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축 관리

Search Result 45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여름철의 돼지 수태율 향상방안(사양관리측면)

  • Lee, Jang-Hyeong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18 no.6 s.202
    • /
    • pp.166-171
    • /
    • 1996
  • 여름철이 되면 평균 기온이 27도씨이상 되는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장마로 인하여 습도가 높아지면 불괘지수가 높아져서 관리자들도 모든 일이 짜증스럽고 주위가 산만해지기 쉬운 계절이다. 또한 여름철에는 양돈장에 파리와 모기 등의 해충이 많이 발생하고 유해 가스가 많이 생기며 사료가 쉽게 변질되는 등으로 돼지의 사육에 직접 간접으로 불리하게 미치는 영향이 커서 발육이나 번식 능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특히 돼지는 선천적으로 다른 가축에 비하여 땀샘이 퇴화되고 피하지방이 두껍고 체지방축적이 많은 관계로 더위에 매우 약하므로 무더움 여름철에는 신진대사와 호르몬 분비 조절기능이 비정상적인 경우가 많아 사료섭취량 감소, 발육 지연 및 번식 성적에 관련되는 발정, 배란, 수태율, 산자수 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여름철에는 다른 계절보다 돼지의 사육에 적합한 온도, 습도, 환기 등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서 쾌적한 사육 환경을 조성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그 중에서도 여름철에 돼지의 수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 대책을 강구해야겠다.

  • PDF

The Study of Standardized RFID Code Applied on Secure Food traceability System (농수축산물 RFID코드체계 표준화 관련 연구)

  • Par, Jong-Man;Hong, Yo-Hoon;Park, Se-Hwa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254-257
    • /
    • 2008
  • 안전식품에 대한 요구와 국제적 관심사로 대두된 농수축산물의 이력추적관리시스템에 RFID 기술 적용 시, 객체식별을 위한 국제표준 준수와 국가별 표준 코드체계의 정립이 최우선시 된다. 최근 국내에서 표준화 고시된 가축 및 동물개체식별체계 상의 코드구분, 적용형태, 중복, 호환성 및 복제방지 등에 대한 단점 지적과 이견으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1)에서는 기존의 국내외 이력추적관리 및 개체식별코드체계 관련 쟁점 및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 후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 PDF

Individual Pigs Detection System using YOLO (YOLO를 이용한 개별 돼지 탐지 시스템)

  • Lee, Junhee;Chea, Heechan;Lee, Jonguk;Park, Daihee;Jung, You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24-726
    • /
    • 2017
  • 국내 축산 농가에서는 효율적인 가축관리를 위하여 이유 자돈들을 따로 합사하여 관리한다. 이 과정에서 생기는 돼지들의 공격적인 행동은 다른 돼지들에게 물리적인 상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돼지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돼지들의 행동분석 시스템 이전에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만 하는 개별 돼지 탐지에 초점을 두었으며, 연구에 필요한 영상은 조명변화에 강인한 키넥트 카메라를 이용하여 취득하였다. 취득한 영상은 전처리과정을 거치게 되고, 전처리가 끝난 이미지는 YOLO에 적용되어 개별 돼지를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실제 국내 돈사에서 취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Livestock Organic Wastes Recycling Policy (축산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정책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Kim, Won-Tae;Suh,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2
    • /
    • pp.523-53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priorities and implications for the organic resource conservation policy in the livestock sector.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the organic waste resource reclamation of livestock sector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he importance average for the resource recycling of livestock organic waste was 3.63 and the average of performance was 3.04. As a result of the IPA on livestock manure recycling measur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feed quality, establish a local recycling system, increase demand for compost and liquid, enhance customer linkages, and develop cost reduction technologies. It requires intensive support for promoting the spread of odor reduction technologie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biomas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mid- and long-term measures such as the revival of feed in tariff, promote by-product feeding, establish solid fuel process management standards, create hygiene safety standards, develop eco-beads and promotion of feed conversion.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odor reduction technologies and prepare consultative organizations among related departments, develop eco-friendly solid fuel technology, and support policies for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Pig Image Learning for Improving Weight Measurement Accuracy

