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용에너지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초

장기 수치모사 파랑자료를 바탕으로 한 한국해역의 파랑에너지밀도 분석 (Analysis of Wave Energy Density for Korean Coastal Sea Area Based on Long-Term Simulated Wave Data)

  • 송무석;김도영;김민;홍기용;전기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2-157
    • /
    • 2004
  • 한국해양연구원(KORDI)의 파랑자료를 기초로 하여 한반도 근해의 파랑에너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파랑자료는 최근 24년(1979∼2002)간의 바람자료를 바탕으로 HYPA와 WAM모델을 이용하여 모사된 것이다. 파랑에너지, 즉 파력의 평가는 선형이론에 근거한 파주기를 가정하는 형태를 이용하여 하였다. 대략 3 kw/m 정도의 가용 파랑에너지가 한반도 근해에 분포한다고 말할 수 있으며, 계절과 지역에 따라 10 kw/m이상의 파랑에너지가 나타나는 곳도 있다. 제주도의 남서쪽 해역이 상대적으로 양질의 파랑에너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의 가용성을 고려한 정보보호 관리체계 평가 기준 제안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Criteria with availability for Korean Smart Grid)

  • 허옥;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547-560
    • /
    • 2014
  •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 하는 것으로 고가용성을 요구한다. 최근 DDos공격 등 서비스중단을 통한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공격이 증가되고 있어 가용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평가에 대해 본 논문은 가용성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표준을 비교하여 새로운 평가항목을 제시하여 기존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갖는 가용성 평가의 한계를 극복한다.

3차원 변형을 고려한 클로버 형상 소재의 업세팅 단조해석 (Analsis of Three-Dimensional Upst Forging of Clover-Shaped Disks)

  • 양동열;김종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35-540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소재의 3차원 변형, 즉 평면변형(sidewise spread)과 벌징변형 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간단한 동적가용 속도장을 제안하고 이를 클로버(clover) 시편의 업세팅 단조 해석에 적용해보기로 한다. 상계이론에 의한 전체 에너지 소비 율을 최소화시키면서 그때 그때의 높이 감소에 따른 단조 하중과 변형 형상을 구한다. 실험은 SM15C 탄소강을 이용하여 시편의 형상과 윤활조건을 바꿔가면서 상온에서 수행 한다.

지역적 명도대비 특성을 적용한 wavelet을 이용한 화질 평가 (Video Quality Measurement Using Wavelet Considering Local Image Contrast Features.)

  • 안원석;이철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592-594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wavelet과 sobel filter를 사용하여 영상의 객관적인 평가 점수를 계산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orthogonal wavelet 변환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원본 영상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모두 가용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Wavelet을 이용해 주파수에 따라 분할된 영상 정보를 이용해 각각의 부영역 별 차영상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영상의 에너지를 이용해 화질 평가 수치를 계산한다. 부영역 별로 획득된 영상은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동일한 블록 내에서 가용한 영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contrast, edge 영역의 분포 정도) 벡터와 내적하여 새로운 특징 벡터로 사용되고, 이 특징 벡터의 가중치를 최적화하여 높은 상관도의 화질평가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 PDF

주기적인 충격력을 받는 탄소성 보의 케이오틱거동 연구 (A Study of Chaotic Responses of an Elastic-Plastic Beam Model to Periodic Impulsive Force)

  • 이재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158-1167
    • /
    • 1995
  • In this study, the dynamic instabilities of a beam, subjected to periodic short impulsive loading, are investigated using simple 2-DoF beam model. The behaviors of beam model whose axial motions are constrained are studied for the case of elastic and elastic-plastic behavior. In the case of elastic behavior, the chaotic responses due to the periodic pulse a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 are analysed by investigating the fractal attractors in the Poincare map. The short-term and long-term responses of the beam are unpredictable because of the extreme sensitivities to parameters, a hallmark of chaotic response. In the case of elastic-plastic behavior, the responses are governed by the plastic strains which occur continuously and irregularly as time increases.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behavior change continuously due to the plastic strain increments, and are unpredictable as well as the elastic case.

WSN에서 클러스터기반의 효율적인 pairwise key 설정 기법 (The Cluster based Efficient pairwise key Establishment scheme in WSN)

  • 이경효;조아앵;오병균;이상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D)
    • /
    • pp.86-90
    • /
    • 2007
  • WSN는 초기에 센서 노드들이 배치되었을 때 이웃 센서 노드들 간 보안키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설정해야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해야하며 네트워크의 생존성을 늘리기 위해 불필요한 키 관리 동작을 지양해야한다. 네트워크 레벨의 중앙 집중적인 키 관리는 센서노드 하나에 대한 취약성 공격이 전체 네트워크의 위협으로 가용성보장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를 클러스터링 하여 센서노드 노출로 인한 네트워크 전체에 주는 피해를 줄이고자 구의 형태로 클러스터링 함으로써 동일 클러스터내의 노드수의 증가에도 경로키 수를 줄일 수 있게 하여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켜 가용성을 보장하였다.

