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각본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송본"상한론"에 대한 고찰

  • Jeon, Cho-Ji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1 s.32
    • /
    • pp.215-2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조개미(趙開美)${\ulcorner}$중경전서(仲景全書)${\lrcorner}$중의 ${\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에 ‘초각(初刻)’과 ‘보각(補刻)’의 구별이 있음을 밝혔다. 초각본(初刻本)은 일본(日本) 풍산비부(楓山秘府)에 소장되어 있는데 오자(誤字)나 궐문(闕文)이 많고 서구(書口)가 일정하지 않다. 이것을 일본(日本) 안정삼년(安政三年) (1856년(年))에 굴천제모(川濟摹)가 새겼는데, 굴천제본(川濟本)(안정본(安政本)이라고도 함)이 중국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조개미(趙開美)는 원판(原版)의 판목상(板木上)에서 오자(誤字)를 바로잡고 궐문(闕文)을 보충하였으며 서구(書口)를 정렬하였는데 이것이 ‘보각(補刻)’본(本)이다. 보각본(補刻本)은 현재 대만 고궁박물원도서관(故宮博物院圖書館)과 중의연구원도서관(中硏究院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다. 북경국가도서관(北京國家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는 것은 대만본의 마이크로필름이다. 1923년(年)에 운철초가 안정본(安政本)을 저본으로 삼아 영인(影印)하고 이를 송본(宋本)${\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이라고 칭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게 되었다. 1990년(年)에 류도주(劉渡舟)가 처음으로 북경국가도서관(北京國家圖書館)에 소장된 송본(宋本)${\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마이크로필름을 저본으로 교주(校注)한 이후에 비로소 송본(宋本)의 전문(全文)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여러 판본을 자세히 비교해본 결과 초각본(初刻本)과 보각본(補刻本)에 많은 차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초각본(初刻本) 사이에도 다른 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쉽게 이해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 PDF

金刻本 "素問" 楬秘 (금각본(金刻本) "소문(素問)"에 대하여)

  • 전초진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7 no.4
    • /
    • pp.81-88
    • /
    • 2004
  •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 24권에서 1권이 망실(亡失)되었다. 금각본(金刻本)은 지금 권3에서 권5, 권11에서 권20이 현존하고 있고 1권이 망실(亡失)되고 모두 13권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의 권3앞 페이지의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 제목밑에 "국립북평도서관수장(國立北平圖書館收藏)"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는데, 이는 바로 1949년전에 원래 국립북평도서관(國立北平圖書館)(지금은 북경도서관(北京圖書館)으로 이름을 바꾸었음)에 수장(收藏)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도서관(圖書館)에서는 이 책의 갈피에 다음과 같은 감정(勘定)문자를 적어 놓았다.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24권에서 l권이 망실(亡失)되고 13권이 보존되어 있는데 권3에서 권5까지, 권11에서 권18까지, 권20이다. 망실(亡失)된 편장(篇章)이 있다. 당대(唐代)의 왕빙(王冰)이 주석을 달았다. 금각본(金刻本) 5책(冊)이 있다." 왕빙(王冰)이 편차(編次)하고 주역(註譯)을 단 "소문(素問)"(즉 왕빙본(王冰本))은 모두 24권인데 그 당시에 이미 권7인 "자법론(刺法論)", "본병론(本病論)"이 망실(亡失)된 상태이다. 현존(現存)하고 있는 "소문(素問)" 금각본(金刻本)은 그 분량이 비록 왕빙본(王冰本)의 1/2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양(量)으로 판정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소문(素問)" 판본학(版本學), 교감학(校勘學) 및 "소문(素問)"석음(釋音)의 연구에 있어서 모두 엄청난 가치를 지닌다. 현존(現存)하고 있는 금각본(金刻本)13권은 "소문(素問)"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 된 각본(刻本)이다. 이 책은 비록 중국의서목록(中國醫書目錄)에 기재되어 있지만 중국에서 간행(刊行)된 적이 없고 의서문헌(醫書文獻)을 연구하는 사람들도 이 책에 대하여 알고 있는 사람이 드물다. 금각본(金刻本)과 "중광보주황제내경소문(重廣補注黃帝內經素問)의 가장 다른 곳은 석음(釋音)부분이다. 금각본(金刻本)은 석음(釋音)이 비교적 많고 글자 밑에 훈고(訓詁) 또한 많다. "중광보주(重廣補註)"본(本)은 석음(釋音)이 비교적 적고 글자 밑에 훈고(訓詁)가 거의 없다.

