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화

Search Result 73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o Family Members Promote Internationalization? : Evidence from Family Firms from ICT Sectors in Korea (가족기업의 가족 구성원이 국제화를 촉진하는가?: 한국의 ICT 산업 관련 가족기업을 중심으로)

  • Shin, Joon-ho;Kim, So-hyun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6 no.2
    • /
    • pp.21-39
    • /
    • 2023
  •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amily ownership heterogeneity on the internationalization decisions of family-owned enterprises from ICT sectors in South Korea. The study uses prospect theor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internationalization. The study finds that as performance improves, the ultimate owner (CEO)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ationalization, while other family members are positively related, demonstrating the heterogeneous behavior of family member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ultimate owner (CEO) tends to avoid risks associated with internationalization, while other family members are willing to take risks. To better understand the various risk behaviors of family firms regarding internationalization, the inherent heterogeneity of family firms, particularly in light of different risk behaviors between the ultimate owner (CEO) and other family members, may explain the inconsistent results in studies on the effect of family ownership on internationalization.

The Bilateralization of the Kinship Relations in Korean Families: Focused on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세대관계를 중심으로)

  • Han, Gyoung-Hae;Yoon, Sung-E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177-203
    • /
    • 2004
  • 본 연구는 친족관계의 전반적 현황과 양계화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친족관계 영역에서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현주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남녀 1755명을 대상으로, 본인 및 배우자 부모와의 동거여부, 거주근접성, 접촉빈도를 비교함으로써 세대관계의 구조적 차원에서 양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양계화 정도의 구체적 내용 파악을 위하여 가족의 협력 네트워크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즉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지원 영역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대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가족의 지원망 구성 및 활용에 있어 친족이 차지하는 비중 및 양계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가족의 세대관계의 구조적 특성은 양계화된 모습과 부계적인 모습이 혼재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협력네트워크 활용의 측면에서, 한국가족은 부계친족 및 모계친족과의 상호작용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칭적 양계화라기보다는 비대칭적 성격의 양계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부계중심적으로 규범화된 친족유대의 경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동시에 실제적 필요에 의한 아내의 친족망 활용정도가 높아진데서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의 빠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영역에서의 변화가 상당히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An Analysis of Issue Shift in German Family Welfare Policy (독일 가족복지정책의 쟁점변화 분석)

  • Lee Jin-So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91-119
    • /
    • 2004
  • 독일에서 가족은 전후의 산업화과정 속에서 다면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하면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화와 탈제도화 그리고 개인화의 경향이 강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가족은 저출산문제, 보육문제, 역할분담을 둘러싼 갈등, 빈곤과 실업, 노인부양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통일을 전후로 하여 약 10년간에 걸쳐 저출산문제가 심화되면서 가족문제는 중요한 사회정책이 슈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가족주의에 기반한 가족의 복지정책의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대시켰고 그로 인해 독일 가족복지정책은 인구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가족의 복지욕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 시대별로 각 집권정당들은 다양한 가족쟁점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수용하여 정책의제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어떠한 정책방안들을 발전시켜 왔는가 하는 과정적 전개양상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획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일의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쟁점의 변화에 따라 1인 부양자모델의 확립기, 취업모 지원과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수용기, 보육정책의 확대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체계화된 정책 프로그램은 소득지원, 양육 및 교육지원 그리고 노인부양가족지원 프로그램이 핵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발전은 정책이 1인 부양자모델에서 2인 부양자모델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문제의 해결책을 모색 중인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The Level of Support in Parents' Childcare and Work in 21 OECD Countries: Parental Leave and Childcare (OECD 21개국의 부모권과 노동권 보장수준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비교연구: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 Yoon, Hong-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3
    • /
    • pp.341-3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and compare 21 OECD countries in regard to the level of support in parents' childcare and work.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suggested. First, examining the level of support in parents' childcare and work, 21 OECD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to clusters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welfare state typology. Second, the level of parents' childcare and work support was high in socio-democratic countries such as Denmark, Finland, Norway and Sweden. Third, the level of parents' childcare right support is not necessarily positively related to that of parents' work in the labor market. As we have seen in the cases of France and Austria, although both countries have relatively high level of parents' childcare and work support, the level of work support in the labor market is low.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Korean family policy in that Korean society has to support both the parents' childcare right and the work right in the labor market.

  • PDF

The Commodification of Family Care in the Japanese Long-Term Care Policy (일본 개호정책의 전개과정에 나타난 '가족개호의 비용화구조')

  • Kim, Ji M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4 no.4
    • /
    • pp.31-56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wards for "Family Care" from the Japanese Long-Term care polic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mmodification of Family Car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o find ou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ward system for "Family Care". First of all, the socialization of "The Long-Term Care" is redefined to be the commodification of family care in this study. Based on this definition, the commodification of family care and the government's involvement a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considering the role of family in the process of Long-Term Care supply, the social evaluation for family care, the family carers' home environment and the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In result, the commodification structure of family care in the Japanese Long-Term Care policy is found, and it helps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cash payments was just partially introduced.

