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ture Scenarios Regarding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by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시대,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사노동과 돌봄의 미래 시나리오 -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

  • Lee, Sunhyung (Dept. of Social Welfare, Hoseo University) ;
  • Kim, S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 Counseling,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 이선형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김성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 Received : 2022.12.28
  • Accepted : 2023.01.17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is study forecasts the outlook 10 years from now regarding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by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the preparations needed in the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cenario-planning method was used to explore changing trends in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the rationale for which has been questioned by both seniors and family welfare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our researchers' opin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changing trends were caused by two factors: the probability of alterations in domestic labor and the strength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these conclusions, four scenarios regarding baby boomers' domestic labor and caregiving in 10 years were proposed using two axes: the "high and low probability of alterations" and the "strengthening and weakening of family relationships." The first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self-caring form of family," which has a high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weak family relationships. The second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flexible form of family," which has a high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strong family relationships. The third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traditional form of family," which has a low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strong family relationships. The fourth scenario is a "preference for the public caregiving form of family," which has a low probability of domestic labor alterations and weak family relationships.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aspects of baby boomers' lives-includ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goods and services,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garding seniors, and programs for successful aging-and can help equip our society to take the actions needed for a super-aged population.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변화의 물결 속에서 베이비부머 세대가 맞이할 가사노동과 돌봄의 미래를 예측하고 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래 연구방법론인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적용하여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사노동과 돌봄의 변화 동인을 파악하고, 노인 및 가족복지 전문가를 대상으로 변화 요인을 조사한 후 조사결과와 연구진의 의견을 토대로 '가사노동 대체 가능성'과 '가족관계 강도'라는 핵심동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핵심동인을 토대로 '가사노동 대체 가능성의 낮음 대 높음'과 '가족관계 약화 대 강화'라는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10년 후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사노동과 돌봄에 대한 4개의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가사노동의 대체 가능성은 크며 가족관계는 약한 '자기 돌봄 형태의 가족 지향', 두 번째 시나리오는 가사노동의 대체 가능성이 높고 가족관계가 강하게 유지되는 '유연한 형태의 가족 지향', 세 번째 시나리오는 가사노동 대체 가능성이 낮고 가족관계는 강하게 유지되는 '전통적 형태의 가족 지향', 네 번째 시나리오는 두 가지 모두가 낮게 나타나는 '공적 돌봄 형태의 가족 지향'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 개발, 노인정책 수립, 베이비부머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이를 통해 초고령사회를 안정적으로 대비해 가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인규(2018).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을 통한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실과교육연구, 24(3), 31-45. DOI : 10.29113/skpaer.2018.24.3.031. 
  2. 권현주(2022). 베이비부머 신노년의 주거이동 및 선호. 제3회 주거복지미래포럼. 
  3. 김경래.황남희.정진욱.송기민.양찬미.이수현(2016). 초고령사회 고령후기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 정책 지원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김경화.최해경(2019). 노화태도와 자기돌봄실천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9 학술대회자료집. 
  5. 김미령(2011). 베이비붐세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 연구. 노인복지연구, 51, 7-34. 
  6. 김미혜.문정화.신은경(2012). 베이비부머의 부부관계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예비노인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213-241. 
  7. 김성희(2020). 노년 세대의 가사노동 인식과 경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 추계학술대회자료집. 
  8. 김영혜(2004). 노년기 젠더관계와 심리적 복지감-유배우 노인의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의 영향에 대하여. 한국인구학, 27(1), 1-30. UCI : G704-000152.2004.27.1.001.  G704-000152.2004.27.1.001
  9. 김외숙.이기영(201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0. 김희정(2022). 베이비부머(baby Boomer) 新노년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 트렌드. 제3회 주거복지미래포럼. 
  11. 동아일보(2021.6.22). 자녀 도움받아 쇼핑앱 깐 5060, 눈뜨자마자 하는 일은....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622/107568489/1. 
  12. 문대영(2008). 실과교육의 미래전망과 대응 전략: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을 통해. 실과교육연구, 14(1), 1-20. DOI : 10.17055/jpaer.2008.14.1.1. 
  13. 박희정(1996). 시나리오 經營이란. CEO Information, 40, 9-24. 
  14. 서지원.기은광.고선강(2021). 한국 여성과 남성의 세대별 가사노동시간의 변화(1999-2019): 가정관리 및 가족돌봄 시간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2), 53-78. DOI : 10.22626/jkfrma.2021.25.2.005. 