  • PDF

잉여슬러지의 열적가용화를 통한 가용화 및 혐기성소화 생분해도 향상 (Enhancement of Anaerobic Biodegradability and Solubilization by Thermal Pre-treatment of Waste Activated Sludge)

  • 정성엽;정석영;장순웅
    • 신재생에너지
    • /
    • 제10권1호
    • /
    • pp.20-29
    • /
    • 201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rmal pre-treatment on the enhancement of anaerobic biodegradability of waste activated sludge at varied TS concentration levels. The activated sludges were thermally oxidized for 30 minutes at $80{\sim}200^{\circ}C$ with varied TS concentrations (2%, 4% and 6%). and then, sludge characteristics, solubilization efficiency and methane production yield of thermally pre-treated sludges were analyzed. The higher the temperature in the thermal pre-treatment,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levels of dissolved matters such as $SCOD_{Cr}$, $NH_4{^+}$ and VFAs, which indicates that the thermal pre-treatment facilitates the hydrolysis and acid fermentation. Furthermore, the solubilization efficiency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rise at all TS concentrations and was reached at 68.9%, 55.6% and 53.1%, respectively, at $200^{\circ}C$. In the BMP test of the pre-treated sludges, higher methane production yields were observed as 0.313. 0.314 and $0.299m^3\;CH_4/kg\;VS_{add}$ at the condition of TS 2% ($160^{\circ}C$), 4% ($160^{\circ}C$) and 6% ($180^{\circ}C$), respectively, and degradation rate was increased by 84%, 79% and 65% compared with non-pretreated waste activated sludge. These findings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thermal pre-treatment of waste activated sludge for anaerobic biodegradable process.

노천 및 지하 광산 트럭 운반 작업의 핵심성과지표 평가를 위한 작업 일지 개발 (Development of Work Report for Evaluating KPIs of Truck Haulage Operation in Open Pit and Underground Mines)

  • 박세범;최요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2권5호
    • /
    • pp.327-3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노천 및 지하 광산의 트럭 운반 작업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운반 작업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 트럭 작업 일지를 개발하였다. 국내에서 가행 중인 5곳의 광산에서 활용하고 있는 작업 일지를 확보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작업 일지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을 결정하였다. GMG (Global Mining Guidelines Group)에서 제안한 핵심성과지표(KPIs)들의 산정식을 분석하여 차량 운행시간을 기록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었다. 국내의 석회석 지하 광산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후 표준 트럭 작업 일지를 이용하여 운반 작업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트럭의 가용률 측면에서 가동시간이 46.7%, 물리적 가용률과 기계적 가용률은 모두 100%로 나타났다. 이용률의 경우, 가용장비 이용률이 88.2%, 자산 이용률이 41.1%, 운영 이용률과 유효 이용률은 각각 88.2%와 79.2%로 나타났다. 효율성의 경우에는 운영 효율성이 89.9%로 나타났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최대 가용 출력 전류 추정 알고리즘 (Maximum Output Current Estimation Algorithm for Battery of EVs)

  • 이재한;배정현;노태원;이병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2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6-4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충방전 시 단자전압이 배터리의 상하한 전압에 도달하지 않는 최대 가용 출력 전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SOC에 따라 변화하는 내부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일정 시간동안 배터리가 출력 가능한 최대의 전류를 추정함으로써 해당 시간 동안 배터리의 출력을 보장하고 배터리의 가용 에너지를 극대화한다.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이용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 PDF

도심 빌딩 옥상에 적용 가능한 풍력발전시스템의 성능 평가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Vertical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d on the Downtown Buildings Roof)

  • 나채문;정광섭;김영일;김동혁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9-16
    • /
    • 2016
  • This study had the purpose on feasibility judgment through performance forecast of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cross flow vertical type wind power turbine for the situation of domestic small size wind power technology development.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es the principle of venturi tube that gathers the wind through the first guide vane, and second guide vein changes the angle of the wind simultaneously by playing the role of venturi tube. After this, wind got out from the second guide vane spins the wind power turbine and has the meaning of judging on the aspect of numerical interpretation the feasibility for the small size wind power generation through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omes out from the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