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친화 지역사회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1초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ole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by Regions: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 정순둘;이아영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469-490
    • /
    • 2021
  • 본 연구는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연령통합 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세 이상 85세 미만의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 인식 중 지역사회 참여환경 인식은 모든 지역에서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역시와 중소도시에서 가족결속력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지역사회 참여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 증진을 위하여, 가족의 결속력을 높이는 방안과, 고령친화환경인식, 특히, 지역사회의 참여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특성과 초등학령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삶의 만족도 : 일-가족 갈등 및 촉진의 매개효과 (Family-Friendly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Mediation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 박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2호
    • /
    • pp.1-17
    • /
    • 2023
  • 본 연구는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특성이 초등학령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관계가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과 촉진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11차년 자료(2019) 중 취업모 627명의 응답자료를 사용하였고, PROCESS를 사용하여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웃의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일-가족 촉진이 유의하게 높으며 이는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환경 적절성과 지역사회 서비스인프라 이용만족도는 일-가족 촉진을 높이고 갈등을 낮추는 것을 통해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양육환경 적절성은 일-가족 갈등 및 촉진에 의한 간접효과 외에도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사회 서비스인프라 접근 편리성은 일-가족 촉진을 낮춰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의 가족친화적 특성이 취업모의 일-가족 상호접점에 유의하게 관련된 요인임을 확인하고, 지역사회차원에서 이러한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경험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지역기반 자녀돌봄 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 참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Community-based Childcare: A Case Study of a School-age Childcare Community of Participants)

  • 전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3호
    • /
    • pp.31-45
    • /
    • 2021
  •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형성된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돌봄공동체 참여 및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5년 이상 운영되고 있는 지역기반 초등자녀 돌봄공동체의 구성원 중 직업활동을 하는 기혼여성 10인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주요 영역인 자녀돌봄에 대한 다양한 욕구 충족 및 가족친화 지역사회 구축을 통한 상생의 돌봄문화 조성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가 지역사회의 복지역량 증진에 유용한 복지자원으로 연계하기 위한 관련 정책 및 서비스를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Perceptions of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 Business)

  • 김미영;손서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01-311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규모 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소재한 중소규모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 6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이 속한 기업 중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없었으나, 모든 기업에서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중소규모 기업에서도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소규모 기업의 특수성, 제도 확대에 따른 부담, 제도 도입의 복잡성 등과 같은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각 기업의 상황에 따라 가족친화 인증 참여 의지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연구참여자들은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지함에 따라 CEO 교육 확대,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홍보 확대 및 제도의 간소화 등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 확대 방안으로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를 확산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사회의 지원을 통한 일-가족 균형 (Work-Family Balance in the Context of Supports of Communities)

  • 정영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1호
    • /
    • pp.37-51
    • /
    • 2007
  • This study shows how community can support the work-family balance and stimulate efforts of community within it. For this purpose, community concepts are defined and its demands and resourc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work and the family, Furthermore, it will examine the conditions which individuals, couples and neighborhoods need for work since the family balance is examined through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index. Various examples of volunteer activities or movements within the community that will support the work-family balance of the neighbors are also demonstrated. Also, the alternatives fur healthy family support activities in Korea are suggested.

  • PDF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인식이 미취학자녀 부모의 양육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on Parenting Efficacy and Stress among Parents with Preschoolers)

  • 노신애;진미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35-149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erceived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influences parents' efficacy and stress. This study asks three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geographical boundary of community perceived by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2) how the components of family-friendly community affect parents' perception on family-friendliness of their communities, 3) how the perceived family-friendliness of their community affects parenting efficacy and stress. Drawing on a sample of 628 parents(318 males, 310 females) who had at least one pre-school child, we analyze the data by frequencies, mea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While the responses on the geographical boundary of community varies the most frequent response is 'Gu'. Both knowledge on family service infra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which consist of family-friendly community, affect the perception of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The perceived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efficac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effect of the perceived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on parenting efficacy disappears when social capital is included in the model. There is no such pattern 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and parenting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