  15. 송시영(2021).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베이비부머와 해방전쟁 세대의 소비패턴 유형과 전이 양상.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송혜림(2005). 가사노동론. 울산 : 울산대학교출판부. 
  17. 신동관(2010). 연속보호체계형 노인공동주거시설(CCRC) 공용공간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신혜리.윤태영.김수경.김영선(2020). 코로나 팬더믹 사태의 고령자 일상생활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기술 사용과 노인복지관 참여 제한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5(4), 207-232. DOI : 10.21194/kjgsw.75.4.202012.207. 
  19. 안서연.백학영(2019). 베이비부머의 소득, 소비, 자산의 구성과 분포 변화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 안세민 역(2020). 100세 인생, Lynda, G. & Andrew, J. S.(2016), The 100-Year Life: Living and Working in an Age of Longevity, 서울 : 출판사 클. 
  21. 안세윤.이상호.윤정중.김소연.주한나.김성환 (2020). STEEP-V 방법론을 활용한 미래주거예측 및 대응방안.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6), 230-240. DOI: 10.5392/JKCA.2020.20.06.230. 
  22. 윤소영(2022). 4차 산업혁명 시대, 베이비부머세대의 가사노동과 돌봄지원 산업과 정책- 베이비붐세대 대상 선제적 정책 대응이 필요한 이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3. 이선형.한경아.조좌형(2021). 일상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노인의 특성 연구. AI와 인간사회, 3(1), 137-163.  https://doi.org/10.23179/AIHMSOC.2022.01.29.07
  24. 이선희(2021). 노인 생애단계별 삶의 질 다중궤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수진(2022). 노년기 부부의 노동시장 진입과 탈퇴 이후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 변화.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1), 43-58. DOI : 10.22626/jkfrma.2022.26.1.004. 
  26. 이은희.김경자.이성림.유현정.차경욱.이영애.이준영(2015).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1(2), 197-227.  https://doi.org/10.15790/cope.2015.11.2.197
  27. 이윤경.김세진.황남희.임정미.주보혜.남궁은하.이선희.정경희.강은나.김경래(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8. 이현아.김주희(2021).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71-86. DOI : 10.22626/jkfrma.2021.25.4.006. 
  29. 이주명 역(2012), 시나리오 플래닝-미래예측과 전략수립의 기법. Lindgren & Bandhold, (2006), Scenario Planning, 경기: 필맥. 
  30. 장혜경.김은지.김영란.정재훈.김해영(2011). 가족의 미래와 여성.가족정책 전망(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1. 정순둘.김미혜(2015). 한국 베이비부머의 삶과 미래. 서울 : 학지사. 
  32. 장주희.한상근.이지연.서용석(2013).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한 미래의 직업생활 분석: 직업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2(4), 41-58. 
  33. 조영희(202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정생활과 가족자원 경영학의 미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자료집. 
  34. 주서령(2022). 베이비부머 신노년의 고민과 주거대안. 제3회 주거복지미래포럼자료집. 
  35. 주재선.김영란.이동선.정성미.송치선.한진영.이진숙.양준영.손창균.장숙랑(2019). 2019년 여성가족 패널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6. 중앙일보(2022.10.12). 경제 좀먹는 노인 ''총살...이젠 현실같다''는 섬뜩한 이 영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8389. 
  37. 최수지(2016). 베이비부머 소비자의 온라인을 통한 외식정보 채널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6(3), 711-726. UCI : G704-000573.2016.36.3.005.  G704-000573.2016.36.3.005
  38. 통계청(2010).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통계청. 
  39. 한경혜(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에 대한 이해. '위기의 베이비붐세대, 사회적 해결책은 있는가?'.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주최 2010 심포지엄자료집. 
  40.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2021). 2020 디지털정보격차실태 조사.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 
  41. 허성호(2020). 디지털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8(9), 9-15.  https://doi.org/10.14400/JDC.2020.18.9.009
  42. 행정안전부(2022.9). 연령별 인구현황. 행정안전부. 
  43. Dorfman, R. A.(1993). Aging into the 21st Century: the Exploration of Aspirations and Values, Brunner/Mazel. 
  44. Montgomery, A.(2008). US Families 2025: In search of future families. Futures, 40(4), 377-387. DOI : 10.1016/j.futures.2007.08.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