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쪽넓은근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신발굽 높이와 Wedge 위치 변화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Heel Height and Wedge Position)

  • 이현주;김소정;김순종;김혜지;박보람;박소영;유정화;태기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91-297
    • /
    • 2014
  • 본 연구는 30명의 여성에게 내 외측 wedge 삽입과 함께 flated heel 또는 5cm heel을 착용하도록 한 후, 넙다리네갈래근 중 안쪽빗넓은근(VMO)과 가쪽넓은근(VL)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내외측 wedge 모두에서 flated heel 군에서는 가쪽넓은근이, 5 cm heel 군에서는 안쪽빗넓은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쪽넓은근에 대한 안쪽빗넓은근의 근활성도비(% VMO/VL) 또한 5cm heel 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변수가 wedge의 내외측 위치보다는 힐의 높이에 의함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무릎통증이나 무릎 불안정성으로 인한 하지 재활훈련 또는 하지보조기 제작 시에 하지 근육의 선택적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변수로써 heel 높이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정적 스쿼트 운동 시 키 높이 깔창이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ick insoles on lower extremity muscular activity during squat exercise)

  • 이준철;백홍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337-344
    • /
    • 2019
  • 본 연구는 경남소재 H대학에 재학 중인 20~30대를 대상으로 연구목적, 연구내용, 측정방법을 설명한 후 본 실험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남녀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스쿼트 운동시 세 가지 조건, 즉 선자세, 60도 굴곡자세, 90도 굴곡자세 저항에 따른 넙다리곧은근,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앞정강근, 장딴지근 활성도의 전후차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저항에 따른 각 근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다. 60도 무릎관절 굴곡, 90도 무릎관절 굴곡시 앞정강근을 제외한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 장딴지근에서 통계학적으로 근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90도 무릎관절 굴곡시에는 안쪽넓은근에 비해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의 값이 큰 것으로 나타나 슬개대퇴동통증후군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키높이 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운동의 슬개대퇴동통증후군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키높이 깔창을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비탄력 테이핑을 이용한 무릎뼈의 아래 안쪽 활주가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eromedial gliding of patella using non-eleastic taping on muscle activity of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during sit to stand)

  • 윤상혁;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9-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비탄력 테이핑을 이용한 무릎뼈의 안쪽 활주와 아래 안쪽 활주가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측정 결과, 안쪽 활주와 비교하여 아래 안쪽 활주를 적용했을 때 안쪽넓은근의 근활성도가 전체 근활성도 대비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릎뼈의 안쪽 활주보다 아래 안쪽 활주가 무릎관절의 안정성에 더 큰 기여를 하며, 특히 무릎넙다리 통증증후군의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무릎뼈를 아래 안쪽 방향으로 활주 시킬 수 있는 보조기 및 운동복 등의 개발은 무릎관절의 건강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능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생체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iofeedback Fusion Postural Control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of the Stroke Patient)

  • 김제호;엄요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19-32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생체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훈련을 중재하여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다리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생체 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실험군 15명과 일반적인 생체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8주간 주 5회, 30분간 시행하였고, 다리 근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근전도를 이용하여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를 측정하였다.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iorecue를 이용하여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 다리 근활성도 비교에서는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균형 능력 비교에서는 신체 중심 이동면적, 총 궤적 길이, 안정선한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기능적 전지 자극을 이용한 생체되먹임 자세조절 훈련이 일반적인 생체되먹임 자세조절 훈련 보다 다리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건강한 여성에 대한 근전도를 이용한 생체되먹이기 훈련이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와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Training on the VMO/VL Electromyographic Activity Ratio and Onset Timing in Women without Knee Pathology)

  • 김현희;송창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05-613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MO/VL ratio and onset timing using EMG biofeedback training over a 5-day period. Methods : Twenty-one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no known right knee musculoskeletal dysfunction were recruited this study.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by surface electromyography(Myosystem 1400A, Noraxon Inc., U.S.A).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wo-way repeated ANOVA to know difference between the vastus lateralis and vastus medialis oblique onset timing differences, VMO/VL ratio. Results : Biofeedback training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VMO/VL ratio and EMG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 These result indicate that biofeedback training on the vastus medialis oblique has effect on the VMO/VL ratio. EMG biofeedback can be recommended for the facilitation of VMO muscular recruitment.

