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치인식

검색결과 2,251건 처리시간 0.033초

프로야구의 상품마케팅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A study of current awareness and preference o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eam's promotion for products)

  • 박승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238-1245
    • /
    • 2012
  • 본 연구는 프로야구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프로야구의 상품마케팅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를 규명함으로써 프로야구 관람에 참여하고 있는 관람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프로야구 관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성별에 따라서 프로야구 구단의 상품마케팅에 대한 인식(프로구단에 대한 인식, 상품마케팅 전략에 대한 인식), 그리고 상품마케팅의 선호도(상품가치, 상품가격, 상품종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연령에 따른 프로야구 구단의 상품마케팅에 대한 인식(프로구단에 대한 인식, 상품마케팅 전략에 대한 인식), 그리고 상품마케팅의 선호도(상품가치, 상품가격, 상품종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프로야구 구단의 상품마케팅에 대한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품마케팅의 선호도 중 상품가치와 상품가격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특히, 상품가치의 경우, 20대와 30대 간, 20대와 40대간, 30대와 40대 간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연간수입에 따른 프로야구 구단의 상품마케팅에 대한 인식(프로구단에 대한 인식, 상품마케팅 전략에 대한 인식), 그리고 상품마케팅의 선호도(상품가치, 상품가격, 상품종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프로야구 구단의 상품마케팅에 대한 인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상품마케팅의 선호도 중에서 상품가격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특히, 2000-2500만원미만, 그리고 2500-3000만원미만의 집단과 4000만원 이상의 수입을 얻고 있는 집단 간의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POLICY & ISSUES 환경정책 - 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한 이용 정책 방향

  • 장성현
    • 환경정보
    • /
    • 통권405호
    • /
    • pp.5-7
    • /
    • 2013
  • 우리 사회에는 생물다양성을 바라보는 매우 다양한 인식의 스펙트럼이 존재하고 있다. 극단적으로 동식물의 보전을 위해서 인간의 접근을 근원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에서부터, 동식물을 인류 발전의 도구나 수단으로 여겨, 인간을 위해서는 폭넓은 포획과 도축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그 인식의 격차가 크지만 생물자원의 진정한 가치를 생각해 본다면 그 가치가 무한히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the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임민재;조수윤;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77-29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성분 분석(PCA)을 실시하여 요인 6개를 도출하였다. 이 요인은 체계적인 라벨링 과정을 거쳐 6가지 수학교육적 가치 즉 '재미', '문제 해결', '표현', '계산', '능력', '설명'으로 명명되었다.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 모두 '문제 해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설명'을 제외한 모든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해 1학년 예비 초등교사, 4학년 예비 초등교사, 현직 초등교사 순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 사이에 각 가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수학교육적 가치의 구현과 관련하여 더 중요하고 의미 있게 다뤄야 할 것이 무엇인지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about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onsumer on Culture-Art products)

  • 이영선;신은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27-54
    • /
    • 2011
  •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 및 문화예술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화예술정책기관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대소비문화 속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을 사회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적·관념적 창작행위나 그 결과물인 작품에 경제적 교환가치가 부여되어 소비되는 상품이다. 문화예술상품의 특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실제적·개인적 가치재', '사회적 공공재', '미학적·감각적 경험재'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소비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대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합리적 소비, 기호 상징적 소비, 경험적 소비, 반성적 소비라는 복합적인 현대소비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추구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의 특성을 형성하며, 소비를 결정하고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 및 소비자 중심의 문화예술상품 생산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소비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학생들의 ICT 활용 가치 인식 변화에 따른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Value of ICT Use in the Post-Corona Era)

  • 김아라;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8-481
    • /
    • 2021
  • 코로나-19 사태가 발생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온라인 플랫폼이 새롭게 등장하였고, 우리 교육은 수업 변화의 과도기에 놓여있다. 그 결과로 여러 가지 명암이 분명히 존재하는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조사 후,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보고서와 비교하여, 정의적·심동적·가치 인식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ICT 활용 능력 인식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 PDF

미용종사자의 업무가치감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Val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Service Productivity Through Job Satisfaction)

