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치사슬체계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9초

대구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 체계와 경영 특성 (Value Chain System and Management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Daegu)

  • 박경숙;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1-186
    • /
    • 2007
  • 본 연구는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의 발달과정 및 입지, 가치사슬체계와 가치사슬 유형별 기업의 경영특성을 중심으로 존립기반을 분석하였다.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은 10명 미만의 소규모 영세업체인 사업화 초기단계의 기업이 중심이고, 최근 들어 온라인 유통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업체의 창업이 활발하다. 이들 업체는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DIP)을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클러스터로 지정된 남구와 중구 등 도심에 집적하고 있다.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체계는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콘텐츠 창작, 콘텐츠 제작, 홍보 마케팅 그리고 유통 배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리한 가치사슬체계를 기초로 하여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의 기업은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 타입은 문화콘텐츠산업에서 콘텐츠 제작만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두 번째 타입은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둘 또는 세 개의 가치사슬을 수행하는 기업이며, 세 번째 타입은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콘텐츠 창작, 콘텐츠 제작, 홍보 마케팅, 유통 배급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네 번째 타입은 콘텐츠 제작을 하되 중심이 아니며 다양한 가치사슬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 PDF

게임산업의 가치사슬체계와 산업으로서의 역할 분석에 관한 연구

  • 최상인;정상엽;신민수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95-700
    • /
    • 2008
  • 본 연구는 게임산업이 과연 산업으로서 가치가 있는 산업이고, 생산성을 가진 하나의 산업으로 볼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가치 사슬 관점에서 게임 산업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게임산업을 플랫폼 별로 나누어 그에 따른 일반적인 분석과 동향,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게임산업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공통적 가치사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게임산업 분석에 관한 명확한 프레임 워크가 연구되지 않고 있으며 세부 구성요소들의 관계, 가치의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 또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임산업을 분석하기 위한 산업 전반의 공통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가치사슬 관점에서 세부적으로 게임산업을 분석한다. 그리고 게임산업의 내부구조와 상호 연결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국가 경제에 있어 게임산업의 역할을 분석하여, 게임산업이 생산성을 가지는 하나의 산업으로서 가치가 있는 산업인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 PDF

음악산업의 공간적 분포 연구 -서울시 음악산업 가치사슬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usic Industry Value Chain in Seoul)

  • 홍보영;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35-347
    • /
    • 2015
  • 음악산업은 창의산업의 한 영역으로 간주되며 문화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그 영향력이 크다. 또한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하여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음악산업은 창의적인 인력과 문화 소비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도시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기에, 음악산업 전반에 대한 연구와 도시 공간 내의 입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음악산업 가치사슬 내 각 가치체계별 도시공간내 입지를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음악산업은 기획, 제작, 유통, 판매, 그리고 음악공연업으로 가치 체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산업 가치사슬은 도시 공간 내에서 클러스터링을 이루며 공간적 자기상관을 보이는데, 가치사슬별로 주요 집적지역은 다르나 강남, 구로, 마포, 종로 일대 지역에 집중적으로 위치한다.

  • PDF

융합형콘텐츠의 핵심요소 연구 : ICT·가치사슬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ey Competency of Converged Contents : Focused on the ICT and Eco-system Viewpoints)

  • 이태민;장홍준;정영희;김자미;정순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81-1283
    • /
    • 2012
  • 향후 도래할 융합시대의 국가적 발전을 위하여 6T 첨단기술 간의 융합기술을 예측하고 지원하기 위한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전략 산업 발굴 및 R&D 지원을 위해서 새로이 발생할 융합기술의 분류체계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6T중 문화(Culture)와 기술이 상호적으로 융합하여 만들어지는 CT(Culture Technology)를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구체적으로 CT를 통해 생성되는 융합형 콘텐츠의 분류체계의 핵심요소 도출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ICT 관점에서 융합형콘텐츠의 핵심요소로서 시장성, 응용성, 독창성, 핵심성을 도출하였으며, 생태계적 가치사슬 관점에서 창작성, 가공성, 창출성을 핵심요소로 도출하였다. 또한 융합형콘텐츠의 융합 단계를 창의 혁신 단계로 바라보았으며, 이러한 단계에 따라 ICT 및 생태계적 가치사슬 관점에서 가지는 핵심요소가 다름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융합형콘텐츠의 발전 단계로 구분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융합형콘텐츠의 발전방향을 바라보아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경북 문화산업의 가치사슬 특성 (The Value Chain of Cultural Industry in Gyeongbuk)

  • 최정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60
    • /
    • 2006
  • 가치사슬 분석은 기존의 정량적 산업분석과는 다르게 분석의 초점이 단순 제조에서부터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에 공급하는 활동에까지 맞추어지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이 경제의 서비스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계가 불분명한 문화산업을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분석틀이다. 본 연구는 경북 문화산업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경북 문화산업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가치사슬내 활동을 통한 혁신창출메카니즘의 이해를 통해 문화산업역랑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부가가치단계이자 상대적으로 저학력 인력을 필요로 하는 유통 배급 및 홍보 마케팅 업체의 창업 및 유치를 도모하고 전문화를 강화시킨다. 둘째, 기업간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장비의 공동 구입 및 이용 지원, 인력 및 기술 정보 교류를 활성화시킨다. 셋째, 이원화된 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방된 기업문화를 육성한다.