  • PDF

The Difference of Knowledge Representation: Comparison of Typicality Effects between Categories and Scripts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 차이: 대상범주와 행위각본의 전형성 비교)

  • 이재호;이정모;이건효;김성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52-257
    • /
    • 2000
  • 개념지식인 범주지식과 각본지식의 표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상위 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하위 개념을 목표단어로한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전형조건이 비형성조건에 비해서 명명시간이 빨랐다. 범주지식에서는 전형성의 효과가 관찰되었지만 각본지식에서는 전형성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하위 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상위 개념을 목표단어로한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범주지식이 각본지식에 비해서 명명시간이 빨랐으며, 범주지식에서는 전형성의 효과가 관찰되었지만 각본지식에서는 그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라서 상위-하위 개념의 표상체계가 다르게 구성됨을 시사한다.

  • PDF

Knowledg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Scripts: An Investigation on Hierarchy and Typicality Effects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차이: 범주와 각본의 위계성과 전형성 비교1))

  • 이재호;이정모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73-81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om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f category knowledge and script knowledge. Using primed lexical decision task with higher level primers in the representation structure, Experiment 1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knowledge type and concept typicality.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typicality has some effects in category representation, while it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script representation. In Experiment 2, primers of the lower hierarchy in the representation structure were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knowledge type was significant: the response time for category knowledge was faster than that for script knowledge. Typicality effect did not show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of t the two experiments suggest that category knowledge is represented in hierarchy and typicality. while script knowledge may lack in that characteristics. Other aspects of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category- and script- knowledge representation were discussed,

  • PDF

A Study of Chiyou Park's Bang-kak-bon Bul-jeon and Master Backpa's pil-sak-ki (박치유의 방각본 불전과 백파대사의 "필삭기")

  • Kim Y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 /
    • pp.415-444
    • /
    • 1993
  • Chiyou Park(박치유) published Bang-kak-bon(방각본) at Taein(태인) between 1799-1806 with Ichae Jun( 전이채). They published Sa-yo-chwi-sun(사요취선) and Sa-moon-you-chwi-cho(사문류취초) in 1799. Between 1800-1806 they published Taemyongyoolsi(대명율시). Kongjatongki(공자통기). Hyokyongtaei(효경대의), Tongjaseup(동자습), Komoonchunchip(고문전집), Kongjakao(공자가어), Nongkachipsung(농가집성), and Koohwangcharlyo(구황촬요) until they departed each other in publication of Bang-kak-bon(방각본), In 1823 Chiyou Park(박치유) published again Sayochwisun(사요취선) at Kookockchae (구곡제). He published Taeseungkisinronsopilsacki(대승기신논소필삭기) and Chackpupkwikam(작법구감) between 1815-1827 with Backpataesa(백파대사) who was a Buddhism Monk of Woonmoon-am(운문암) in Backyang Mountain(백양산), Backpataesa(백파대사) was born in 1767, became a monk in 1784 and died in 1851. Backpa(백파) was a famous Budhism scholar who disputed the truth of Zen (선) with Choosa, Chunghee Kim We (추사김정희). He rewrote Taeseungk.isinronso-pilsacki(대승기신논소필삭기), Chackpupkwikam (작법구감), and Zenmoonsookyong (신문수경). Chasun (자선) of Songdynasty (송조) rewrote Pilsakcki(필삭기) before Backpa(백파), which was published at Myouduck-am(묘덕암) of Myongdynasty(명조). It was republshed in Korea several times which are called Sankyesa Copy(쌍계사본) of Back-am(백암), Suckwangsa Copy(석왕사본) of Hamwol(함월), Bongchungsa Copy(봉정사본) of Hoeun(호은), Woonmoon-am Copy(운문암본) of Backpa(백파). Chackpupkwikam(작법구감) is a book of Buddism worsip form which was made of Chaepanmoon (제반문), Paneumchip(범음집), Chineunchip진음집). As a Bangkakbon(방각본) publisher, Chiyou Park believed in Buddhism so heartily that be published Bangkakbon(방각본) and Amkakbon(암각본) which are saved until today.

