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lateralization of the Kinship Relations in Korean Families: Focused on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세대관계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본 연구는 친족관계의 전반적 현황과 양계화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친족관계 영역에서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현주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남녀 1755명을 대상으로, 본인 및 배우자 부모와의 동거여부, 거주근접성, 접촉빈도를 비교함으로써 세대관계의 구조적 차원에서 양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양계화 정도의 구체적 내용 파악을 위하여 가족의 협력 네트워크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즉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지원 영역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대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가족의 지원망 구성 및 활용에 있어 친족이 차지하는 비중 및 양계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가족의 세대관계의 구조적 특성은 양계화된 모습과 부계적인 모습이 혼재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협력네트워크 활용의 측면에서, 한국가족은 부계친족 및 모계친족과의 상호작용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칭적 양계화라기보다는 비대칭적 성격의 양계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부계중심적으로 규범화된 친족유대의 경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동시에 실제적 필요에 의한 아내의 친족망 활용정도가 높아진데서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의 빠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영역에서의 변화가 상당히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원(1995),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가족학논집> 7: 213-255
  2. 김선영(2002), '친족관계', 이동원 외, <한국가족의 현주소> , 서울: 학지사
  3. 김순옥, 김수진(2002), '결혼초기 부부의 친족행동 대상 및 정도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 5: 195-215
  4. 박시라(1999), '자녀양육기 기혼남성의 친족유대'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이광자(1988), '우리나라 친족관계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 도시 중산층 핵가족을 대상으로' ,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이동원(1984), '도시주부의 관계망에 대한 조사(1): 시가 및 친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44: 7-36
  7. 이원주(1989), '서울시 기혼남녀의 친족관계' ,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재경(1999),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한국여성학> 15(2): 55-86
  9. 이효재(1971), <도시인의 친족관계>, 한국문화연구원
  10. 조정문(1997), '한국사회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13(1): 87-114
  11. 최샛별 . 이명진 . 김재온(2003), '한국의 가족관련 사회정체성연구', <한국사회학> 37(5): 1-30
  12. 최재석(1975), '도시 중류아파트 가족의 친족관계', <고대인문논집> 20: 155-178
  13. 최혜경(2000),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부양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10: 141-164
  14. 한경혜(1998), '만성질환노인 부양체계로서의 가족의 역할 21세기 변화전망 및 지원책 모색', <한국노년학> 18(1): 46-58
  15. 한경혜 . 홍진국(2000),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 문화> 12(2): 55-80
  16. 한민아 . 한경혜(2004), '세대간 지원교환유형과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35-152
  17. 한남제(1988), '도시주민의 친족관계', <한국사회학> 22: 3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