  • PDF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분석 (Value Chain Analysis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Application)

  • 최원욱;홍상기;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73-87
    • /
    • 2014
  •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VGI를 지원하는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10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10C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를 통하여 VGI를 생산하는 23개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체계를 분석하였다. 가치사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VGI의 생산, 수집, 전달, 이용 측면에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문화기술(CT) 분류체계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 -기술분류체계 및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Standard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Culture Technology - Analysis of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s and Demand Survey)

  • 조용래;김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84-192
    • /
    • 2009
  •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핵심 기술로서 점차 그 중요성과 비중이 커지고 있는 문화기술(CT)의 표준화와 CT 분류체계의 정립을 위한 정책적 방향과 그 우선순위를 업계에 대한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우선 기존 연구 및 과학기술분류체계를 포함한 관련 체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CT와 문화산업에 대한 산업적 정의에서의 관점인 콘텐츠 가치사슬 분석에 입각한 창작/기획$\{rightarrow}$제작/표현${\rightarrow}$유통/서비스${\rightarrow}$보존/관리의 중분류와 이에 따른 세부 기술들이 소분류로 편성된 형태의 'CT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표준화 수요 조사결과, '제작기술' 부문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우선순위로 파악되었다. 고안된 CT 분류체계를 반영하여 진행된 조사에서는 '제작/표현' 및 '창작/기획' 뿐 아니라 콘텐츠의 관리 측면에서의 '유통/서비스' 부문에서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CT 분류체계 내의 세부 기술의 구체화 및 관련 효과의 계량화 그리고 정부 및 학계의 위원회 운영을 통한 산업 환경과 앞으로의 기술 체계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의 공공도서관 이용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lderly People's Value System of the Public Library Use: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Seoul)

  • 최유진;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1-1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유와 가치체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15개 공공도서관에서 만 60세 이상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29일~11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306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치체계는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 MEC)을 토대로 공공도서관 이용의 속성, 혜택, 가치 연결 관계를 가치계층도로 도식화하였고, 만 65세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가치체계는 책을 읽거나 빌려본다(속성) ${\rightarrow}$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혜택) ${\rightarrow}$ 나 자신에게 만족한다(가치)였다. 공공도서관을 이용함으로써 도달하는 가치에 대해서는 두 집단 공통적으로 스스로에 대한 만족, 성취감, 재미와 즐거움, 삶에 활력이 생기는 것을 느낀다고 답하였는데, 만 65세 이상 노인은 공공도서관 이용이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은 공공도서관의 전통적 기능과 관련된 부분을 주요 속성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은 노인이 활기찬 노년을 보내는 데 적절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광 기술의 현황과 전망

  • 조은철;이원재;전민성;이준성
    • 기계저널
    • /
    • 제49권11호
    • /
    • pp.28-33
    • /
    • 2009
  • 이 글에서는 태양광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해외 선진업체의 개발 현황과 기술 수준을 소개하고, 국내 태양광 산업현황을 가치사슬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의 태양광 연구개발 및 산업화를 추진하기 위한 정부의 태양광 R&D 추진체계를 소개한다.

  • PDF

가치사슬분석법에 기초한 농업분야 공유가치창출(CSV) ODA 사례분석 - 베트남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사업 - (A Case Study on the ODA for Creating Shared Value (CSV) in Agricultural Sector Based on the Value Chain Analysis - Project for Establishment of Seed-Potato Production System in Vietnam -)

  • 지성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1호
    • /
    • pp.31-44
    • /
    • 2018
  •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ject for Production Facility and Technical Support of Processed Seed-Potato (2008-2010)" based on the Value Chain Analysis (VCA) used to create and pl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 project is the earliest model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the case analysis, a framework was establish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impact of the CSV project based on the main factors of the VCA.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project participation by OSI was able to increase the overall utility by developing the Vietnamese potato processing industry and meeting consumer demand. Furthermore, it formed a business model to promote win-win cooperation and upgraded the value chain of the potato industry.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incom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farmers and communities by providing technical guidance and purchase of contracts, as well as labor divis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activity suppor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