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주거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41초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 김명자;장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3-1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으로 어떠한 내용을 요구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새로운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합당한 교육내용을 구성 하는데 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2학년생 550명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남학생이 3.63, 여학생이 3.66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경제', '의복 주거관리', '가정문화' 영역의 순으로 여학생은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문화', '의복 주거관리' 영역의 순으로 요구도가 높게 났다. 전체적인 요구도는 3.64로 중간 이상의 요구도를 보였으며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경제', '의복 주거관리', '가정문화' 영역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배경 변인에 따른 고둥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학교계열, 가족형태,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가계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소셜 빅데이터로 알아본 코로나19와 가족생활: 토픽모델 접근 (COVID-19 and Korean Family Life on Social Media: A Topic Model Approach)

  • 박선영;이재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82-3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가족생활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 1차 확산기에 블로그와 온라인 카페에 게시된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파악하고, 게시글에 잠재된 주요 토픽을 발견하는 것이다.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처음 시행되었던 2020년 2월 23일부터 4월 19일까지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 및 카페에 게시된 글 중 '코로나'와 '가족' 또는 '코로나'와 '가정'이 함께 언급된 문서 총 351,734건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전처리를 거쳐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TF-IDF 가중치 값을 바탕으로 상위 100개 단어를 살펴보았으며, 잠재디리클레할당 방식의 토픽모델 분석을 통해 총 22개 토픽을 도출하고 토픽명을 부여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가 가족의 일상생활에 미친 전방위적 영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식생활, 주거생활, 여가생활, 종교생활, 자녀돌봄, 자녀교육, 가족관계, 가족의례 등에서 변화가 두드러졌다. 더불어, 가족 관련 국내 문헌에서는 잘 논의되지 않던 건강공동체로서의 가족을 시사하는 토픽도 등장하였다.

한.일 주거 공간에서의 개인영역 구축에 대한 비교 연구 - 건축과 학생을 대상으로 - (Territorial Disharmony in Occupants When Living Together in South Korea and Japan)

  • 박지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1-22
    • /
    • 2011
  • Accord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a resident of the symbols reflects the growing need for housing has risen. Recently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Korea, increased divorce rates, diversification of types of jobs, personal life, due to the typically family-oriented values is not the type of atypical forms of various types of households (a person households, newlyweds, Late Marriage Couples, single parent households, cohabiting, single core, including a disclaimer) is formed, and this trend for the social composition of the new housing environment is required. In this study, South Korea, Japan, the two countries central to the values of personal life for the area be developed by the individual but in reality did not meet the residential space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action research" living life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a personal area tend to be aware of. Central values of private life, which amplified the possibility of increased prices as the difficulties in living life the most "private area" Building "area of the discrepancies" and controlled through the building of the reason for the tendency of human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Oriented for the 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addition, changes in family patterns in Japan and South Korea ahead of the current family patterns by compar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 is trying to think.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일반청약가구와 생활보호 가구의 가족특성 및 주거계획 비교 (Differences in Family Characteristics and Housing Plans between public Supporting Households and General Rental Households in the Public Rental Housing)

  • 윤세진;조재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7-8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family chareteristics and housing plans between public supporting households and general rental households in the public rental housing. One hundred eighty nine residents in chonju were analyze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family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y size.age.a job.sex of the household head existence of mate.etc. The most desired facility was a public health center. The desiring macro environment and plan to move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pinions on housing policies for the public rental housing between two groups.

  • PDF

가족계획과 보건사업의 통합시도 및 평가결과 (Review of Family Planning / Health Integration Efforts and Evaluation Results in Korea)

  • Bang, Sook
    • 한국인구학
    • /
    • 제10권2호
    • /
    • pp.58-81
    • /
    • 198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주거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인 Public Use Microdata(Samples PUMS)의 8% sub-sample을 이용하였다. 주거형태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인들로 동화과정(이민 온 연령과 영어구사능력), 경제적 요인 (지난 일년간의 개인수입과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여부), 건강상태(외출활동과 일상생활 활동능력), 그리고 민족 지역공동체 등이 포함되었으며, 나이, 성별, 교육, 결혼상태 등의 변인들을 함께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화과정과 경제적 여유는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의 단독주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건강과 한국 지역공동체는 주거형태에 통계적으로 일관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동화과정의 측정변수로서 이민연령의 효과는 배우자 유무에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한국 노인들의 단독거주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어구사 능력의 경우, 무배우자 노인들 중 영어구사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 살고 있었고, 유배우자 노인들에게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가족과 떨어져 사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무배우자 노인들의 경우, 이민연령의 효과 역시 순수한 의미의 동화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수혜하기 위한 자격조건과 한인지역 네트워트 파악을 위한 적응기간이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이 있다. 배우자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보조적 보장소득의 혜택을 받고 있는 한국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두 세배 이상 단독주거를 하고 있었다. 일단 보조적 보장소득을 수혜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는 메디케이드, 푸드스탬프, 정부지원 월세보조금, 공공요금 할인 등 다양한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대부분의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 노인들은 단순히 금전적인 수입의 측면뿐 아니라 그 외의 사회보장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보조적 보장소득의 수혜는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독립적인 삶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영주권자들에게는 전면 금지하는 새로운 사회복지법은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에게도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영주권자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지만, 주거형태를 비롯한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해 보면 영주권자, 귀화 시민권자, 그리고 미국태생 노인들은 다른 성격의 집단들임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의 소수민족 노인들에 관한 연구들이 이민자 노인들을 영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의 구분없이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고 분석해 왔던 것을 볼 때,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시민권의 유무가 주거형태에 끼치는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맞벌이가족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공간구성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Spatial Composition by Double-income Households Considering their Life Style)

