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관리

Search Result 3,07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Homemanagement Pattern, Communication & Colaboration - Centering on Families of Cheng Ju City -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 청주시 가정을 중심으로 -)

  • 오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26-34
    • /
    • 1995
  • 본 연구는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도 및 가사협조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가정내일의 협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 규명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녀를 1명 이상 둔 청주시 주부 418명을 대상으로 1993년 12월 중순부터 1994년 1월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AS/PC program을 사용하여 Mean, F-test t-test, Duncan's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정관리유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부부의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였다. 2)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부연령과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3)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사협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직업,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4)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간에 관계를 경로분석하여 본 결과 가정관리유형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가사협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부언하면 가정관리자가 인간중심적인 관리유형을 취할수록 가족 내 의사소통도가 높아지고 더불어 가사협조도도 증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of Mothers and their Married Daughters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에 관한 연구)

  • 지금수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61-170
    • /
    • 1994
  • 본 연구는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에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과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1) 어머니의 전체적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2) 기혼딸의 전체적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어머니와 거주지가 일치하지 않을 때 사회경제적 지 위나 어머니의 평가 능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3)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높을 수록 기혼딸의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 PDF

The Position and Perspectives of Studies in 'Institutional Household Management' in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가정관리학에서 '공공가정론'의 위치와 전개방향)

  • 송혜림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81-199
    • /
    • 1994
  • 이연구의 목적은 공공가정이 사적이 개별가정과 마찬가지로 가정관리학의 주된 연 구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을 소개하고 가정관리학에 있어서 공공가정론이 갖는 의미와 그 전개의 방향성에 대하여 모색하는데 있다. 또한 공공가정론 연구의 도입과 적용 을 통하여 공공가정을 관리하는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가정관리학과 연구영역이 확대되고 취업에의 가능성이 증대도며 동시에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수 있다는 면에서 공공가정론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Home Management Behavior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Employed Wives and Unemployed Wives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정관리행동시 스트레스 인지수준과 가정생활만족도)

  • 황경혜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15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정관리 행동시 스트레스와 가정생활만 족도를 비교.분석하고 관련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며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변인을 고찰하여 주부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함과 동시에 가정생활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예비조사를 거쳐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총 500부를 배부하였으나 응답이 부실기재된 것을 제외한 328부가 분석자료로 사용되었고 모든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정관리행동과 스트레스 인지수준은 취업주부가 비취업주부보다 높 게 나타났다. 2)가정생활만족도는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정관리행동시 스트레스 인지수준과 가정생활만족도는 의미있는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4)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정생활만족도에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의 지지도로 밝혀졌으며, 이외에 취업주부의 가정생활만족도는 가사노동선호도, 주생활 관리행동시 스트레스에 의하여, 비취업주부의 가정생활만족도는 가사노동선호도, 애정 및 기질 관리 행동시 스트레스,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평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Study on Home Management Pattern & its Related Influential Variables (가정관리유형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 이정우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72-82
    • /
    • 1994
  • 본 연구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과 가정생활 정보활용 수준 및 가족결속도간의 관 계규명을 위한 시도이며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녀를 1명이상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정 생활주기별로 층화표집을 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중 기재미비로 제외된 나머지 704부를 연 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alpha}$ 계수 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Anova, $x^2-test$,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과 판별분석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AS/PC program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관리 유형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변인은 주부의 학력, 남편의 학려그 자녀수, 결혼지속년수, 가정생활주기 및 시간지향이었다 이중에서 가정관리 유형을 판별해 낼 수 있는 변인은 주부학력과 시간지향변인이었다. 둘째 가정관리 유형별 qorudqusd니의 가족결속도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력은 과업중심적 관리유형의 가정의 겨우 과거지향적인 주부일수록 남편학력이 높을수록 가정생활주기가 축소기에 가까우수록 전체 정보활용도는 높고 더불어 가족결속도도 높았다. 반변에 인간중심적 관리유형 가정의 경우 미래지향적인 주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전체생활 정보활용도가 높고 더불어 가족결속도의 증대에 기여도가 높았다.

  • PDF

The Perc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and Home Management Performance of Housewives in Objects Specific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과 대상별 가정관리 수행)

  • 한경미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68-7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주부가 가족자원을 적정하게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주부의 가정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가족자원에 대한 적정지각이 가정관리수 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는 대인관 계자원과 주거자원에 대한 적저지각이 가장 높고, 건강자원, 지식.기술자원, 시간자원, 지역사회자원, 금전자원의 순으로 저정하게 지각하고 있다. 둘째,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력, 월평균소득, 취업유무, 하루평균 가사노동시간, 주택소유형태, 내구재소유수이다. 세째, 주부의 대상별 가정 관리수행 수준에서는 기질.성격에 대한 관리수행 수준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애정관리이며, 지식.기술에 대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네 째, 주부의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부가 지각하는 남편의 가사조력도이다. 끝으로, 전체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은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과 정적상관을 가지며, 주부가 지식.기술자원을 보다 적정하게 지각할수록 전체관리수행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 PDF

Home Management Behavioural Patterns of Urban Housewiv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o Their Life Styles (도시주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관리행동유형과 가정생활만족)

  • 임정빈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239-251
    • /
    • 1994
  • 본 연구는 주부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여 구분하고, 유형화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가정관리행동유형 및 가정생활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주부의 가정생활의 질적 향상을 증진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주부의 태도, 관심, 의견(A.I.O)에 관해 요인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한 결과 우리나라 도시주부의 라이프스타일은 현대적향유형(28.1%), 보수전통주의형(26.3%), 건전활동형(21.5%), 소극적침체형(24%)으로 분류되었다. 주부의 관리행동유형은 대체로 변화지향적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변화지향적인 관리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의 가정생활만족도는 약간높게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전반적인 가정관리행동유형은 의사소통과 계획의 융통성에 있어서는 변화지향적인 관리행동을 보이고 자원활용에서는 안정지향적이고 자원인식에서는 안정, 변화의 중립적인 관리행동을 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라이 프스타일에 따라 가정생활만족도는 건전활동형이 높았으며 소극적 침체형이 가장 낮았다가 정관리행동유형이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의사소통, 자원활용 자원인식 등의 하위영역에서 변화지향적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 PDF

The Employed Wives' Objective and Subjective Resources, Home Management Ability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취업주부의 객관적 주관적 자원, 가정관리능력 및 가정생활만족)

  • 이정우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1-11
    • /
    • 1995
  • 본 연구는 취업주부의 객관적 및 주관적 자원 가정관리 능력 가정생활만족간의 관 계를 체계론적 관점에 따라 분석하고 각 변인들간의 인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원적정인지도 생활정보활용도 및 의사소통도는 비교적 높고 스트레스인지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가정관리능력과 가정생활만족은 비교 적 높은 편이었다 2) 취업주부의 연령과 생활정보활용도 의사소통도가 높을 때 가정관리능 력이 높았다 3) 취업주부의 연령이 낮고 자원적정인지도와 의사소통도가 높고 스트레스인지 도가 낮을 때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았다 4) 취업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이 높을 때 가정생활만족 도가 높았다. 5) 각 변인들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