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의 과정변인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생 영재의 비지적특성과 가정의 과정변인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on-intellective Factors and Process variables of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 송경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7-151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생 영재들의 성격특성, 동기, 가정의 과정변인이 수학적 창의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교 및 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는 중학생 영재 317명을 대상으로 '성격 특성검사(임현수, 1998)', '동기화양식검사(Amabile, 1989)', '자녀교육관련 과정 변인검사(조석희 외, 2003, 재인용)', '수학적 창의성 검사(김홍원 외, 1998)'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녀교육관련 과정변인 중 스트레스는 남.여 모든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부적으로, 지지하기는 정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남자 영재학생들에게 지적자극은 수학적 창의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훈육, 성격특성 중 모험심, 내.외적 동기는 수학적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여자 영재학생들에게는 스트레스, 훈육, 외적동기는 부적으로 작용하였나 지지하기와 조력하기는 여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여 간의 성차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학생 남자 영재와 여자 영재의 교육과 생활지도에 있어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지도방법을 모색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가족이기주의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ocial-demographic Variables and Familism on the Family-selfish Behavior)

  • 조희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2호
    • /
    • pp.68-77
    • /
    • 1995
  • 본 연구는 급속한 산업화와 현대화 과정에서 파생괸 과소비 호화혼수, 재벌의 변칙 적인 부의 세습, 상류층내의 배타적인 결혼 지나친 교육열, 환경오염등과 같은 다양한 가족 이기주의 현상의 심각성을 재인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이기주 의의 예방을 개선을 도모해 나갈 기본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 는 기혼남녀 333명을 대상으로 가족이기주의 행동의 실태와 이에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내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beta=.238$), 교육수준($\beta=.237$), 소득($\beta=.188$), 가족우선성의식($\beta=.156$), 형제자매 및 친척간 사회경제적 연대의식($\beta=-.155$)이었고, 교육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득($\beta=.233$), 성별($\beta=.200$), 연령($\beta=.176$), 교육수준($\beta=.156$)이었으며, 환경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득($\beta=.263$)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육시설의 구조적, 과정적 변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Reference to Day Care Center`s Structural, Process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 전춘애;이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5-12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reference to day care center's structural, process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56 children who attend day care center, aged from 3 to 5 years and 9 teachers in Seoul or the province of KyungkiDo. Data were gathered via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teachers to rat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ir own job satisfaction. And two observers rate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day care cente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variables predict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child's sex, age, period of attendance in day 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group size. Especi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who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small group size influenc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positively.

초등학생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에 대한 동아시아 5개국 비교 (The Effect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on Fourth Grade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in East Asian Countries)

  • 최지선;상경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3호
    • /
    • pp.167-18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수학 영역 평가에서 높은 성취도를 보이고 있는 동아시아 5개국(싱가포르, 홍콩, 대만, 일본,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초등학생 수학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교육맥락변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TIMSS 2015의 4학년 자료를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배경 변인 중 가정의 학습 자원, 부모의 교육 기대 수준이 초등학생들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동아시아 5개국에서 공통이었으나, 취학 전문해력 수리력 활동과 부모의 수학 과학에 대한 태도가 학생의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동아시아 5개국에서 공통적으로 수학 학습 흥미가 수학 성취도에 주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수준의 변인 중 학생 특성으로 인한 수업 제한 변인은 우리나라, 대만, 일본의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싱가포르와 홍콩에서는 성취도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재학생의 경제적 배경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한민국, 대만, 일본에서 싱가포르와 홍콩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국 부부의 갈등해소 방법 선택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과 상황적 변인의 상대적 중요성 (Marital Conflict Strategies as Personal and Situational Attributes:A Study of Korean Couples)

  • 전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1-106
    • /
    • 2000
  • 대부분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들은 갈등해소방법 사용의 상황에 따른 일관성을 미리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 갈등해소방법에 있어 성격의 효과와 함께 상황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갈등의 쟁점, 감정, 관련 인물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갈등해소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황에 따른 갈등해소 방법 선택의 일관성의 수준과 결혼 적응도에 있어서의 이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갈등해소의 과정 및 절차를 관찰하였다. 350쌍의 한국 부부들에게 설문조사(1차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0쌍을 선발하여 갈등해소 과정을 관찰하였다(2차연구).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쟁점의 종류나 관련 대상에 따라서는 비교적 일관성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감정상태에 따라서는 비 일관적인 해소방법을 사용하였다. 안정형 애착유형자는 건설적 해소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불안정 애착유형자는 파괴적 또는 회피적 해소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건설형 및 회피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행동을 보였으며, 파괴형 해소방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갈등해소의 과정, 즉 시작, 진행, 종료에 있어 유의한 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것이 결혼 적응도에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들은 갈등해소와 결혼 적응에 관한 이론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 PDF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family life-satisfaction among Korean adults: With specific focus on social support from spouse, trust of children and self-efficacy)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4호
    • /
    • pp.71-101
    • /
    • 2008
  • 이 연구는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과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두 개의 가설이 검증되었다. 분석대상은 성인 857명(초등학생의 부 111명, 모 111명; 고등학생의 부 108명, 모 108명)이었고, 측정도구는 Bandura(1995)의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LISREL 분석 결과, 가설 1은 완전히 긍정되었으며, 가설 2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은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해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가정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둘째,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해 간접효과가 있었다. 즉 배우자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자기효능감이 증진되며, 향상된 자기효능감은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를 높였다. 셋째, 자녀에 대한 신뢰는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에 대한 신뢰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력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유의한 전체효과가 있었다. 즉 자녀에 대한 신뢰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향상된 자기효능감은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에 대한 신뢰는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해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이와같이 성인의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규명하는 기초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 PDF

기혼남녀의 용서 연구 : 용서과정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orgiveness among Married Men and Women : Focusing forgiveness Process Related Variables)

  • 서신화;최연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4호
    • /
    • pp.81-101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married couples' forgiveness and forgiveness proces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married couples' forgiveness and to identify significant variables through analyz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ing forgiveness and what influences the forgiveness process variables. Based on the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en are affected by personal and intrinsic factors and women are affected by the other person's factor in the forgiveness. Married couples all expect that self-growth and the recovery of negative emotion occur through forgiveness. It indicates that the forgiveness contains a strong selfish character and not an altruistic character for others. Second, married couples experience hurt in the martial relationship due to problems caused by relationships with the husband's family, wife's family, and relativ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period of problem occurrence, period of worry, seriousness degree of the problem, intention status of the problem, hurt degree, unfairness status of hurt, unfairness degree of hurt, and locus of control. Third, men's forgiveness level is higher in emotional forgiveness, cognitive forgiveness, and behavioral forgiveness. Among them, there is the biggest difference of cognitive forgiveness between men and women. Also, the variable affecting forgiveness is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노인의 주거이동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n Relocation of the Aged)

  • 이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41-49
    • /
    • 1994
  • 본 연구의 노인의 주거이동행동이 가족생활 주기의 다른 단계의 가구들과는 다른 행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연구주제가 될 수 있음을 소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노인들의 주거이동 유형과 주거이동을 결 정하고 목적지를 선택하는 의사결정의 과정에 관하여 살펴보고 노인이 이동후 받게 되는 부정적인 영향들과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들을 최소화 시킬수 있는 중재변인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들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져야 할 노인의 주거이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