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형태변화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and The Modernisation of The Korean Economy (한국 가족구조의 변화와 근대화)

  • Trevor Noble;Hyun-Seob Cha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6 no.2
    • /
    • pp.140-157
    • /
    • 1993
  • 이 글은 1993년 4월 5일에서 8일 사이 영국의 에쌕스 대학교 (Univ. of Essex) 에서 열렸던 연례 영국 사회학회에서 발표되었던 글을 줄이고 다시 다듬은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내용과는 꽤 차이가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이 땅에 밀어 닥쳤던 산업화, 도시화를 비롯한 이른바 근대화에 의하여 엄청난 사회변동을 겪었다. 인구학적으로든, 문화적으로든, 그리고 경제 성장면에서나 사회적으로도 변화의 폭과 속도는 다른 어느 나라와도 비길 수 없는 거대한 것이었다. 이런 변화의 물결 속에서 한국 가족은 스스로 많은 변신을 하여야 했다. 그리고 그 변화는 그 자체가 또 하나의 사회적 힘으로 등장하여 제2, 제3의 영향력을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연속적으로 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가치관은 사회구조의 중요한 부분들을 차지하고 여전히 한국인의 삶을 조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맥락에서 가족구조의 변동을 분석하고 있다. 우선, 한국의 가족크기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현대 한국인들 사이에 가장 자주 관찰되는 가족유형은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일반적 유형으로부터 벗어나 버린 가족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런 것들은 어느만큼 뚜렷한 존재로 증가하였는가 등을 따져 보았다. 지난 4반세기 동안 일어 났던 가족분야의 변동은, 전통적 가족주의의 원리가 전반적으로 약화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근대화 이론의 논의와 일치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 원리가 비록 미약하나마 여전히 존재하며, 생각지도 못하였던 가족 형태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근대화 이론의 타당성은 재음미되어야 하리라 본다.

  • PDF

An Analysis of Issue Shift in German Family Welfare Policy (독일 가족복지정책의 쟁점변화 분석)

  • Lee Jin-So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91-119
    • /
    • 2004
  • 독일에서 가족은 전후의 산업화과정 속에서 다면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하면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화와 탈제도화 그리고 개인화의 경향이 강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가족은 저출산문제, 보육문제, 역할분담을 둘러싼 갈등, 빈곤과 실업, 노인부양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통일을 전후로 하여 약 10년간에 걸쳐 저출산문제가 심화되면서 가족문제는 중요한 사회정책이 슈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가족주의에 기반한 가족의 복지정책의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대시켰고 그로 인해 독일 가족복지정책은 인구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가족의 복지욕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 시대별로 각 집권정당들은 다양한 가족쟁점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수용하여 정책의제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어떠한 정책방안들을 발전시켜 왔는가 하는 과정적 전개양상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획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일의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쟁점의 변화에 따라 1인 부양자모델의 확립기, 취업모 지원과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수용기, 보육정책의 확대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체계화된 정책 프로그램은 소득지원, 양육 및 교육지원 그리고 노인부양가족지원 프로그램이 핵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발전은 정책이 1인 부양자모델에서 2인 부양자모델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문제의 해결책을 모색 중인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uclearization Value chang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in Modern Korean Families (현대 한국가족의 핵가족화 및 가치관 변화와 청소년 발달 간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 적 고찰)

  • 이미숙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2
    • /
    • pp.1-10
    • /
    • 1995
  • 산업화로 특징되는 사회변동과 전통사회로부터 근대사회로 변화하는 역사적 배경을 주축으로 하는 한국사회의 거시적 맥락이 가족내 청소년 발달이라는 미시적 과정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탐색해보는 시도로서 핵가족화와 가치관 변화가 청소년 발달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핵가족화는 단순한 가족형태상의 변화로서 청소년 발달에 관련되기 보다 는 산업화 과정에서 다른 가족구상의 변화와 맞물려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측 면에서 검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면서 전통적 집단주의 기능성이 이기적가족주의로 변용되어 청소년 발달에 미치ㅔ 되는 역기능적 실상이 학문적 노력과 정책적 주도하에 극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Effects of Family Type on the Extent and Determinants of Fathers' Child Care Time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허경옥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57-71
    • /
    • 1995
  •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기혼여성의 취업증가로 인해 아버지의 적극적인 자녀양육 참여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이 같은 요구는 부의 참여가 기혼여성, 자녀의 성장발달등 가정천체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부의 자녀양육시간 연구는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동시에 연구대상으로 대두되었다. 이같은 변화속에서, 실제 가정생활에서 부의 자녀양육시간은 개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어떤 개인적, 가정적, 또는 사회인구적 요인들이 양육시간량을 결정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은 그 의미가 있다. 현대가정의 또 하나의 커다란 변화는 미혼부 증가, 이혼증가로 인한 편부의 증가, 재혼 증가로 인한 계부의 증가 등 가족형태의 다양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하여, 각기 다른 가정형태에서의 부의 자녀양육 참여시간을 비료 분석하였다, 또한 부의 자녀양육 시간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노동시장의 근로시간, 개별적 인적 자원, 역할관념, 가정환경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미국 위스콘신대학내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인구 및 생태센터 (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1988년에 실시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로써, "전국 가족 및 공도거주체 조사" (National Survey of Family and Households)에서 추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에 미치는 효과는 큰 것으로 검증 되었다. 각 그룹간 비교에서 편부가정의 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많은 시간을 자녀와 놀아주고, 야외활동 및 과제물 도와주기 등에 할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계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더욱 적은 시간을 자녀와 함께 하였다. 부의 자녀양육시간 결정요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장에서의 노동 시간, 교육수준, 자녀 연령이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의 직장 근로시간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양육 참여시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자녀를 가진 아버지일수록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uture Scenarios Regarding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by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시대,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사노동과 돌봄의 미래 시나리오 -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

