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 의사소통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Patient-related Barriiers to Pain Management in General Population (일반인의 통증관리 장애정도)

  • Yoo, Yang-Sook;Choe, Sang-Ok;Cho, Young-Yi;Koh, Su-Jin;Hor, Soo-Jin;Jeon, Ji-In;Kwon, So-Hi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0 no.4
    • /
    • pp.184-189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barriers to effective pain management in general population. Methods: Total 163 Participants completed the Barrier Questionnaire-II (BQ-II), a 27-item on a six point scale, from May to June in 2007. BQ-II consisted of four subscales which were 1) physical effects (PE) addressing beliefs that side effects of analgesics are inevitable and concerns about tolerance, fatalism (Fa) addressing fatalistic beliefs about cancer pain and its management, Communication (Co) addressing the beliefs of 'good patient' and concerns of distracting physician from underlying disease, and harmful effects (HE) addressing fear of addiction and harmful effect to immune system of pain medicine. Results: The BQ-II total had an internal consistency of 0.877 in this study. HE was the biggest barrier (3.03) followed by PE (2.73), Fa (2.15), and Co (1.71). Items appeared as great concerns were 'there is a danger of becoming addicted to pain medication'(3.58), 'using pain medicine blocks your ability to know if you have any new pain' (3.18), 'pain medicine is very addictive' (3.09), 'when you use pain medicine your body becomes used to its effects and pretty soon it won't work any more' (3.09), and 'drowsiness from pain medicine is difficult to control' (3.09). Only 12 respondents (7.4%) reported that they took any type of pain education, however, those who took pain education represented significantly lower barriers to pain management than who did not (P=.029).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e strategies for public education to surmount cancer pain.

  • PDF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area For Teenager's Empowerment Improving(I)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의생활 영역 가정과수업 개발(제1보))

  • Oh, Kyungseon;Ha, Jisoo;Lee, Soo-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1 no.3
    • /
    • pp.155-177
    • /
    • 2019
  • The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area faced by the teenager as course of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mproving the empowerment. As a research method, it was conceptualized by applying the Laster(1986)'s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it was applied to the conceptual framework of practical reasoning presented in: "Family, Food and Society A Teacher's guide" (Staaland & Storm,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reviewing literature related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area, ongoing concerns related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is "Should we do with regard to clothing and textiles for families in the community? The valued ends is defined as a complex position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a high responsibility, and the goal of learning is interdependence, emotional maturity,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ability. For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activity structur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as used as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 contents, and included sub-concerns, broad concepts, sub-concepts and intellectual and social skills. Second, based on the practical reasoning, we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As a result, a total of 12 plan of 5 modules were developed. And were developed a total of 31 tutorials, reading materials, picture materials, group activities, and video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eachers who want to try out practical inference process in class or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practicing reasoning process in the field.

A Study on a Quantified Structure Simulation Technique for Product Design Based on Augmented Reality (제품 디자인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정량구조 시뮬레이션 기법에 대한 연구)

  • Lee, Woo-Hu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3 s.61
    • /
    • pp.85-94
    • /
    • 2005
  • Most of product designers use 3D CAD system as a inevitable design tool nowadays and many new products are developed through a concurrent engineering proces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novice designers to get the sense of reality from modeling objects shown in the computer screens. Such a intangibility problem comes from the lack of haptic interactions and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real space because designers tend to do 3D modeling works only in a virtual space of 3D CAD system.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 interactive quantified structure simulation for product design using AR(augmented reality) which can register a 3D CAD modeling object on the real space. We built a quantified structure simulation system based on AR and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to measure how accurately human perceive and adjust the size of virtual objects under varied experimental conditions in the AR environment. The experiment participants adjusted a virtual cube to a reference real cube within 1.3% relative error(5.3% relative StDev). The results gave the strong evidence that the participants can perceive the size of a virtual object very accurately. Furthermore, we found that it is easier to perceive the size of a virtual object in the condition of presenting plenty of real reference objects than few reference objects, and using LCD panel than HMD. We tried to apply the simulation system to identify preference characteristics for the appearance design of a home-service robot as a case study which explore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system. There were significant variances in participants' preferred characteristics about robot appearance and that was supposed to come from the lack of typicality of robot image. Then, several characteristic groups were segmented by duster analysis. On the other hand, it was interesting finding that participant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preference characteristics between robot with arm and armless robot and there was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height of robot and arm length as a human body.

  • PDF

A survey on the utilization practice and satisfaction of user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정보이용자의 식품영양정보 이용 실태와 만족도)

  • Kim, Inhye;Park, Min-Seo;Bae, Hyun-Jo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4 no.4
    • /
    • pp.398-411
    • /
    • 2021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utilization practices of adults aged between 20 and 30 year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customized content. Method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ver. 24.0) for the 𝛘2-tes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Of the 570 subjects surveyed, 45.4% were men, 54.6% were women, 66.3% were in their 20s, 33.7% were in their 30s, 41.4%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58.6% lived with their families. On average, 14.2% of televisions (TVs), 26.0% of personal computers (PCs), and 63.7% of smartphones were used for more than three hours per day. 30.9% of respondents searched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more than once a week. 70.0% of the respondents had then applied the information in real life and 54.7%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oul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Information retrieval rate was in the order of 'restaurant (64.8%)', 'diet (57.5%)', and 'food recipes (55.7%)'. Overall satisfaction with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veraged 3.33 on a five-point scale. Satisfaction score was in the order of 'enough description and easy to understand (3.43)', 'matching title and content (3.35)', and 'providing new and novel information (3.22)'. Satisfac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searched for information (p < 0.001), the group that used the retrieved information in real life (p < 0.001), and the group that conveyed this information to others (p < 0.001). Conclusion: To improve information use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user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nduct surveys and satisfaction evaluations for each target group.