  • 이세나;이현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2-96
    • /
    • 2006
  • With the change of family type and diversify of life style, residents need various unit plan in Quality. A rate of economically productive women has increased, and generally double-income households will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future. So a research is requested to consider the double-income households's satisfaction for a unit plan based on their life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ouble-income households's lifestyles, and to search and analyze users' needs for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and then, embody spatial composition of Apartment Unit pla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Housing lifestyles of users living in apartment are categorized into 5 types: seeking the way to make housework easy and comfortable, making the best use spatial composition, pursing the universalism, housework oriented, pursing the leisure. (2) The type of seeking the way to make housework easy and comfortable requests facility with home appliances and a shower bath, the type of making the best use spatial composition requests storage space and trial about new plan, the type of pursing the universalism is concerned about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and a memorial service, the type of housework oriented wants a talk with their family and discuss some problem, and the type of pursing the leisure requests division of household with their family and likes traveling and sports.

  • PDF

3대 동거가족을 위한 소형 아파트 2호1주택 리폼 연구 (A Reform of Two to One Dwelling Unit for Three Generation Family Living of Small Houses)

  • 손승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83-90
    • /
    • 2005
  • A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remodeling possibility from deteriorated stock apartment housing, to three generation family living in a dwelling unit for low incomes. An apartment housing which was built from 1970s, is accumulated over $55\%$ of the stock housing in Korea, many of them are confront with a rebuilding in a short usage of twenty years below. They are small one, and many of the residence complain narrow and small space compare to economic growth and their needs. This article deals the reform of two to one dwelling units, that it can be use for three generation family living as a new residence, because its spatial character is more controled privacy condition as a four bay spatial organization in the dwelling. The reform simulated in a 10, 13, 14, 15, and 16 pyung, the remodeling size became from 20 to 30 pyung, and its reform can be apply to extend life cycle of a stock confront with redevelopment. The possibility of the reform houses have more intensive privacy in a house compare with same area of new apartment. It tells us that we can recycle the deteriorate apartment house into three generation family living use, and it will be clue to change slum clearance into reform and recycle of deteriorate apartment house.

주거학 교육의 특성화 증대방안으로서 시설경영 교과과정 도입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a Facilities Management Program as a Way of Specialization of Housing Studies)

  • 이경희;조유현;김영주;이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3호
    • /
    • pp.107-121
    • /
    • 2007
  • Many housing studies 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have focused on design, planning, and construction. Houses and nearby environments are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assets each household possesses. However, effective and efficient housing management of housing asset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Facility management can be defined as the practice of coordin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with the people and process (work of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struct of courses of Housing majors in the College of Human Ecology in Korea and investigate facilities management programs and courses provided in the U.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rging facility management perspectives and educational programs into housing studies. Many courses provided in facility management programs have human ecology perspectives in terms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life cycle commitment, and various stakeholders building physical, social, and ecological milieu. By merg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curricula of housing and consumer studies, facility nanagement programs and courses could be a possible alternative to specialized housing education programs.

  • PDF

청년 취업 1인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Work-Leisure Balance of Employed Young-Single-Households)

  • 양지명;정영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2호
    • /
    • pp.17-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work-leisure bal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employed young single households. Three groups of sample households-work-oriented, balanced, and leisure-oriented-were compared by factors related to work and leisure. Six cases were interviewed to obtain qualitative data on the subjective meaning of work-life bal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groups based on the various work- and -leisure- related factors: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of the week, number of vacation days per year, weekday leisure time, degree of weekday freedom, and sufficiency of the leisure cos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considered desirable for quality of life differed between groups.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ork and leisure was very important for those respondents, who have an unstable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nd who want to delay making decisions on moving into the marriage and family-building phase recognized as a major development task for Korean adults.

주문형 주거공간에서 Wall Storage System을 활용한 가변화 방안 연구 (Research of Wall Storage System design process for residential space)

  • 임은상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81-292
    • /
    • 2000
  • 현대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새로운 트랜드의 등장은 사회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주생활에 있어서 생활패턴의 변화와 거주자 요구의 다양화 양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주생활의 변화는 가족유형에 많은 영향을 미쳐서 전형적인 가족유형에서 점차 다양한 가족유형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주택 계획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다양하게 표출되는 거주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 공간의 제안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거주자 요구의 다양화와 생활 패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공급되어 온 대부분의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 주택은 몇 가지 유형으로 패턴화 되어 있으며, 대량공급정책으로 인한 천편일률적인 공간구성과 과밀화, 고정화 양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거주자 생활 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 공간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른 공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Wall Storage System을 활용한 주거공간의 가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