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여가

검색결과 8,431건 처리시간 0.034초

한부모가족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학교적응유연성과 가족보호요인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in school lives and Family Protection Factors focusing on youths in single-parent families)

  • 한신애;한춘남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2호
    • /
    • pp.53-61
    • /
    • 2018
  • 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가족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수가 되는 부모와의관계, 가족지지 모두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보호요인이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와의 관계, 가족지지, 가족기능의 변수들이 특별히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밝혀지지 않았다. 넷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규범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학교규범준수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부모가족 청소년은부모와의 관계와 가족기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 부모와의 관계,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었다.

가족탄력성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Adaption of Family with Chronic Illness Child)

  • 이은희;손정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7호
    • /
    • pp.95-120
    • /
    • 2008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이론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은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사업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만성질환으로 진단 받고 3개월 이상 치료중인 0세~15세의 만성질환아 가족들이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족탄력요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강점 관점에 근거하여 가족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탄력성 강화를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강점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 of Family-Centered Practi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 강미경;노혜련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285-322
    • /
    • 2012
  • 본 연구는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가족중심실천의 일차적 대상이 되는 가족강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중심실천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은 삼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인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주 양육자가 작성한 서비스 평가 자료를 기초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분석을 하였고,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경험한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높아 가족중심실천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에 참여한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점 수준의 사업 참여 전후를 비교해 보면 둘 다 참여 후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가족강점은 가족중심실천과 아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중심실천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가족강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아동복지 영역에서 강점관점에 기반을 둔 가족중심실천의 필요성과 좀 더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소설 「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Novel 「Aging Family」)

  • 경은주;양영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638-65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설 「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소설 속 주인공 인모가 가족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의 가족은 혈연과 비혈연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이른바 '정상가족'과는 거리가 먼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에 대해 인모가 인식한 가족의 의미는 "자부심도 애정도 가질 수 없는 존재"에서 "인간적인 정리"와 "피보다 진한 의리"가 존재하는 가족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가족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가족다양성을 고려한 가족센터 사업 운영에 대한 연구: 가족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mily Services and Program Administration of Family Centers Related to Family Diversity: Focusing on Family Center Practitioners)

  • 고선강;손서희;서찬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2호
    • /
    • pp.19-33
    • /
    • 2023
  • 본 연구는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가족다양성 인정'이라는 주요 정책 목표 하에 운영되고 있는 가족다양성 관련 사업에 대한 가족센터 실무자의 운영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족서비스 실무경험이 풍부한 시·군·구 가족센터의 센터장 혹은 중간관리자 12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접 자료 분석은 중심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가족센터 실무자들은 가족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가족다양성 개념을 이해하고 가족센터 운영에 여러 형태로 적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가족다양성 적용을 고려한 사업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가족 사업을 위한 자원 부족, 개별 가족서비스 목표와 가족다양성 관련 사업 목표 간의 갈등, 다양한 가족 대상자 발굴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향후 가족다양성 관련 서비스 확대를 위해 가족다양성에 대한 종사자 교육,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가족 사업 운영, 다양한 가족 이해 및 인식개선 프로그램 확대와 다양한 가족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사업 주제 발굴 등과 같은 운영 방식의 변화, 가족센터 홍보 강화 및 대상자 확대, 가족다양성 사업 운영을 위한 예산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가족다양성 적용과 확장을 위한 가족서비스 개편 근거 및 가족서비스 실무자가 가족다양성 관점을 적용한 가족 사업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방향과 원칙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Search for New Model of Delivery System for Family Welfare Service)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225-251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족복지정책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가족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모형을 정립해 가는데 고려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가족복지정책의 패러다임 전환과 보건복지부에서 여성가족부로 가족업무가 이관되는 변천과정을 개괄하였다. 이를 통해 전환기에 서 있는 가족복지정책이 담보해야 할 내용성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달체계의 구축원칙을 기존 사회복지전달체계와의 연관성과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성을 결합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2004년도 시범사업을 수행한 기관들의 프로그램을 살펴보면서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조상 가장 지역사회 가족과 맞닿아 있는 가족지원 센터의 모형을 설계하는데 기본적으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원칙으로는 우선 가족구성원이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해 가족의 안정성을 강화하며, 어떠한 형태의 가족이든 사회적로 배제되지 않고 기본적인 생활기반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족복지정책의 목표를 실현가능한 것으로 전환시키는 전달체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요구되고 있는 통합성, 지속성, 효율성, 접근성의 강화가 동시에 요구된다. 특히 가족복지서비스의 구체적 현장단위인 가족지원센터는 민주적이고 평등한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등과 같은 직접적 서비스 제공과 함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지닌 가족구성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가족관련 기관들을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모형으로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 PDF

가족 가치관, 의사소통, 관계성에 따른 건강가족지원사업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A Study for Program Activities in Healthy Family Support Business: Focused on Family Values, communication, relationships)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31-13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에 따라 개설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필요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라는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 서구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29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에서 평균미만집단이 평균이상집단과 비교하여 건강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프로그램은 지역주민의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을 반영한 필요도 중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 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145-156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가족 연구와 가족생활교육 및 가족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족의 건강도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및 관련 척도 고찰을 통하여 하위 요인 및 문항을 구성하였고, 문항의 적합도와 안면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예비조사 도구 100문항이 구성되었다. 가족생활주기별로 34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항양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X^2$ 값과 Cramer의 V계수를 산출하였고,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요인(가족간의 의사소통, 가족간의 몰입, 가족원의 적응력, 가족 가치관)이 추출되었으며, 이들은 전체적으로 57%의 설명력을 갖는다. 또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요인별 문항을 선정함으로서 최종적으로 34문항이 구성되었다. '가족 건강도' 척도 및 그 하위 요인과 ${\ulcorner}Family\;Adaptability\;and\;Cohesion\;Evaluation\;Scale{\lrcorner}$, ${\ulcorner}Family\;Stengths\;Scale{\lrcorner}$과의 상관계수는 .25에서 .56사이로 나타나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의 a계수 .94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80에서 .91로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 PDF

여대생의 여가소비유형에 따른 가족여가활동과 가족여가만족 및 여가이득과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Leisure Activities, Family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Benefit of Women's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Leisure Consumption Propensity)

  • 주영애;홍영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34-6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여가소비유형에 따른 가족여가활동과 가족여가만족 및 여가이득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여대생을 대상으로 2016년 5월9일~5월30일까지 설문조사 한 257부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여가활동은 가족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가족여가만족이 여가이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족여가활동이 여가이득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소비유형에 따른 가족여가활동과 가족여가만족 및 여가이득의 차이를 보면, 가족여가활동과 가족여가만족의 영향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가치추구 여가형이 가족여가활동을 할수록 가족여가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소극적 이상추구 여가형, 실리추구 여가형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소비유형에 따라 가족여가활동에 대한 만족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수용과 가족용서가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Effects of Self-acceptance and Family Forgiveness on Family Cohesi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신선화;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77-288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수용과 가족용서가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대학생 376명(남자 188명, 여자 1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단순주효과검정은 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수용과 가족용서, 가족응집력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기수용과 가족용서는 가족응집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 및 가족용서와 가족응집력 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수용이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가, 가족용서가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관계의 증진을 위한 자기수용과 가족용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