Adolescent's Risk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on Risk Behavior (청소년의 위험행동과 삶의 질: 위험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의 역할)

  • Sang-Chul Ha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2 no.5_spc
    • /
    • pp.99-116
    • /
    • 2006
  • This paper discuss adolescent's a quality of life related with risk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to influence on risk behavior(runaway, smoking, sexual behavior) of the protective factors that moderate adolescent's problem behavior(delinquency).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that the protective factors counterbalance the negative influence of risk factors and finally, diminish a the problem behavior including a delinquent. A total of 1,020 students of a vocational high schook and a 216 adolescents of a special groups(the public institution that consisted with a delinquent young man) completed the questionnaires(risk behavior, 5 protective factors) of compiled by this researcher. The protective factors have selected based on the various prior studies analyzed with adolescent's risk behavior a family functioning, a father(a mother) each and child communication, a self efficacy, and a social support. Statistics appled for the data analysis are Chisqure analysis, two-way ANOVA, and Standard Discrimin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group is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in the rate of runaway, smoking, and sexual deviant behavior. Second, the protective factors are not action in the special group have experienced delinquency, but are only action in the general group consisted with the students of a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means that the protective factors discrimin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risk behaviors, and blocking out the intervention of a problem behavior in the general adolescents. Although each protective factor influence to different according to each risk behavior, a role of a parent-child communication, a family functioning, and self-efficacy high orderly. Finally, discuss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protective factors moder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risk factors, offset the connection between a risk behavior and a. problem behavior, and improve and a resilience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adolescent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Adaptation Self Rating Scale(SASS) (한국어판 사회적응자기평가척도(SA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Kim, Hyeong-Seob;Kim, Yong-Ku;Yoon, Choong-Han;Jeong, Han-Yong;Cheong, Young-Ki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8 no.2
    • /
    • pp.212-227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 which was developed from Bose et a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 of depressed patients in 1997. Interests for the social world, those of social functioning, of patients were involved in the addition of new measure of disturbance. And those were distinct from abnormalities of thought, mood and symptom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s the previous reports there were several evidences that treatments may be less likely to be effective if the system they act on is dysfunctional. Thus, a better social situation favoured better outcome.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ose reports were developed in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of interpersonal therapy(IPT) and cognitive therapy. Accordingly the conversed question -whether pharmacological therapy with antidepressants can impact on social functioning in addition to addressing the core features of illness- has been addressed. To date, anyhow, it is accepted that enhancement of social functioning may be a therapeutic principle in its own right and illness rarely divorced from social context. In terms of those concepts the introduction of an assessment of social functioning into pharmacotherapeutic studies of depression has been welcomed and might be a potent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relative pharmacoeconomic benefits of different treatments. Despite of many scales which wer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however, the scale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g has not been introduced in Korea yet.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social functioning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Korean version of SASS. This Korean version of SASS was submitted to a reliability and validation procedure based on the data from healthy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291 individuals and 40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Cronbach a was 0.790 in total subjects group and the correlation of test-re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y=0.653, p<0.0l). Thu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ight be shown to be valid and reliable.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es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3 principle factors(factor 1 = intersts in social activities, factor 2 = a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3 = selfesteem) in normal group, however, it could be counted as only one factor in the depression group because nearly total items of SASS were involved in factor 1. In the view of these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ay be useful additional too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ing in depression.

  • PDF

Dietary Habits and Foodservice Attitudes of Students Attending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서울.경기지역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및 급식만족도 -미국계 외국인 학교를 중심으로-)

  • Kim, Ok-Sun;Lee, Young-Eun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22 no.6
    • /
    • pp.744-757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nd the expansion of food exports through contract foodservices. A survey of dietary habits and attitudes toward school foodservices was given to students in three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s served by a domestic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ults showed an average of three meals taken daily 3.39 times for male students and 2.95 times for female students and the time required for a meal was about 24~26 minutes. The average breakfast frequency was 5.10 times(4.59 times for male students and 5.35 times for female students) and many students reported skipping breakfast due to a lack of time. The average weekly frequency of dining out was 1.78 times(2.15 times for male students and 1.60 times for female students). In all schools, irrespective of gender and grade, students responded that a desire for snacking was 'why they want to have cookies', and snacking hours were frequently listed as 'between noon and evening'. Many also responded that an unbalanced diet is the reason some snacks are 'not to their taste'. Overall,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oodservice menu,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at was considered proper food temperature, proper food seasoning, suitable amounts of food, and freshness of food.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pecifically highly satisfied with the 'freshness of food materials' and 'variety of menu' respectively. Overall, all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oodservice, including the 'cleanliness of tables and tr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