골절 치료를 위한 생약으로 안전성 및 항산화 및 염증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곰취 유래 3,5-Dicaffeoylquinic Acid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3,5-Dicaffeoylquinic Acid Isolated from Ligularia fischeri against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 박선영;김거유;주진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86-1292
    • /
    • 2017
  • 본 연구는 곰취에서 분리한 3,5-dicaffeoylquinic acid(3,5-DCQA)의 간세포에 대한 보호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소 유전자 발현량 및 간 기능 지표 효소(LDH, GGT, GOT)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 3,5-DCQA를 10, 20 및 $30{\mu}g/mL$ 농도별로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주요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감소한 SOD-1, SOD-2, CAT 및 GPx의 mRNA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epG2 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증가한 주요 간기능 지표 효소인 LDH, GGT 및 GOT 활성이 3,5-DCQA(10, 20, $30{\mu}g/mL$)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곰취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인 3,5-DCQA는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관련 기능성 식품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한 3,5-DCQA의 추가적인 기능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