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슴근육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육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흉근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resh Water Algae Euglena on the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of Broiler Chickens)

  • 최선우;백인기;박봉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73-281
    • /
    • 2004
  • 본 연구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단세포 단백 사료 자원으로 이용하고, DHA를 강화시킨 변종을 육계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그 이용성과 도체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210수를 반복당 10수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 함량과 조단백 질함량이 전기에는 3,150 kcaHg, $22\%$, 후기에는 3,200 kcal/kg, $19\%$가 되도록 한 대조구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 구와 EGBD(Euglen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병아리(Ross) 250수를 반복당 10수씩 5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첨가한 구와 EGBD를 0.5, $1.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고 매주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사료요구율 및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사양시험종료 후 대사시험을 실시하고, 가슴살을 채취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 증체량은 시험 전 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Euglena 첨가구들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의 이용율은 EG를 첨가한 구들이 EGBD를 첨가한 구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가슴살 내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가 $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

조리조건이 연계백숙의 성분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by Cooking Method of Yeongebacksuk (Korean traditional cooked chicken))

  • 장영수;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38
    • /
    • 1988
  • 연계백숙의 기본 recipe를 선정하고 조리조건을 달리했을 때 근육과 국물에 대한 성분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검사, 기계적 검사, 성분분석을 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기본 recipe 선정재래식 방법인 남비조리는 닭 700 g. 찹쌀 100 g, 마늘 30 g, 물 2000 cc에 시간은 60분이고, 압력솥 조리는 닭 700 g, 찹쌀 100 g, 마늘 30 g, 물 2000 cc에 시간은 30분이고, 전자렌지 조리는 닭 700 g, 찹쌀 100 g, 마늘 30 g, 물 2000 cc에 시간은 30분이었다. 2. 관능검사 \circled1 국물의 색상은 세가지 조리법으로 조리한 연계백숙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ircled2 탁도는 남비조리, 전자렌지조리, 압력솥조리의 순으로 맑았으며, 남비조리는 압력솥조리와 전자렌지 조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0.05). \circled3 점도는 세가지 조리조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ircled4 입속의 감촉과 맛은 남비조리가 가장 좋았으며 압력솥조리와 전자렌지조리는 별 차이 가 없었다. \circled5 건데기는 세가지 조리 조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기계적 검사 \circled1 Rheometer로 측정한 건데기의 절단력시험은 세가지 조건에서 모두 다리살이 가슴살보다 질겼다. 질긴정도는 전자렌지조리, 남비조리, 압력솥조리의 순이었다. \circled2 밥알의 점도는 남비조리, 압력솥조리, 전자렌지조리의 순으로 낮았다. \circled3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 국물의 탁도는 남비조리, 압력솥조리, 전자렌지조리의 순으로 탁했다. 4. 일반성분 \circled1단백질은 근육이 20.30~24.67%, 국물은 0.29~0.72%였다. \circled2지방은 근육이 27.29~47.15%, 국물은 37~68.38%였다. \circled3 Ca은 근육이 0.53-0.97mg, 국물은 0.34-0.69mg이었다. \circled4 P은 근육이 2.75~3.6mg, 국물은 1.15~6.3mg이었다. \circled5 Fe은 근육이 1.17-1.39mg, 국물은 0.96mg이었다.

  • PDF

Canthaxanthin을 이용한 산란계의 피부, 근육 및 난황의 착색 효과 (Effect of Canthaxanthin Supplementation on Skin, Muscle and Egg Yolk Pigmentation of Laying Hens)

  • 나재천;이상진;하정기;김재황;곽웅권;송재연;이봉덕;안길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9-84
    • /
    • 2004
  • 적색 carotenoid인 canthaxanthin의 급여가 산란계육과 난황의 착색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63주령 갈색 산란계(ISA Brown) 225수를 가지고 5주 동안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Canthaxanthin을 5수준으로 사료에 첨가하여 5처리(0, 50, 100, 200, 300mg/kg)로 하였으며, 처리당 3반복, 반복당 15수를 사용하였다. 산란계에서 날개피부 및 다리피부의 적색도는 200mg/kg 이상을 급여하였을 때, 그리고 황색도의 경우 날개피부는 50mg/kg 이상, 다리피부는 200mg/kg 이상을 급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러나 명도는 날개, 가슴 및 다리피부에서 차이가 없었다. 한편, 날개육과 가슴육의 명도는 300mg/kg 이상을 사료에 첨가(canthaxanthin)시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첨가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난황색(Roche color fan score)은 canthaxanthin 급여 1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2일째부터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성장 단계에 따른 한국 재래 오골계 근육의 조직학 및 생리학적 특성 (Hist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Korean Native Ogol Chicken Development)

