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ient-related Barriiers to Pain Management in General Population

일반인의 통증관리 장애정도

  • Yoo, Yang-Sook (College of Nur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e, Sang-Ok (Kangnam St. Mary's Hospital Hospice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 Young-Yi (Kangnam St. Mary's Hospital Hospice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oh, Su-Jin (Kangnam St. Mary's Hospital Hospice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or, Soo-Jin (Kangnam St. Mary's Hospital Hospice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eon, Ji-In (Kangnam St. Mary's Hospital Hospice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won, So-Hi (Kangnam St. Mary's Hospital Hospice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 최상옥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
  • 조영이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
  • 고수진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
  • 허수진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
  • 전지인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
  • 권소희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 Published : 2007.12.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barriers to effective pain management in general population. Methods: Total 163 Participants completed the Barrier Questionnaire-II (BQ-II), a 27-item on a six point scale, from May to June in 2007. BQ-II consisted of four subscales which were 1) physical effects (PE) addressing beliefs that side effects of analgesics are inevitable and concerns about tolerance, fatalism (Fa) addressing fatalistic beliefs about cancer pain and its management, Communication (Co) addressing the beliefs of 'good patient' and concerns of distracting physician from underlying disease, and harmful effects (HE) addressing fear of addiction and harmful effect to immune system of pain medicine. Results: The BQ-II total had an internal consistency of 0.877 in this study. HE was the biggest barrier (3.03) followed by PE (2.73), Fa (2.15), and Co (1.71). Items appeared as great concerns were 'there is a danger of becoming addicted to pain medication'(3.58), 'using pain medicine blocks your ability to know if you have any new pain' (3.18), 'pain medicine is very addictive' (3.09), 'when you use pain medicine your body becomes used to its effects and pretty soon it won't work any more' (3.09), and 'drowsiness from pain medicine is difficult to control' (3.09). Only 12 respondents (7.4%) reported that they took any type of pain education, however, those who took pain education represented significantly lower barriers to pain management than who did not (P=.029).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e strategies for public education to surmount cancer pain.

목적: 효과적인 통증관리의 장애요인은 크게 제도적 측면, 의료진 측면, 그리고 환자 측면으로 구분되며, 이는 모두 사회적 통념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인의 통증관리 장애요인을 규명하여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의 통증관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07년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원봉사자, 교사 및 지역사회 주민 163명을 대상으로 Gunnarsdottir, Donovan, Serlin, Voge와 Ward (2002)가 개발한 Barriers Questionnaire II (BQ-II)를 유양숙, 이원희, 조옥희와 이소우(2005)가 번한 보완한 통증관리 장애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증관리 장애척도의 Cronbach's $\alpha$는 .88이었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3.36세이며, 92.6%가 통증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다. 대상자의 통증장애 정도는 평균 2.51점이었으며, 중독을 포함하는 해로운 영향 영역이 3.03점, 부작용을 포함하는 신체적 효과 영역 2.73점, 숙명론적 태도 영역 2.15점, 그리고 의사소통 영역 1.71점 순이었다. 문항별로는 '진통제를 사용하면 중독의 위험이 있다'의 장애정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진통제를 사용하면 새로운 통증이 생겼을 때 알기가 어렵다', '진통제를 사용하면 몸이 익숙해져 곧 진통효과가 없을 것이다', '진통제로 인한 졸림은 조절하기 어렵다', '진통제는 면역력을 떨어뜨린다' 순이었다. 통증교육을 받은 경우의 통증관리 장애정도는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일반인들의 통증관리 장애요인은 환자나 가족과 유사하게 진통제 중독 및 내성에 대한 염려가 가장 높았으므로 사회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통증관리 및 진통제 사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