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부양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prepare for the Super-Aged Society)

  • 김민주;황준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95-405
    • /
    • 2019
  • 우리나라는 경제발전, 출산율 저하, 보건의료의 발달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 2018년 14% 고령사회, 2026년 20% 초고령사회로 예상되어 빠른 인구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고령화에 따라 치매, 중풍 등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을 가정에서 돌보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에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구조 및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요양대상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가족부양 부담의 완화 등을 목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의 민영화와 난립으로 서비스의 공적 책임과 시설의 질 제고에 대한 요청이 확산되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밖에도 저임금 요양인력의 양산, 재원조달 방식에 관한 문제 등의 대비가 다각도로 부족한 부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장기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하기 위해서는 법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의 모색과 더불어 노인복지서비스가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노후 생활의 안정을 위한 정신적 심리적 조치를 강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루게릭장애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연구 - 한일사례연구 - (ALS One-stop Support Service Development Study - Korea-Japan Case Study -)

  • 정희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43-454
    • /
    • 2020
  • 본 연구는 ALS(루게릭)장애인의 병진행 단계에 따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다중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과 일본의 루게릭장애인의 일기, 블로그, SNS, 유트브, 그리고 인터뷰 등을 통해 양국의 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루게릭병 발병단계에는 한국루게릭협회와 같은 당사자 조직에 루게릭질환을 경험한 사람이나 가족에 의한 동료상담가를 배치하여야 한다. 연화장애단계에서는 위루술시술 후 소독과 경관식투여와 같은 의료적 처치를 위해 방문간호사의 재택방문횟수가 늘어야 하며, OT,PT에 의한 재택서비스가 필요하다. 호흡장애의 단계에서는 인공호흡기의 착용과 거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호홉기착용단계에서는 루게릭전용활동지원인의 양성과 파견이 필요하다. 또한 주 부양자를 위한 가족쉼터나 루게릭장애인 당사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단기보호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러한 서비스는 단계별로 연계성 있는 원스탑지원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독일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민간 기업의 참여 (Work-Life Balance Policies in Germany and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 남현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29-736
    • /
    • 2023
  • 전통적으로 성별분업에 의한 남성 생계부양자모델을 추구해온 보수주의 복지국가 독일은 오랜 기간 현금급여 중심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2007년 독일 정부는 "시간정책, 이전소득 및 인프라의 혼합"이라는 슬로건 아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작하였다. 독일에서 저출생 문제가 국가문제로 부상하자 정부뿐 아니라 민간 기업도 가족친화적 인사정책과 근로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출산율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민간 기업은 인력 확보와 이직 예방을 목적으로 법적 의무를 넘어 자발적으로 가정친화적 근로환경을 개선해나가고 있다. 독일의 출산율은 2023년 현재 유럽 평균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어 정부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민간 기업의 참여가 출산율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한국의 일·가정 양립 정책 개선 방안으로 아버지의 육아 동참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 남성 육아휴직의 의무화, 출산 후 여성의 고용 보장, 돌봄시설 확충 그리고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자조집단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help Program with Care Burden for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 김정순;이수일;김기태;박남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0-269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caregiving situation of families with the demented elderly and to develop a self-help program for them. Method: A self-help program was designed to increase caregivers' confidence and skills in problem solving. In addition, it was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mented elderly. The self-help program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nine sessions. Result: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obviously experience high level of stress. which often leads the caregivers to negative outcomes such as depression, interference with social activities and health difficulties. That is, caring is stressful for caregivers because the demands of the caregiving situation tend to overwhelm the caregivers' coping resources. Therefor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need assistances in order to be relieved from their care burden. Conclusion: The self-help program includes the understanding of dementia, the family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 demented elderly persons, the time for self-care, the search for helping, the improv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 PDF

건강한 삶을 위한 힐링 실내디자인 (Healing Interior Design for Health of Everyone)

  • 김성진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3-60
    • /
    • 2013
  • 세계 경제가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갖게 되었고, 의학기술의 발달로 건강한 고령자의 증가가 나타나는 사회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65세 이상의 건강한 고령인구의 증가 추세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현실화 되고 있다. 또 급속한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가족 내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 단독세대가 급증함에 따라 해당 관련 복지의 구체적인 정책 실천방향에 대한 요구와 신체적, 사회 심리적 특성에 따른 힐링 환경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개념 및 고찰을 통해 힐링 환경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건강한 주거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 있어서의 공간에 의한 인류 건강증진은 1.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스펙트럼 상에 놓여 있으며, 한편은 최상의 건강 상태이며 다른 한편은 질병에 의한 사망이라는 개념에 의미를 둔다. 2. 병, 의학 전문가 관점에서 건강을 증진시키는 과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새로운 치료적 환경에 대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주지하는 입장에서, 안녕(healing)을 양성하는 공간 특성을 도출 개념이다. 3.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역동적 건강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건강은 단순히 무 질병의 개념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문화적 에다가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는 개념을 적용한다. 4. 특히, 병, 의학 전문가 관점으로 인해 간과되었던 대상자의 공간으로부터 얻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요구들을 반영하는 안녕(healing) 개념의 힐링 철학의 개념을 갖는다.