  • 남윤주;김동욱;최영민;류연철;이상훈;김병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1-408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 재래 오골계의 성장에 따른 조직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계군들의 체중, 흉근과 가자미근의 무게 측정 및 시료의 채취는 부화 직후 및 3, 5, 15주령에 이루어졌다. 근섬유 특성은 부화 직후에서 15주령까지의 오골계 흉근과 가자미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NA, RNA 및 단백질 함량은 왼쪽 흉근에서 측정하였다. 체중의 상대적인 증가율은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슴의 무게는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 약 24.46배가 증가했으며, 가슴 중 흉근도 동일한 기간 동안 약 31.14배 증가하였다. 소퇴부 및 가자미근의 무게 역시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시기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다. 모든 근섬유의 단면적은 성장 기간 동안 증가하는데, 15주의 실험 기간 동안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은 65배 증가($34.06\;{\pm}\;3.08$에서 $2238\;{\pm}\;177\;{\mu}m^2$)하였다.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은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는 약 18배, 3주령에서 5주령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약 1.6배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과 무게 역시 3주령 때까지 가장 큰 증가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핵산 및 단백질의 함량을 분석한 실험에서도 부화 직후에서 3주령 사이에 가장 큰 증가가 나타났는데, 부화부터 3주령까지의 기간 동안 각각 DNA 총량은 13배, RNA 총량은 21배, 단백질 총량은 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계 사료 내 마늘분말의 첨가급여가 육계 성장과 HMG-CoA Reductase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arlic Powder on Growth Performance and mRNA Expression of Hepatic HMG-CoA Reductase in Broiler Chickens)

  • 유선종;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307-314
    • /
    • 2009
  • 육계사료 내 마늘분말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성장성적과 간 HMG-CoA reductas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일령의 육계 Ross 수평아리에게 마늘분말을 0%(항생제 첨가 또는 항생제 무첨가), 1%, 3% 및 5%의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를 각각 6주간 급여하였다. 증체량은 항생제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마늘분말 3% 및 5%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육계 사료 내 5%까지의 마늘분말의 첨가급여는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간, 비장, 맹장 및 가슴 근육에 대한 상대적 중량은 처리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근육 내 콜레스레롤 함량은 항생제 첨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IB 항체 생성량은 항생제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간의 HMGCoA reductase mRNA의 발현은 대조구에 비해 마늘분말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저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료 내 마늘의 첨가급여는 육계의 성장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벨트를 이용한 가슴우리 고정이 누운자세에서 다리내리기 동안 복부 근육들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bcage Stabilization Using a Belt on EMG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During Double Leg Lowering in the Supine Position)

  • 원종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5-32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ibcage stabilization using a belt in the supine position during double leg lowering (DLL) by investigating th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ies of the abdominal muscles. Methods : Twenty-two subjects with lumbar extension syndrome were recruited. EMG activity was recorded from rectus abdominalis (RA) and internal oblique abdominalis (IO), external oblique abdominalis (EO) muscles while subjects performed three double leg lowering exercises: double leg lowering (DLL), double leg lowering with abdominal draw-in maneuver (DLL-ADIM), and double leg lowering with ribcage stabilization using a belt (DLL-belt). RA, IO, and EO EMG activity were analyzed via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Bonferroni correction was performed whe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p<.017, .05/3). Results : RA, IO, and EO EMG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exercises (p<.05). The use of post hoc pair-wise comparison with Bonferroni correction showed that RA muscle activity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exercises (p<.017), and IO muscle activity in the DLL exerci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DLL-ADIM and DLL-belt exercises (p<.01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O muscle activity for DLL-ADIM and DLL-belt exercises (p>.017). EO muscle activity in the DLL-belt exerci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both DLL and DLL-ADIM exercises (p<.017),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O muscle activity for DLL and DLL-ADIM exercises (p>.017). Conclusion : DLL-belt is a more effective exercise for activating the abdominal muscles than DLL-ADIM exercise. Therefore, we recommend DLL-belt exercises for strengthening the abdominal muscles.