  • 서선민;고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78-289
    • /
    • 2022
  •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업무가치감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서비스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시한 결과는 업무가치감이 높고,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생산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치충족인식, 내재적만족, 업무가치인식, 자기가치인식, 외재적 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생산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용종사자의 업무가치감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Z|=15.057로 Z값이 1.96보다 큰 값을 보여 sobel test에서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용종사들이 스스로 자신의 업무가 의미있고, 가치 있으면 보람되다고 인지할 수 있도록 내적동기를 상승시키고 일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 내재적 직무만족을 향상시킴으로서 서비스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시민의식 형성 영향 요인 : 용인시를 중심으로 (Impacts of Local Civic Consciousness Formation : Focused on the Yong-in City)

  • 전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785-799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복지를 극대화하는 지방자치시대에 있어 지역주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시민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파악하였다. 즉, 지역사회 문제인식의 정도, 개인의 가치 및 태도,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여부 등이 민주시민의식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의 상황과 현실에 맞춘 성숙한 시민의식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용인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지역주민 600명을 대상으로 비례확률층화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경제 환경문제인식, 노인문제인식 등 지역사회문제를 높이 인식하고, 사회적성취욕구, 자아인식, 문화적 가치지향 정도가 높고, 사회활동에 참여할수록 긍정적인 시민의식 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관리자의 국가R&D정보서비스 고객가치 및 업무성과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ustomer Value and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Information Services of the R&D Managers)

  • 서상혁;이선영;이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80-49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가R&D정보서비스(NTIS)를 이용하는 연구관리자를 대상으로 정보고객가치와 업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정보서비스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고객 지향 정보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정보서비스품질은 정보고객가치 및 정보원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고객가치는 정보이용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정보원인식은 정보이용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정보이용환경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과 정보이용환경은 정보품질과 정보고객가치 간의 관계와 정보품질과 정보원인식 간의 관계, 정보고객가치와 정보이용 성과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정보원 인식과 정보이용성과 간의 관계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용자의 고객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환경 분석, 지속적인 정보고객가치 조사 등을 통하여 정보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고 개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가치 인식 연구: 신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 Value Perception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Focus on Smartphone Brands)

  • 김형중;김진화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3-146
    • /
    • 2017
  • 소비자들이 SNS에 공유하는 정보는 소비자들의 구매나 선택에 대한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가치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가치 인식을 계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광고전략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스마트폰 브랜드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과 긍 부정 이미지 분석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가치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별 소비자의 가치 인식에 대한 감성적인 측면과 이성적인 측면에서 차별적인 내용을 선별할 수 있었다. 갤럭시 S7과 아이폰 6S의 경우 출시일 이전에는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출시일 이후에는 이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LG G5의 경우 출시일 이전이나 이후 모두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가치 인식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광고전략 2가지 안을 제안할 수 있다. 갤럭시 S7의 경우 광고전략 개발 시 제품속성에 대한 성능이나 차별화된 기능 등 이성적 측면을 강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LG G5의 경우 광고전략에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느껴지는 행복감, 설레임, 즐거움, 재미 등의 감성적 측면을 광고전략 개발에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가치 분석을 통해 실제 광고전략에 좋은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고전략은 주로 직감이나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 분석으로 광고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 줄 것으로 판단한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Cognition on Benefits and Attributes of Culture-Art Products)

  • 신은주;이영선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77-207
    • /
    • 2012
  • 문화예술상품은 일반 소비재와 달리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중요한 소비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는 특별한 상품이다. 물질적 소비재나 서비스 상품은 상품속성이 주는 물질적 및 비물질적 혜택을 상정하여 상품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상품 소비는 소비자의 경험과 교육 등에 의해 형성된 문화예술에 대한 가치인식에 따라 소비추구혜택이 달라질 수 있고,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은 문화예술상품의 속성을 선택하는 기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질적 연구에서 나타난 개념구조를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 및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의 하위차원을 규명하고,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역으로 적용하여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문화예술상품 생산 및 문화예술 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10대 이상 50대 남녀 6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하위차원은 질적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가치인식은 대부분 추구혜택을 매개로 하여 상품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질적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수단-목적사슬을 역방향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즉,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실제적 편익으로 구체화되고, 소비자는 이러한 추구혜택에 따라 상품속성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구매의사를 결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을 긍정적으로 형성·강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소비 촉진 요인임을 입증하였으며,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에서 소비자 중심의 상품개발과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소비자 정보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