  • Jonghee Lee;Seonwoo Park;Gipou Nam;Jinwook Jang;Sungho L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7
    • /
    • pp.33-40
    • /
    • 2024
  • The live weight of livestock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ir health and housing conditions, and i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feed and the timing of shipment. In general, it takes a lot of human resources and time to weigh livestock using a scale, and it is not easy to measure each stage of growth, which prevents effective breeding methods such as feeding amount control from being applied. In this paper, we aims to improve the accuracy of weight measurement of piglets, weaned pigs, nursery pigs, and fattening pigs by collecting, analyzing, learning, and predicting video and image data in animal husbandry and pig farming. For this purpose, we trained using Pytorch, YOLO(you only look once) 5 model, and Scikit Learn library and found that the actual and prediction graphs showed a similar flow with a of RMSE(root mean square error) 0.4%. and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0.2%. It can be utilized in the mammalian pig, weaning pig, nursery pig, and fattening pig sections. The accuracy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improved based on variously trained image and video data and actual measured weight data.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breeding management will be possible by predicting the production of pigs by part through video reading in the future.

Analysis of methane Emissions on Paddy Water Management Methods (벼 재배 논물관리기술에 따른 메탄 배출량 분석)

  • Hyeon Yong Jeong;Tae Hwan Lee;Dong Hyuk Kum;Min Hwan Shin;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6-466
    • /
    • 2023
  • 전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 위한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논물관리기술 확산, 가축분뇨 자원순환 등 농업 분야 탄소 저감 계획을 수립하였다. 특히, 논물관리기술을 통한 탄소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적합한 논물관리기술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에 적합한 논물관리기술 모델 개발을 위해 강원도 원주시 일대 6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여 메탄 발생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각 시험포는 상시담수(S1), 4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2), 4주 중간 물떼기+얕게 대기(S3), 3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4), 2주 중간 물떼기+얕게 걸러 대기(S5), 2주 중간 물떼기+얕게 대기(S6)로 논물관리기간을 다르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포에는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을 위해 각각 3개의 챔버와 논물관리를 위한 자동물꼬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메탄발생량 모니터링은 2022년 5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5개월 동안 25회 진행하였다.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 결과 S1은 423.1 kg/ha, S2는 348.4 kg/ha, S3은 396.4 kg/ha, S4는 164.7 kg/ha, S5는 347.9 kg/ha, S6은 234.1 kg/ha 의 메탄이 배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와 같이 S1에서 메탄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S4에서 가장 적게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에서 발생되는 메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토양 유기물, 토양 산도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앙 전과 수확 후 토양분석을 진행한 결과 시험포별 인자별 변화량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논물관리기술에 따른 토양유기물 및 토양 산도 변화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메탄 발생량 모니터링을 통해 강원도 지역에 적합한 논물관리기술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in southern region of Republic of Korea (한국 남부 지역별 돼지 장내 미생물생태 비교분석)

  • Kim, Jungman;Guevarra, Robin B.;Nguyen, Son G.;Unno, Tatsuya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1 no.1
    • /
    • pp.81-85
    • /
    • 2015
  • Since the banning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the death of livestock has been increased, thus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AGP-alternatives. Modulation of gut microbiota has been reported to affect host physiological functions and suggested to be a novel approach for developing AGP-alternatives. However, little has been understood about livestock gut microbiota compared to that of humans. We conducted preliminary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regarding to regional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Swine fecal samples were obtained from farms in Jeju (n=40), Gwangju (n=28), and Haenam (n=30). MiSeq was used to sequence 16S rRNA V4 region, and Mothur pipeline (Schloss et al., 2009)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 total of 5,642,125 reads were obtained and 3,868,143 reads were remained after removing erroneous reads. Analysis of taxonomic composition at the phylum level indicated greater abundance of Firmicutes among Jeju swine, and cluster analysis of distribution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also showed regional differences among swine gut microbiota.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abundance of phyla suggested that the phyla Actinobacter, Verrucomicrobia, Firmicutes, and Fibrobacteres were driving factors for the regional differences. Livestock gut microbiota may be affected by diet and practices in farms. Our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suggesting that future livestock gut microbiota studies should be designed with the regional differences in mind.