  • Lee, Sunhyung;Kim, Sunghee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7 no.1
    • /
    • pp.1-12
    • /
    • 2023
  • This study forecasts the outlook 10 years from now regarding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by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the preparations needed in the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cenario-planning method was used to explore changing trends in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the rationale for which has been questioned by both seniors and family welfare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our researchers' opin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changing trends were caused by two factors: the probability of alterations in domestic labor and the strength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these conclusions, four scenarios regarding baby boomers'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in 10 years were proposed using two axes: the "high and low probability of alterations" and the "strengthening and weakening of family relationships." The first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self-caring form of family," which has a high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weak family relationships. The second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flexible form of family," which has a high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strong family relationships. The third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traditional form of family," which has a low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strong family relationships. The fourth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public caregiving form of family," which has a low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weak family relationships.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aspects of baby boomers' lives-includ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goods and services,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garding seniors, and programs for successful aging-and can help equip our society to take the actions needed for a super-aged population.

A Study of 'Families' as presented during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 Focusing on the 'The Changing Family'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에 관한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중심으로 -)

  • Jun, Mi-Ky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4 no.2
    • /
    • pp.29-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families as presented o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of middle school. To do this, I analyze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Changing Families,' in 11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8th grad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mily-related chapters are expand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new version emphasize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change in families to improve the family life of adolescents. Second, in the 11 type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he focusing was on the meaning of the family, the family structure, the function of the family, family roles and family values. There were also no major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Third, i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he family was defined as the 'basic group of society', 'a group composed by blood relationships, marriage and adoption', 'an affective group' and 'cohabiting group'.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description of the family was overly romanticized. Such a description of the family does not match the individual family experience of an adolescent. Fourth, all of textbooks dealt with the diversity of the family structure,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remarriages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with these types of families are excessively emphasized, which can result in students having stereotypical images of specific family types. Fifth, the explanation of the function of the family was similar among textbooks. The importance of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 and gender equality was also emphasized. However, such a concept is not considered as proper in a modern society. Thus, the description of a family based on the nuclear family should be sublated. In addition, the explanation of families overall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adolescents can interpret their own family experience rather than as an enlightening declaration of the family which disregards the dynamic relationships individual families actually experience.

  • PDF

A Study on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Novel 「Aging Family」 (소설 「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연구)

  • Kyung, Eun Ju;Yang, Yeung 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638-653
    • /
    • 2021
  • The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amily in the novel 「Aging Family」. The Novel text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In-mo, the main character,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his family members were non-blood related as well as blood related, and the meaning of his family was changed from a "family with no pride, no affection" to a family with "human affection" and "loyalty stronger than blood".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family social welfare practices were discussed.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Mother Perceived by Adolescents - Focused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중심으로 -)

  • 박옥임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6-25
    • /
    • 1994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들이 의사소통 만족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의사소통 변인은 자녀성별, 어머니 연령, 교육수준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으나, 의사소통 만족도는 어머니 연령, 가족형태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둘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변화 대처능력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과 관련이 깊은 것을 보여준다. 세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부정적인 대화로 나타나, 긍정적인 대화를 이끌수 있는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된다.

  • PDF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ocial Agenda through the Analysis of Symbolism and Meaning of Formative - Focused on the Animation (조형의 상징성과 의미 분석을 통한 사회 의제 표현 연구 - 애니메이션 <윌러비 가족>을 중심으로)

  • Kim, Ye-Eun;Lee, Tae-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607-615
    • /
    • 2022
  • Animation is a popular art in the form of enlightenment that intimately approaches people of various ages and makes them reconsider the social problems they have ignore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haracter setting and formative symbolism in "The Willoughbys" raise awareness of social agendas. The previous studies found that the modern society needs to be aware of child abuse and various types of family, and examined that color and formativeness of animation induce psychological and behavior change from the audience. The work shows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characters, and presents the subdivided form of the family. The rainbow symbolizes diverse family members. The agents with visual characteristics express the modern principle-based secondary perpetrator along with apathetic neighbors to urge a change in audience perception. This paper insists the value of animation when it is essential to raise public awareness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a welfare society and support system.

New Life Style Based on the Changes in Living Conditions in Korea (한국에서의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생활모습)

  • Suk, Yeung-Ki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8 no.1
    • /
    • pp.109-126
    • /
    • 2005
  • There are several changes of living conditions in Korea during the past 40 years. The changes in living conditions are the change of family type, the increase in income, the aging society, the introduction of five-working day,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etc. These changes bring about a social phenomenon so-called the well-being which seek after the pleasure of healthy life.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mited literature reviews, focusing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these changes and the well-being life styl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enterprise with some insigh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