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스확산

Search Result 60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s on the Gas Dispersion by Changed Gas Composition (가스의 성분변화가 확산에 미치는 영향)

  • Min, Dongchul;Gye, Hyeri;Kim, Sungtae;Kim, JongMin;Kwon, Jeong-Rock;Kim, Byung-Duk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4
    • /
    • pp.117-123
    • /
    • 2015
  • Recetly, Many industry have used unknown composition gases and no information gases. These gases were used increasing. As use increases, The more important software that can predict dispersion region and speed.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the dispersion of new gases. Because, it is predict from existing database. In this study, we propose to esimate dispersion region and speed of some gases, using a FLACS software and equivalent gas.

Experimental Research of Dispersion-behavior on Heavy Gases Regarding the Influence of Roughness and Slope of Ground in a Wind Tunnel

  • Kim, Jeong-Hun;Sylvius Hartwi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5-190
    • /
    • 2003
  • 산업체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스들중에서 일반적인 가스들과는 달리 위험한 가스(heavy gas)들은 누출사고시에 이들 고유한 확산과 계층화(stratification)방식에 의해 높은 위험성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가스의 누출확산사고들과 일반적인 가스누출사고들의 비교는 그 사실들을 증명해주고 있다. 이런 사실에 의해 위험한 가스확산에 대한 실험과 고유특성을 고려한 확산모델의 개발이 여러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의 중요성은 이미 세계적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중략)

  • PDF

A System on Air Dispersion System for Toxic Gas on Energy Plant Environment (에너지 플랜트 환경에서 독성가스를 위한 대기확산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eong-Seok;Sohn, Choong-Yeon;Sung,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074-1077
    • /
    • 2011
  • 국내외 대규모 산업시설은 유해물질과 직 간접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유해물질 누출사고는 막대한 물적, 인적 피해를 발생시키며 누출물질, 저장시설, 대기 상태에 따라 유해물질 확산 속도 및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는 대기확산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대기확산 시스템은 산업시설 구조물 설계 단계에서 안전성을 확인하는 시뮬레이션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누출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처리와 대응이 어려우며 전문적 지식수준의 사용자 입력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에너지 플랜트 환경의 특수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운영 중인 시설에 적용 가능한 대기확산 시스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기확산 모델을 선정 정의하고 융통성 있는 대기확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컴포넌트화하여 구현하였으며 사고 발생 시 빠르게 피해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실시간 대기확산 시스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오일확산 펌프를 이용한 10-9 Pa 영역의 초고진공 구현

  • Jo, Bok-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41.1-141.1
    • /
    • 2014
  • 오일 증기의 제트를 분사하여 잔류가스를 배기하는 오일확산펌프는,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저렴하며 소음 및 전기노이즈가 적게 발생하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오일의 증기압에 의해 그 도달압력이 10-9 Torr 이상으로 제한되어, 액체질소로 냉각되는 배플형태의 저온 트랩을 사용하지 않는 한 10-10 Torr영역의 초고진공 배기용으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회전펌프로 뒷받침 배기(foreline pumping)하는 700l/s의 배기속도를 가진 오일확산펌프에 300 liter/sec의 컨덕턴스를 가진 액체질소 트랩을 부착하여 메탈 실링을 사용하는 초고진공 챔버를 배기하였다. 액체질소트랩에 액체질소를 투입하면 $1{\times}10-8Pa$이하의 초고진공이 얻어졌으나, 액체질소가 증발하여 트랩의 온도가 상온으로 상승하면 압력도 $1{\times}10-7Pa$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50 liter/sec의 배기속도를 가진 터보분자펌프로 오일확산펌프를 뒷받침 배기하면 액체질소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5{\times}10-9Pa$이하의 초고진공이 얻어졌으며, 액체질소를 투입하여도 압력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잔류가스분석장치로 얻은 잔류가스 성분 스펙트럼은 수소가 잔류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f Staged Swirling Combustion of Natural gas (천연가스 다단연소기술 연구)

  • 이진홍;목영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1
    • /
    • pp.115-125
    • /
    • 1995
  • 본“천연가스 다단연소기술 연구”는, 공업적으로 널리 쓰이는 선회확산 방식으로 천연가스를 연소시킬 때 그 연소 특성과 발생되는 환경오염물질인 일산화탄소(CO)와 질소산화물(NOX)의 저감에 대한 연구로서, 천연가스의 난류확산화염과 선회확산화염의 유동장, 온도장, 농도장을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여 각각 연소방식의 화염구조와 특성을 규명하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하여 다단확산 연소실험 장치를 제작 다단확산연소의 중요한 인자인 1차당량비, 2차공기주입위치, 유속, 선회도 등을 변화시켜 질소산화물 저감과 높은 연소효율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연소조건을 찾아 내었다. 본고에서는 실험부분만을 간추려 발표하고 수치해석 부분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Liquid Water in Fuel Cell Cathode Gas Diffusion Layer on Fuel Cell Performance (가스 확산층(GDL)내부의 물이 연료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Park, Sang-Ky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4
    • /
    • pp.374-380
    • /
    • 2015
  • In this paper, a dynamic model describing the 2 phase effect on the gas diffusion layer depending on load change of a fuel cell stack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quid water in fuel cell cathode gas diffusion layer on the fuel cell performance. For the developed model, 2 phas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a fuel cell stack depending on the load changes,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water vapor and oxygen inside a gas diffusion layer, the effect of the thickness and porosity of the gas diffusion layer on the fuel cell stack voltage were examined. As a result, a fuel cell stack voltage for the 2 phase model within the scope of the research become lower than that for the 1 phase model regardless of the load. Although oxygen molar concentration for the gas diffusion layer adjacent to the catalyst layer was the lowest, water vapor concentration is the highest. In addition, as thickness and porosity of the gas diffusion layer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the fuel cell stack voltage decreased.

