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시간

Search Result 7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가족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Family Volunteering and the Family Health)

  • 이경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63-87
    • /
    • 2003
  • 우리 사회에서 여러 사회문제의 예방차원에서 가족생활을 증진시키고, 사회복지의 중요한 자원인 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가족자원봉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자원봉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정태적 집단비교설계방법으로 전국에서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에 6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참여한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건강성을 조사하고 통제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가족자원봉사 경험을 가진 실험집단(494명)이 통제집단(534명)보다 가족 건강성의 모든 영역(가족의 결속력, 가족원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문제해결능력, 가치체계 공유, 역할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통제집단 중 가족이 정기적으로 함께 하는 활동이 있는 경우에도, 가족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가족과 비교하여 가족 건강성이 낮았다. 따라서 가족자원봉사경험이 여타 다른 가족활동보다 가족 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족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족단위의 자원봉사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 융통성있는 가족자원봉사 개념규정, 가족자원봉사를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사이의 연계, 가족자원봉사의 시간 활용을 위한 탄력적인 근무제도 도입 등 가족자원봉사의 장애요소의 해결들이 제시되었다.

  • PDF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재구성 경험과정연구 -정책적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Study on Experience Courses of Families Reorgan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Focused on the Deduction of the Political Implication)

  • 이덕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01-21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 가족이 생존을 위한 탈북 과정에서 남한입국까지 가족해체와 재구성되는 경험과정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북한에서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중국에서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남한 정착 후의 가족해체와 재구성으로 나누어 탐색하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기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는 2012년 7월부터 2013년 3월까지 8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인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은 탈북과정에서 가족관계를 해체하고 떠나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해체가 아니라 먼저 생사의 기로에 서 있는 가족을 살리고, 언젠가는 가족과 함께 살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드는 준비단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처해 있는 상황을 극복하고 생존하기 위해, 가족해체와 재구성을 반복하면서 자신과 가족을 살리는 방편으로 삼고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항상 동시에 일어나고 있었음이 발견되었다.

리얼 예능 프로그램 <삼시세끼>가 재현한 가족에 관한 연구 (Meanings of Family Reproduced by the Real Entertainment Program )

  • 전미경;이정원;김지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53-56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삼시세끼> 어촌편 1이 재현한 가족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야기 전개구성과 등장인물의 관계 특성을 서사분석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삼시세끼>는 '기상-자유시간-아침-점심-저녁-휴식-취침'의 비교적 단순한 전개구성을 보였다. 각 등장인물에게는 주된 공간과 역할을 배치함으로써 '차줌마', '바깥양반', '호주니'의 캐릭터를 완성해갔다. 출연진이 모두 남성임에도 이들에게는 아내/주부/엄마, 남편/가장/아빠, 아들의 가족지위가 부여되었고, 매우 고정된 감정과 획일적 행동의 가족실천이 탄탄한 관계구조 속에서 반복되었다. 동시에 유자녀 가족, 양부모 가족, 이성애가족, 핵가족이라는 전형적 근대가족, 정상가족, 표준가족을 연출하였다. 즉 <삼시세끼>는 스위트 홈의 표상을 적극 차용해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강화시켰다.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Child Rear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 김순옥;김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62-47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및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주여성들이 안정적으로 자녀양육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부담감, 양육효능감은 t-test, ANOVA, 가족지지에 따른 양육부담감, 양육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 양육부담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부담감에 대한 차이는 연령, 학력, 가구소득, 배우자 직업, 배우자의 자녀돌봄 시간에 따라, 양육효능감은 연령, 출신국가, 결혼경로, 사용하는 언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양육부담감은 배우자지지, 가구소득, 연령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양육효능감은 배우자지지, 배우자의 자녀돌봄 시간, 연령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주여성의 자녀양육에 있어 양육부담감은 가족지지, 연령, 배우자의 자녀 돌봄 시간, 양육효능감은 배우자지지, 가족지지,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주여성들의 바람직한 자녀양육행동을 지원하기 위해 배우자 및 가족지지 향상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미국백인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직업소망: 가족배경변인과 시간 제취업경형을 중심으 로한 비교연구 (gender-based Differences in American Adolescent's Occupational Aspirations)