Effects of Animal Manure Compost, Tillage Method and Crop System on Soil Properties in Newly Organic Corn Cultivation Field (신규 유기농 옥수수 재배 시 가축분 퇴비, 경운방법 및 작부체계가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 An, Nan-Hee;Lee, Sang-min;Cho, Jung-Rai;Nam, Hong-Sik;Jung, Jung-A;Kong, Min-jae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6 no.4
    • /
    • pp.31-4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ic farmland soil and nutrient management on soil properties depending on organic (animal manure compost and green manure [hairy vetch]) and chemical fertilization, tillage and no-tillage, and crop rotation (corn-wheat, corn-.hairy vetch).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such as animal manure compost and hairy vetch, increased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e soil microbial density and microbial biomass C content as compared with the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unctional diversity of soil microbial community wa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the crop rotation and single cropping, the soil chemistr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s, but the corn-wheat and corn-hairy vetch rotation treatments tended to have higher microbial biomass C content and shannon's diversity index than the single cropping.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illage and no-tillage treat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strate utilization of soil microbial community between tillage and no-tillage treatmen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bial activity revealed that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exchangeable potassium cont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substrate utilization, and substrate richness. To conclude, organic fertiliz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hort-term improvem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ies.

A Study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Data Base Considering Hwang River watershed Characteristic (황강 유역특성을 고려한 데이터기반 수질개선방안 연구)

  • Jo, Bu Geon;Jung, Woo Suk;Lee, Jong Mu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7-127
    • /
    • 2018
  • 우리나라 자연수역의 수질이 산업활동으로 배출된 오 폐수와 토지 및 가축에의한 하천오염의 심각성 및 보존에 대한 문제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모델링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황강은 합천댐하류에서 낙동강 본류로 합류될 때까지에 해당하며 황강유역은 각 소하천에서의 유입되는 오염원과 임야 및 농촌지역으로서 각 시기에 발생하는 비점 오염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하천의 수질 모델링은 해당 수계의 오염부하량, 유출량 등 환경요인의 변화에 이에 따른 하천수질 목표지점의 수질변화를 모의함으로써 합리적 접근방법으로 효과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QUAL계열 모델 은 수질항목, 수역 특성, 기타 기초 자료의 제공여건 등을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 요소와 기여 특성을 반영한 모의와 해석이 최적화된 QUAL-MEV 모델을 이용하였다. 수질개선방안 시나리오에서는 기존의 수질모델링 연구에 데이터 분석을 포함하여 각 인자간의 연관성 및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수질개선방안에 있어 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부하량위주의 기존 시나리오 구성과 데이터분석 기반의 시나리오를 비교 분석하여 각 시나리오의 장 단점을 비교하여 유역맞춤형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Traceability Management Model Supporting Safety Critical Transaction of Livestock Products (축산물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이력추적관리모델)

  • Choi, In-Young;Jung, Soon-Ke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9
    • /
    • pp.87-97
    • /
    • 2010
  • A set of definitions for traceability and quick recall service function were urgently needed to facilitate handling of events threatening food safety caused by livestock diseases or germ contaminations. However, the research on the unified management system for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livestock products distribution was scarce. The livestock products traceability evaluation model proposed in the paper was composed of four modules: the Forward Transaction Trace (FTT) module, the Backward Record Trace (BRT) module, the Forward Product Trace (FPT) module, and the Origin Pedigree (OP) module. The evaluation indexes for each module was included and finally a pilot system evaluating the proposed management model was suggested and displayed. The result of the paper was expected to be a solution to the distributed traceability system and the proposed traceability management model could be expected to any food trace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