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ork-Leisure Balance of Employed Young-Single-Households

청년 취업 1인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 Yang, Jimyeong (The Catholic Univ. ok Korea, Consumer & Housing Studies) ;
  • Jeong, YeongKeum (The Catholic Univ. ok Korea, Consumer & Housing Studies)
  • 양지명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정영금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Received : 2019.02.18
  • Accepted : 2019.03.25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work-leisure bal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employed young single households. Three groups of sample households-work-oriented, balanced, and leisure-oriented-were compared by factors related to work and leisure. Six cases were interviewed to obtain qualitative data on the subjective meaning of work-life bal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groups based on the various work- and -leisure- related factors: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of the week, number of vacation days per year, weekday leisure time, degree of weekday freedom, and sufficiency of the leisure cos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considered desirable for quality of life differed between groups.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ork and leisure was very important for those respondents, who have an unstable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nd who want to delay making decisions on moving into the marriage and family-building phase recognized as a major development task for Korean adults.

Keywords

References

  1. 강수택.정철규(2015).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3). 145-156.
  2.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2), 184-215.
  3.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47-56.
  4. 권지혜.원형중.황선영(2017). 1인 가구의 여가 전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5(4), 51-68.
  5. 김난도.전미영.이향은.이준영.김서영.최지혜.서유현.이수진(2017). 트렌드 코리아 2018. 미래의 창.
  6. 김민주(2018). 취업 1인 가구의 생활시간사용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소영.선보영.전미영.남지민(2017).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 김시월.윤정혜.조향숙.이정화(2012).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3(4), 309-336.
  9. 김아린(2018). 1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7), 493-509. https://doi.org/10.14400/JDC.2018.16.7.493
  10. 김연옥(2016).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특성과 생활실태. 한국가족복지학, (52), 139-166.
  11. 김영정.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608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228.
  12. 김정숙.김기헌.황세영(2015). 동북아 청소년정책 국제비교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김정운.박정열(2004). 주 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4년 정책기획과제.
  14.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15. 김창원(2015). 직장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미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스포츠테크노 산업학과 석사학위논문.
  16. 김형균(2016).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생활변화와 전망] 증가하는 1인 가구 위한 통합 정책 대응 2017년 시민생활의 정책적 과제로 대두. 부산발전포럼, (162), 46-51.
  17. 김혜영(2007). 1인 가구의 비혼 사유와 가족의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041-1057.
  18. 김혜영(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https://doi.org/10.22862/KJSR.2014.15.2.008
  19.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20. 남은영.이재열.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한국사회학, 46(5), 1-33.
  21. 노혜진(2018).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71
  22. 류승아.김경미.최인철(2011).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415-434.
  23. 문화체육관광부(2017). 2016년 국민여가활동조사.
  24. 민경선(2018).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25. 박미선(2017). 1인 청년가구 주거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국토정책 Brief, (627), 1-8.
  26. 박정열.손영미(2014). 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75-102.
  27. 박정열.전은선.손영미.신규리(2016).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국내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여가학연구, 14(4), 1-22.
  28. 서우석(2015). 청년층 1인가구원의 여가활동. 한국의 사회동향 2015 문화와 여가. 207-212.
  29. 손영미.박정열(2014).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161-190.
  30. 손영미.박정열.김가영(2006). 일과 삶의 균형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1-14.
  31.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32. 안수미.이기영(2012). 미혼취업자의 여가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09-132.
  33. 양지명.정영금.윤소영(2017). 베이비부머 세대와 노인 세대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두 세대의 경제활동 여부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5, 1-20.
  34. 여성가족부(2006). 제 1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35. 여성가족부(2011). 제 2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36. 여성가족부(2016). 제 3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37. 오세숙.김종순.박정열(2014). 진지한 여가 참여자의 일과 삶의 균형.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140-149.
  38.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https://doi.org/10.22862/KJSR.2015.16.1.007
  39.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 45-60.
  40. 윤소영.박두용(2014).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학연구, 12, 149-173.
  41. 정영금.윤소영(2018). 1인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1-15.
  42. 윤혜진.김영문.김은희(2016).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8(12), 353-370.
  43. 이국희.최인철(2018).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학연구, 16, 29-53.
  44. 이성은(2015).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분석을 통한 새로운 가족형태의 탐색. 이화젠더법학, 7(2), 73-112.
  45. 이수현(2017). 청년 여가정책의 필요성 연구 : 청년세대의 여가자원 분포 특성 검토를 통하여. 여가학연구, 15(3), 71-93.
  46. 이은지(2017). 1인 가구 청년의 심리적 경험 연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47. 이현서(2016). 청년 고실업률 시대, 청년 여가권(餘暇權) 성찰. 문화정책논총, 30(2), 236-262.
  48. 장진희.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226.
  49. 정경희.남상호.정은지.이지혜.이윤경.김정석.진미정(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50. 정순희.임은정(2014). 청년 1인 가구의 삶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4), 1-19.
  51. 정영금.양지명(2017). 가족친화문화 조성을 위한 가족친화지원사업의 발전방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6(1), 85-102.
  52. 정운영.정세은(2011).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 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31(4), 1119-1134.
  53. 정희수(2018). 청년 1인가구를 생각함. 새가정, 65, 9-13.
  54.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고서.
  55. 최홍철.김소연.나종연.최현자(2016). 20.30대 1인가구의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9, 89-110.
  56. 최효미.김지현(2018). 청년 1인가구 현황 및 청년층의 1인가구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7-21.
  57.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58.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59. 홍승아.성민정.최진희.김진욱.김수진(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60. Beck, U. (2002).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Vol. 13). Sage.
  61. Daniels, L. & McCarraher, L. (2000). The Worklife Manual: Gaining a Competitive Edge by Balancing the Demands of Employees' Work and Home Lives. Industrial Society.
  62. Dex, S. & Bond, S. (2005). Measuring work-life balance and its covariates. Work, employment and society, 19(3), 627-637. https://doi.org/10.1177/0950017005055676
  63. Greenhaus, Jeffrey.Karen Collins.Jason Shaw (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64. Guest, David(2001).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A discussion paper prepared for the 2001 ENOP Symposium, Paris, March 29-31.
  65. Kirchmeyer, C. (2000). Work-life initiatives: greed or benevolence regarding workers' time?.
  66. Tausing, Mark & Fenwick, Rudy(2001). Unbinding Time: Alternate Work-S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2), 101-119. https://doi.org/10.1023/A:1016626028720

Cited by

  1. 결혼경험 유무에 따른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24, pp.1, 2020, https://doi.org/10.22626/jkfrma.2020.24.1.002
  2.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 Focused on Young (19-39) Women in Korea vol.9, pp.6, 2019, https://doi.org/10.20482/jemm.2021.9.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