  • 옥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36-48
    • /
    • 1994
  • 본 연구는 미국백인 고등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직업소망을 가족배경변인과 시간제 취업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각 변인들이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해보는데 의의가 있다 본연구는 미국 North Carolina주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중 시간제취업에 종사하고 있는 남학생 189명과 여학생 169명을 분 석대상으로 하였다. 가정배경변인과 시간제취어변인이 고등학생들의 직업소망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경로모델을 제시하였고 모델을 사용하여 남학생과 여학생의 직업소 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검사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의 교육정도 어머니의 직업수 준 그리고 사회적 개방태도가 그들의 직업 소망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업 성적만이 유일하게 직업소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 PDF

대학생의 시간전망이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Perspective o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 김외숙;박은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141-16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ime perspective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ime perspective o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s including time perspective,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scal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from 382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The time perspective, composed of four factors future insensibility and present, past, and future orient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sex, academic grade, and specialty of the college students. The time perspective of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as effective variables o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olicy on the time perspective of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 행복한 생활을 위한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 (Time Use and Leisure Activity Status Analysis of Single-Parent-Family - Focusing on Living Experience for a Happy Life)

  • 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1호
    • /
    • pp.1-18
    • /
    • 2013
  • This study grasps the living condition of Single-Parent-Family, and compares Single-Parent-Family with Dual-Parent-Family to analyze necessary factors to enjoy the happier life. The data from '2009 the Korean Time Use Survey' and '2010 the National Survey of Korean Families(NSKF)' are used for this study.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SPSS for windows, Ver. 18.0) are used for statistical method.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distribution of living-time-usage of the Single-Parent-Family is different from that of Dual-Parent-Family.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eisure time, time distribution, and the content of activity was observed based on the gender of Single-Parent-Family.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family leisure activity time among Dual-Parent-Family, Mother-Single-Parent-Family, and Father-Single-Parent-Family in holidays. Fourth,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Dual-Parent-Family and Single-Parent-Family, after looking at life satisfaction degree in work-family-leisure life experience.

  • PDF

가정관리유형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ome Management Pattern & its Related Influential Variables)

  • 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72-82
    • /
    • 1994
  • 본 연구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과 가정생활 정보활용 수준 및 가족결속도간의 관 계규명을 위한 시도이며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녀를 1명이상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정 생활주기별로 층화표집을 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중 기재미비로 제외된 나머지 704부를 연 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alpha}$ 계수 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Anova, $x^2-test$,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과 판별분석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AS/PC program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관리 유형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변인은 주부의 학력, 남편의 학려그 자녀수, 결혼지속년수, 가정생활주기 및 시간지향이었다 이중에서 가정관리 유형을 판별해 낼 수 있는 변인은 주부학력과 시간지향변인이었다. 둘째 가정관리 유형별 qorudqusd니의 가족결속도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력은 과업중심적 관리유형의 가정의 겨우 과거지향적인 주부일수록 남편학력이 높을수록 가정생활주기가 축소기에 가까우수록 전체 정보활용도는 높고 더불어 가족결속도도 높았다. 반변에 인간중심적 관리유형 가정의 경우 미래지향적인 주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전체생활 정보활용도가 높고 더불어 가족결속도의 증대에 기여도가 높았다.

  • PDF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amily Strengths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 강우정;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19-33
    • /
    • 2023
  •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8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을 살펴보면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별, 가족과의 연락 빈도,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 가족건강성 중 질적 유대감, 자아탄력성 중 통제성이 유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ild-geese fathers' experiences of decision-making and maintenance in separated families)

  • 김주현;송민경;이현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107-133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확산되는 기러기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7명의 기러기 아빠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거가족 경험의 일반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경험은 전후 맥락과 시간성을 고려하여 가족분거 결정단계와 초기단계, 유지단계로 구분되었고 5개의 상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먼저, 가족분거 결정단계는 "조기유학의 내·외적 필요" 로 나타났고, 가족분거 초기단계는 "가족이탈의 해방과 결핍" 으로 도출되었으며 가족분거 유지단계는 "고갈된 독거인의 삶", "가족없는 공간을 채움", "분거기간의 장기화: 와도 걱정, 안와도 걱정"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가족분거를 경험한 기러기아빠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