A Study on the Diffusion Behavior of Leak Gas from Underground Gas Pipeline (지하매설 가스배관의 가스 누출시 지하 확산거동에 관한 연구)

  • Choi S.C.;Jo Y.D.;Kim K.S.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3 no.2 s.7
    • /
    • pp.43-52
    • /
    • 1999
  • An experimental chamber was fabricated to observe the gas diffusion behavior of leak gas from underground city-gas pipeline. It was made of acryl so that feeding of gas and the measuring points of the gas could be varied in each experiment. The MOS sensors were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leak gas. The soil media such as the Jumunjin standard sand and the granite weathered soil were used to measure the gas diffusion and the change of leak gas concentrations was measured with time for various gas flow rat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leak point of gas and the measuring point of MOS sensor decreases, or the leak rate increases, the detection time of gas at a measuring points decreases and the gas concentration increases quickl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at steady state also increases. As the density of granite weathered soil is higher than that of Jumunjin standard sand for compaction, the detection time of leak gas in the granite weathered soil was longer than that in the Jumunjin standard soil. The leak gas concentrations in the granite weathered soil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Jumunjin standard sand at the beginning of gas leaking from a pipe, but inverse phenomenon was occured at steady state.

  • PDF

Development of Numerical Technique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Porous Media Using Lattice Boltzmann Method (격자볼쯔만법을 이용한 다공체의 유동특성 분석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Hyung M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11
    • /
    • pp.689-695
    • /
    • 2016
  • The performance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EMFC) is strongly related to the water flow and accumulation in the gas diffusion layer (GDL) and catalyst layer.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flui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s crucial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nd design of the GDL. In this paper, a numerical method is proposed to calculate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GDL, i.e., permeability, tortuosity, and effective diffusivity. The fluid flow in a channel filled with randomly packed hard spheres is simulated to validate the method. The flow simulation was performed by lattice Boltzmann method with bounce back condition for the solid volume fraction in the porous media, with different values of porosities. Permeability, which affects the flow, was calculated from the average pressure drop and the velocity in the porous media. Tortuosity, calculated by the ratio the average path length of the randomly injected massless particles to the thickness of the porous media, and the resultant effective diffusivit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model. The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parameters of real GDL accurately without any modification.

자기조립법에 의한 산화철 중공구조의 합성과 에탄올 감응특성

  • Kim, Hyo-Jung;Kim, Hae-Ryong;Choe, Gwon-Il;Kim, Il-Du;Lee, Jong-He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3-25.3
    • /
    • 2011
  • 반도체형 가스센서의 가스 감응은 산화물 표면과 주변 가스와의 화학적 반응에 기인한 것이므로 나노 크기의 감응물질 입자를 합성하여 비표면적을 넓히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감응 물질의 크기가 나노 스케일로 감소하면 가스 감응 특성이 증가하지만, 심한 응집으로 가스 확산이 어려워 가스 감응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비표면적이 크면서도 응집이 덜한 나노 구조체가 산화물 가스 센서에 이용되어 왔다. 특히 중공구조는 응집이 적고 가스확산이 용이하며 큰 비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널리 연구되어진 나노구조체이다. 한편 산화철은 친환경적인 n-type 반도체로써 에너지 저장소, 촉매,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물질, 가스센서 등의 응용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lvothermal에 의한 자기조립 방법으로 산화철 중공구조를 합성하고 기능화를 위해 귀금속 촉매인 Pt를 첨가하였다. $400^{\circ}C$에서 에탄올 가스에 대한 가스 감응 측정을 통해 대조군인 산화철 응집체와 나노 스케일의 구에 비해 중공구조가 가스 감응에 유리함을 보고한다.

  • PDF

A Study on Atmospheric Dispersion Pattern of Ship Emissions - Focusing on Port of Busan (선박 배기가스의 대기확산 패턴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 Lee, Min-Woo;Lee, Hyang-S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4 no.1
    • /
    • pp.35-49
    • /
    • 2018
  • Busan Port handles more than 75% of the domestic freight volume and is ranked at 6th for global shipping in the world. This paper aims to estimate ship emission in North Port that is the center of Busan Port and located near the residential area. The emission for each type of ship is calculated applying a emission model proposed by U.S. EPA and the atmospheric diffusion pattern of the exhaust gas according to the season, the weather condition and the time was identified using CALPUFF Model. As a result, the major pollutants of $NO_x$, $SO_x$ and PM10 were 30,853 tons, 36,281 tons and 6,856 tons,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rate was 42% in oil tankers. On clear days, air pollution was stagnant around the harbor, spread widely on windy days, and tended to be thinner on rainy days. The research contributes to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air pollution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making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