  • PDF

A Study on the Hangul Banggakbon Novels in the Harvard-Yenching Library (미국 하버드옌칭도서관 소장 한글 방각본 소설 연구)

  • Lee, Hye-Eun;Yoo, Choon-D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2
    • /
    • pp.113-128
    • /
    • 2013
  • This study targets ten titles of Hangul banggakbon novels in the Harvard Yenching Library to examine the bibliography, system,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ten titles, gyeongpanbon Guunmong, Leehaeryongjeon, Chunhyangjeon, Janggyeongjeon, two titles of Sodaeseongjeon, Honggildongjeon, anseongpanbon Yangpungunjeon, and two titles of wanpanbon Hwaryongdo have been found in Korea, too. However, gyeongpanbon Chunhyangjeon, 30 jangbon of Hyogyosingan(孝橋新刊), and wanpanbon Hwaryongdo seogyeseopobon are the ones that can be hardly found in Korea, and the library has possessed it there so far. With the two titles of Hangul banggakbon novels, it will be needed to reexamine the aspects of publishing Hangul banggakbon novels afterwards. Hangul banggakbon novels that Harvard-Yenching Library has now are mostly the ones that can be easily found in Korea, too. It is because the data started to be collected from the 1950's. In comparison with the materials in England, Russia, or Japan in the early 1890's, there are no rare books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 The reason for this may be found from this.

A Study on the Change of Female Characters in Disney Animation Films - Focusing on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의 여성 캐릭터 변화에 대한 연구 - <말레피센트, 2016>를 중심으로)

  • Zhao, wen-jiang;Choi, do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9-60
    • /
    • 2019
  • 2016년 개봉한 <말레피센트>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원작으로 한 판타지 영화이다. 원작 <잠자는 숲속의 공주> 이야기를 바탕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공주와 왕자의 사랑이야기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마녀가 진정한 사랑을 깨닫는 이야기로 각본되었다. 이러한 각본의 특징은 최근 반복적인 이야기 구조에서 벗어나 시청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스토리로써 크게 성공하고 있다. 때문에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근 여성 가치관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대표작품을 선정하고 주요 여성 캐릭터를 대상으로 외모측면, 권력 및 계급 측면, 젠더 측면 등의 캐릭터의 대비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전통적인 여성 캐릭터 이미지와 의미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현 시대가 공감하는 여성의 가치를 중심으로 스토리를 더욱 현실감 있게 표현하여 영화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Bibliographical and Literary Research on the Xinxu(新序) of the Published edition in Joseon (조선간본(朝鮮刊本) 『유향신서(劉向新序)』의 서지·문헌 연구)

  • You, Sueng-hyun;Min, Kuan-do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51
    • /
    • pp.257-257
    • /
    • 2018
  • Xinxu(新序) was published in Korea by 1492. Among the existing editions, the editions that can confirm the realities are the collections of Keimyung University, the Korean Studies Central Research Institute, Kyonggi University, Hujodang(後彫堂),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Japan. The Keimyung University's precious book is the 'first published book', and the old book is the 'later published book' which covers pages 69-70 and 71-72 of the first published book. It is the 'later published book' that has the same side inscribed. The second books, the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Korea Studies and the Kyonggi University Collection are the first published books, and the Hujodang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Japan are on pages 9-10, 63-64, 87-88, 107-108. The corresponding side is the 'later published book'. Comparing the edi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xisting editions of the previous editions have been withdrawn two times, and in the latter editions, the existing editions of four editions can also be confirmed to have been edited three times. In this paper, the literature based on the existing editions was studied and features of the Korean edition were presented. First, we examine the types of paragraphs. In principle, the text is composed of '11 lines and 18 characters', but on the actual version, the number of characters is shown in the table. In the Korean edition of the Joseon dynasty, a blank space appears in the original text. The erroneous letter in the Joseon book was identified the reason for the error was explaine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