속도가 다른 트레드밀 훈련이 다리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eed Variations in Treadmill Training on Thickness of Lower Extremity Muscles)

  • 박치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63-37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속도가 다른 트레드밀 훈련이 다리 근두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학생 남녀 36명을 평보군 (n=12)과 속보군 (n=12), 교차보행군 (n=12)으로 나누어 평보군은 평균 속도의 100%의 속도로 훈련을 실시하였고, 속보군은 평균 속도의 130%의 속도로 실시하였으며, 교차보행군은 130%의 속도와 100%의 속도를 각각 교차하면서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은 6주 동안 시행하였고, 주당 3회, 회당 60분간 시행하였다. 측정은 넙다리곧은근과 가쪽넓은근, 장딴지근, 앞정강근의 두께를 비교하기 위해 초음파영상장치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넙다리곧은근, 가쪽넓은근, 장딴지근에서 시간에 따라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앞정강근에서는 시간에 따라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평속보다는 속도를 달리한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다리 근육의 두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신경계나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에서 무릎관절 각도별 스쿼트 융합운동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에 미치는 효과 (A Effect of the Squat Convergence Exercise Among Knee Joint Angle on Quadricpes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조상희;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3-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넙다리네갈래근 중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강화를 위해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자세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이 있는 20명의 환자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무릎관절 굽힘 각도 $45^{\circ}$, $60^{\circ}$, $90^{\circ}$ 자세에서 정적인 스쿼트 융합운동을 30초 동안 총 5회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넙다리네갈래근 각(Q 각)과 넙다리 둘레이며, 무릎관절 자세에 따라 스쿼트 운동 전후로 측정되었으며 그 변화률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넙다리네갈래근의 무릎관절 각도별 MVIC 변화율은 $90^{\circ}$ 무릎관절 굽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Q 각과 넙다리 둘레의 변화율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무릎통증증후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강화를 위해서 무릎관절 $90^{\circ}$ 굽힘된 스쿼트 자세가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계단오르기 동안 가방의 무게와 가방메기 형태가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g Weight and Carrying Bag Position on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Muscle Activity Ratio during Step up in Healthy Adult)

  • 조현래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9-55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oss bag weight and carrying bag position type on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muscle activity ratio during step up. Method : Twent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randomized performed step up with bag weight less than 15%, more than 15% of totalbody weight and without bag and carrying bag position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with surface electromyograph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uscle activity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ipsilateral bag position more than 15% of body weight(p<.05). Also, the muscle activity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contra lateral bag position more than 15% of body weight(p<.05). Conclusion :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pplied carrying bag position with weight on VMO,VL muscle activity ratio during step up down. Therefore carrying bag position can be used to selective activate vastus medialis oblique muscle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건강한 여성의 하이힐 계단오르기 보행이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와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e Heel Height on the Onset of VMO Relative to VL and VMO/VL EMG Ratio during Stair Ascent in Women without Knee Pathology)

  • 김현희;송창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5-14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set timing of vastus medialis oblique(VMO) relative to vastus lateralis(VL) the VMO/VL electromyographic(EMG) ratio according to heel height Methods: A repeated measures design was used. Fifteen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no known knee musculoskeletal dysfunction were recruited this study. They carried out a standardised stair acent activity under 4 conditions; barefoot, and with heel height of 1, 3, 7 cm.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by surface EMG (Myosystem 1400A, Noraxon Inc., U.S.A). Data were analysed using $1{\times}4$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Onset timing differed with heel height(p<.05). However, the VMO/VL EMG rati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ditions. Conclusion: We found that 7 cm heel height delayed in VMO onset compared with 3 cm heel height during stair ascent, but no change in the relative EMG intensity of VMO and VL as measured by th VMO/VL ratio. The findings indicate that high-heeled shoes may have disadvantages in knee stability because of delayed onset of VMO. Due to a lack of knee joint stability, wearing of high heeled shoes should be avoided.

무릎뼈 테이핑이 계단보행 시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atellar Taping on the EMG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during Stair Stepping)

  • 김현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9-25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e(VMO) and vastus lateralis(VL)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patellar taping during stair stepping. Methods: Both VMO-VL onset timing and VMO/VL ratio of 15 participa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were measured using an surface EMG uint(Myosystem 1400A, Noraxon Inc., USA). The measurements were taken under three conditions in random order of patellar taping, placebo taping, and no-taping. Data were analysed using $1{\times}3$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atellar taping on VMO/VL amplitude compared with the placebo taping and no-taping conditions during stair stepping,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VMO-VL onset timing. Conclusion: These result indicate that patellar taping on the vastus medialis oblique has effect on the VMO/VL ratio. Increased values of VMO/VL ratio may contribute to patellar realignment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pain reduction following patellar taping in participants with PF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