  • PDF

A Study on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Novel 「Aging Family」 (소설 「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연구)

  • Kyung, Eun Ju;Yang, Yeung 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638-653
    • /
    • 2021
  • The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amily in the novel 「Aging Family」. The Novel text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In-mo, the main character,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his family members were non-blood related as well as blood related, and the meaning of his family was changed from a "family with no pride, no affection" to a family with "human affection" and "loyalty stronger than blood".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family social welfare practices were discussed.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and The Modernisation of The Korean Economy (한국 가족구조의 변화와 근대화)

  • Trevor Noble;Hyun-Seob Cha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6 no.2
    • /
    • pp.140-157
    • /
    • 1993
  • 이 글은 1993년 4월 5일에서 8일 사이 영국의 에쌕스 대학교 (Univ. of Essex) 에서 열렸던 연례 영국 사회학회에서 발표되었던 글을 줄이고 다시 다듬은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내용과는 꽤 차이가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이 땅에 밀어 닥쳤던 산업화, 도시화를 비롯한 이른바 근대화에 의하여 엄청난 사회변동을 겪었다. 인구학적으로든, 문화적으로든, 그리고 경제 성장면에서나 사회적으로도 변화의 폭과 속도는 다른 어느 나라와도 비길 수 없는 거대한 것이었다. 이런 변화의 물결 속에서 한국 가족은 스스로 많은 변신을 하여야 했다. 그리고 그 변화는 그 자체가 또 하나의 사회적 힘으로 등장하여 제2, 제3의 영향력을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연속적으로 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가치관은 사회구조의 중요한 부분들을 차지하고 여전히 한국인의 삶을 조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맥락에서 가족구조의 변동을 분석하고 있다. 우선, 한국의 가족크기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현대 한국인들 사이에 가장 자주 관찰되는 가족유형은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일반적 유형으로부터 벗어나 버린 가족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런 것들은 어느만큼 뚜렷한 존재로 증가하였는가 등을 따져 보았다. 지난 4반세기 동안 일어 났던 가족분야의 변동은, 전통적 가족주의의 원리가 전반적으로 약화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근대화 이론의 논의와 일치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 원리가 비록 미약하나마 여전히 존재하며, 생각지도 못하였던 가족 형태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근대화 이론의 타당성은 재음미되어야 하리라 본다.

  • PDF

Familialism And Typology of Family Policies (가족주의와 가족정책 재유형화를 위한 이론적 논의)

  • Yoon, Hong 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4 no.4
    • /
    • pp.261-284
    • /
    • 2012
  •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the childcare regime through examining the way familialism is expressed in society. First of all, this study reconceptualizes familialism and familism. From this conceptualization,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familialism is partly related with the level of development in a welfare state, familialism determines the way of welfare provision. Especially, family policy models are classified into 6 different typologies based on four concepts: defamilialization, familialization, public, and private. According to this discussion, familialism in child care is not simply the result of underdeveloped welfare in Korea. Rather the familialism is deeply rooted in the current socioeconomic circumstance and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This implies that despite of expanding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of public childcare,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hildcare regime would not be the same as the Nordic childcare regime.

  • PDF

Modernization Project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Politics: on the Basis of Family Planning Programs (한국 사회의 근대화 기획자 가족정치 :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 김홍주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5 no.1
    • /
    • pp.51-82
    • /
    • 2002
  •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national family politics through the project of family planning which becam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brought the structural change in Korean families after 1960's. The family planning was established under the national project which was tightly driven by the government, and the new families were built artificially and coercibly by the plan rationality. The various and diverse forms of the national family politics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For example, the image of the modern families was forcedly adopted in order to justify the project, the families in this period were under microscopic surveill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 e project effectively , etc. Modern nuclear families were derived through the economical and social support on the families only with a few number of children, and the structural change was made through the medical technique and support. Consequently, during the forty years after the project, the size of the families were reduced drastically, various and diverse forms of families were generated, and the modern family action and value were wide spread and generalized. Through the project, the government has been establishing th family patterns and norms which were so suitable to the modernization project that the families were able to be pulled into public sphere. The family problems in this process became very serious. However the government repeatedly forced the families to be the reoresentative of welfare state through new-modern political discourses. The welfare through the family is coerced to replace the weakness of welfare state. However the family is not the subject of the welfare, but the object of the welfare. The governmental family politics must make more efforts to gave the families to be the object to the welfar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uclearization Value chang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in Modern Korean Families (현대 한국가족의 핵가족화 및 가치관 변화와 청소년 발달 간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 적 고찰)

  • 이미숙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2
    • /
    • pp.1-10
    • /
    • 1995
  • 산업화로 특징되는 사회변동과 전통사회로부터 근대사회로 변화하는 역사적 배경을 주축으로 하는 한국사회의 거시적 맥락이 가족내 청소년 발달이라는 미시적 과정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탐색해보는 시도로서 핵가족화와 가치관 변화가 청소년 발달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핵가족화는 단순한 가족형태상의 변화로서 청소년 발달에 관련되기 보다 는 산업화 과정에서 다른 가족구상의 변화와 맞물려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측 면에서 검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면서 전통적 집단주의 기능성이 이기적가족주의로 변용되어 청소년 발달에 미치ㅔ 되는 역기능적 실상이 학문적 노력과 정책적 주도하에 극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