장기요양노인 가족수발자의 부양 실태에 관한 연구: 배우자 수발자와 자녀 수발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Family Caregivers of the Impaired Elderly: A Comparison between Spouses and Adult Children)

  • 신꽃시계;한경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51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how caregiving experiences of spouses and adult children were different to each other in terms of caregiver characteristics, the impairment level of the elderly, caregiving time, caregiver burden,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services, etc. Data were collected from 321 spouses and 324 adult children who cared for the functionally and/or cognitively impaired elderly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Caregiver characteristic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spouses and adult children. (2) Adult children cared for the more severely impaired elderly in terms of IADL, cognitive impairment, and behavior problems while spouses spent more time helping in ADL activities. (3) Spouse caregivers experienced greater overall burden, worry and strain, and financial burden compared to adult child caregivers. (4) Long-term care services were effective in reducing caregiver burden and improving family relations. Additionally, relations between adult child caregivers and the elderly was more improved than relations between spouse caregivers and the elderly after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fferential experiences between spouse caregivers and adult child caregivers were discussed.

부모동거 미혼성인자녀의 부모자녀관계의 질과 관련요인: 세대 간 지원교환, 가족부양관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Unmarried Adult Children and Their Coresident Parents: Focus on Intergenerational Exchanges and Family Values)

  • 강유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7-403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unmarried adult children and their coresident parents with a focus on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s and family values affecting parent-child relations. A total of 767 unmarried adult children who lived with their par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the third National Korean Family Survey in 2015. The main findings were that coresident adult children exchange diverse resources with their parents and that exchange patterns whether receiving more or giving more differed depending on the helping dimensions. 'Receiving' type was more prominent in the dimension of practical help, while, 'receiving and giving' type was more noticeable in the dimension of emotional help. Findings also suggest that intergenerational exchange and family values contribute to parent-child relationship quality. While being an active provider of practical hel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quality, being a recipient of emotional help is related to a higher level of relationship quality compared to being indifferent. In addition, a stronger value of family responsibilit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relationship qual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and emotional compon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unmarried adult children and their co-resident parents and reciprocal intergenerational exchange and strong family values may be contributory factors to better parent-child relationships.

베트남의 농업-공동체 임업정책 성공 제한요인을 중심으로 (Agro-and Community Forestry Policy in Vietnam with Emphasis on Constraints Limiting Success)

  • 뉴엔딩하이;윤여창;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3권2호
    • /
    • pp.375-384
    • /
    • 2006
  • 농업-공동체 임업은 토지-나무-인간 사이의 관계를 폭넓게 포함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농업-공동체 임업활동이 베트남의 산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농업-공동체 임업(AF와 CF)은 베트남에서 시급한 국가우선사항이 된 개발과 보전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닌 것으로 받아드려지고 있다. 베트남에서 AF와 CF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며, 제약 사항은 위협적이고 시급한 상황이고, 황폐화가 진행될수록 복원은 어려워지는데, 농업의 생산성 감소에 따른 산촌주민들의 가족 부양을 위한 생태계 파괴도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농업-공동체 임업활동이 베트남의 산지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있어서의 연관된 문제들, 발전에의 제한요인, 특히 정책 제한요인을 분석하고 베트남 농업-공동체 임업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노인데이케어센터의 지역융합형 발전방향 (Development of Daycare Center for Senior Users as Community-Cohesive Facility)

  • 한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489-1495
    • /
    • 2014
  • 고령화시대를 맞아서 한국은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실시하면서 노인부양부담을 가족으로부터 국가의 책임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데이케어센터(주간보호센터)는 사회적 보살핌을 제공하는 시설 중의 하나로 입소생활시설과는 다른 주간이용시설인데 설립초기 자원부족 및 서비스 질 향상 등의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케어센터를 지역을 중심으로 접근하면서 그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또한 전문가심층면접분석을 통해서 데이케어센터의 차후 비전을 제시하였다. 심층분석 결과로는 데이케어센터에서 제공하는 건강케어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문제 및 특성을 반영하여야 하고, 사용자 중심이어야 하며 지역통합적 방식을 취해야 함이 제시되었다.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불안 및 우울 관련 요인: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바탕으로 (Factors Related to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Patients: based on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 엄태림;최보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5-77
    • /
    • 2018
  •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of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patients and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Methods: Data from 2015 Community Health Survey(n=2,426) was used.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of family caregivers, an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Results: Odds ratio(OR) of anxiety and depression was 1.29 times higher in female, 2.49 times higher in over 70 years versus under 39 years. ORs were lower 34.0%, 26.0%, 26.0% in the working group, the physical activity group, the alcohol drinking group respectively. 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4.54 times, 1.57 times higher in the stress group, the chronic disease group respectively. And ORs were 61.0%, 28.0% lower respectively when social networks and social activities was present. Conclusions: The rate of experiencing anxiety and depression was high in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pati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programs to reduce the burden of family support, anxiety and depression of family careg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