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mily Services and Program Administration of Family Centers Related to Family Diversity: Focusing on Family Center Practitioners

가족다양성을 고려한 가족센터 사업 운영에 대한 연구: 가족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Son, Seohee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Seo, Chanran (Office for Environment & Welfare Committee, Jeollabuk-do Provincial Assembly)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손서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 서찬란 (전라북도의회 환경복지전문위원실 )
  • Received : 2023.03.16
  • Accepted : 2023.04.27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mily diversity-related service experiences of Family Center practitioners under the main policy goal of recognizing family diversity set out in the Fourth Master Plan for Healthy Families.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Family Center practitioners in multiple cities and districts who had extensive family service experiences.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Family Center practitioners understood the concept of family 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family policy environment and applied it in various forms to the administration of their respective centers. However, while administering the family support services considering the aspect of family diversity, they experienced a lack of resources for various family service programs, conflicts between each family service goal and the family diversity-related program goal, and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recipients. To expand family diversity-related services in the future, the interviewees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ion programs about family diversity targeted at Family Center practitioners, and family support services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They also stressed the need for changes in program operation methods, such as expanding family diversity education, and developing family service programs appropriate for diverse families. Lastly, they highlighted the need for mounting a publicity campaign for Family Centers, widening the target recipients of family programs, and expanding the budget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family diversity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restructuring family services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family diversity practices, and as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family service practitioners to plan and execute family support programs that take family diversity into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가족다양성 인정'이라는 주요 정책 목표 하에 운영되고 있는 가족다양성 관련 사업에 대한 가족센터 실무자의 운영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족서비스 실무경험이 풍부한 시·군·구 가족센터의 센터장 혹은 중간관리자 12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접 자료 분석은 중심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가족센터 실무자들은 가족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가족다양성 개념을 이해하고 가족센터 운영에 여러 형태로 적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가족다양성 적용을 고려한 사업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가족 사업을 위한 자원 부족, 개별 가족서비스 목표와 가족다양성 관련 사업 목표 간의 갈등, 다양한 가족 대상자 발굴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향후 가족다양성 관련 서비스 확대를 위해 가족다양성에 대한 종사자 교육,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가족 사업 운영, 다양한 가족 이해 및 인식개선 프로그램 확대와 다양한 가족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사업 주제 발굴 등과 같은 운영 방식의 변화, 가족센터 홍보 강화 및 대상자 확대, 가족다양성 사업 운영을 위한 예산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가족다양성 적용과 확장을 위한 가족서비스 개편 근거 및 가족서비스 실무자가 가족다양성 관점을 적용한 가족 사업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손서희.서찬란(2022). 가족다양성 확장에 따른 가족서비스 방향성 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 김성숙.강현경(2012). 유아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다양성 수용도와 가족 개념에 대한 인식. 아동교육, 21(4), 117-133. 
  3. 김아래미.이민경(2015). 사회복지조직의 문화적 역량이 종사자의 다양성 인식과 문화간 의사소통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3), 135-161. DOI : 10.22944/kswa.2015.17.3.006. 
  4. 김화선(2016). 보육교사의 가족이념이 가족다양성 수용에 미치는 영향: 반편견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0(4), 633-654. DOI : 10.21459/kccr.2016.20.4.633. 
  5. 박미경(2017). 예비유아교사의 가족의 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727-747. DOI : 10.22251/jlcci.2017.17.21.727. 
  6. 박인옥(2022). 상호문화주의 관점에 기초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분석.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1(6), 1-21. DOI : 10.30974/kaice.2022.11.6.1. 
  7. 박정윤.김영란.손서희.진미정(2019).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8. 박정윤.장영은.이영호.한은주(2021). 정책대상과 집행관점에서 본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의의와 한계점. 가족정책연구, 1(2), 15-31. DOI : 10.52946/jfp.2021.1.2.15. 
  9. 변수정.조성호.이상림.서희정.정준호.이윤석(2014).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여성가족부(2020). 가족다양성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 보고서. 여성가족부. 
  11. 여성가족부(2021). 2025 세상 모든 가족함께: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12-2025). 여성가족부. 
  12. 여성가족부(2022). 2022 가족사업안내(I). 여성가족부. 
  13. 유계숙(2005). 가족의 다양성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과 문화, 17(2), 211-233. 
  14. 유계숙.유영주(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5), 79-94. 
  15. 이근애.전효정(2010). 아동을 위한 다양한 가족 이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21-40. 
  16. 이선영.정유진(2018).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3), 3-29. DOI : 10.21321/jfr.23.3.3. 
  17. 이진숙(2017). 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지원 체계 효율화 방안 모색. 보건복지포럼, 2017.10. 78-91. 
  18. 진미정(2021).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비판적 검토와 가족 정책의 과제. 가족정책연구, 1(2), 1-13. DOI : 10.52946/jfp.2021.1.2.1. 
  19. 최샛별.이명진.최유정(2021). 가족다양성 수용도 측정 도구 개발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 최은경.송지은.박성민.오진실.임정하(2021). 국내 TV 드라마에 나타난 가족 다양성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33(4), 58-80. DOI : 10.21478/family.33.4.202112.003. 
  21. 한은주.설무란.오민영(2021). 다양한 가족 수용성 증진 교육을 통해 본 강북구 주민들의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 및 변화.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2.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DOI : 10.1191/1478088706qp063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