청소년기 비만 남성의 복부지방조직 분포와 건강관련 위험지표의 관련성 분석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Health Risk Factors in Adolescent Obese Man)

  • 조창모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39-245
    • /
    • 2017
  • 본 연구는 비만 청소년기 남성을 대상으로 복부지방면적과 피하지방두께, 신체둘레, 신체구성, 혈중 지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부지방면적과 피하지방두께 간의 관련성과 관련하여 전체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은 피하지방두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변인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견갑골 아래 피부두께는 전체지방면적을 포한한 피하지방면적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피하지방 두께 변인들 중 가슴 부위 피하지방두께는 내장지방면적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변수로 조사되었다. 둘째, 신체둘레 및 신체구성 변수는 내장지방면적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전체 및 피하지방면적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둘레와 전체 및 피하지방면적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허리둘레는 엉덩이 둘레 및 허리와 엉덩이 둘레를 더한 값보다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및 피하지방면적의 예측에 있어서 체지방량은 체지방율 및 근육량 보다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혈중 중성지방과 수축기 혈압은 각각 내장지방면적 및 피하지방면적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변수로 조사되었다.

엎드린 자세에서 어깨관절벌림 각도 변화에 따른 어깨가슴관절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around the Scapulothoracic Muscles According to the Angle of Shoulder Joint Abduction in the Prone Position)

  • 박희용;차현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09-115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muscles around the scapulothoracic muscles according to the angle of shoulder joint abduction in the prone position. Methods : The participants included 15 adult males who had not undergone orthopedic surgery and did not have shoulder joint impairments. We measur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iddle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at $120^{\circ}$, $90^{\circ}$, and $60^{\circ}$ shoulder joint abduction angles.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in the upper trapezius, middle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according to the shoulder joint abduction angle (p<.05). The results of the post test showed that the upper trapezi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120^{\circ}$ and $60^{\circ}$ (p<.01), and the middle trapezi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90^{\circ}$ and $120^{\circ}$, and between $90^{\circ}$ and $60^{\circ}$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ratus anterior between $120^{\circ}$ and $90^{\circ}$ (p<.01), and $120^{\circ}$ and $60^{\circ}$ (p<.01).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termine an effective shoulder joint abduction angle to reduc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and increase muscle activity of the middle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작은가슴근 스트레칭, 아래등세모근 강화 운동과 함께 적용한 앞톱니근 강화운동이 둥근 어깨 대상자의 어깨뼈 정렬, 관절가동범위, 근육불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ngthening Serratus Anterior Muscle with Pectoralis Minor Muscle Stretching and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Scapular Alignment, Range of Motion and Muscle Imbalances in Subjects with Rounded Shoulder)

  • 임준영;김종우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2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ctoralis minor stretching,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 with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exercise to find an effective therapeutic exercise for alignment, shoulder range of motion, muscle imbalance of rounded shoulder patient. Methods: This study targeted on a total of 28 male subjects, aged 20s and 30s, and randomly divided the subjects into each group, with 14 subjec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pectoralis minor stretching,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 and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exercise, while the control group performed pectoralis minor stretching and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 Results: both group showed an increase in active range of motion for shoulder flexion, a muscl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and the lower trapezius muscle, a decrease in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capular alignment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d shoulder joint flexion range of motion,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and decrease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Performing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exercises with pectoralis minor stretching and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s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active range of motion in shoulder joint flexion and muscle imbalance

  • PDF

흡기동작 시 가슴우리 확장과 목 주변 근육활성도에 관한 연구 : 편평등증후군의 특징 연구 (A Study on Chest Expansion and Neck, Shoulder Muscle Activation during Inhalatio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Flat Back Syndrome)

  • 석힘;윤성영;이상열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8-88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flat-back posture during inhalation compared to normal posture,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the chest and the activation of neck muscles. Design: Case-control study. Methods: Thir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lumb line distances and Sagittal index were measured using a ruler and a laser level in the standing position to evaluate and classify thoracic kyphosis of the subjects. Chest expansion was measured using a ruler,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measure muscle activity around the neck and shoulders during inha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chest expansion and muscle activity around the neck between subjects with flat-back posture and those with normal posture during inhalation.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gittal index and chest expansion at the level of the xiphoid process (r=.558, p<.05),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agittal index and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at the onset of inhalation (r=-.368, p<.05). Independent t-test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lat-back posture group and the normal posture group in the circumference of the xiphoid process at rest (p<.05) and in th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at the onset of inhalation (p<.05). Conclusion: Flat-back posture influences a decrease in chest expansion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s th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at the beginning of inspi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