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 바디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풀 바디 트래킹을 위한 서브 모션 시스템 설계 (A Design on Sub-Motion System for Full Body Tracking)

  • 김호용;오국경;성연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89-891
    • /
    • 2018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컨텐츠가 다양해지면서 사용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초기 VR 컨텐츠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Head Mounted Display, HMD)와 컨트롤러만 사용한다. 사용자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현실적인 컨텐츠 구현을 위해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으로 제어하는 풀 바디 트래킹(Full Body Tracking)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머리에 착용하는 HMD와 양손으로 제어하는 두 개의 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모션캡쳐장비, 트래커 장비를 사용자의 다양한 위치에 착용시켜, 세밀한 움직임 트래킹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 서브 모션 기반의 움직임 추적 방법과 이를 기반한 서브모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서브모션 시스템은 VR 컨텐츠에 사용되는 사용하는 센서 위치를 VR캐릭터의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하는 방식이 아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센서 위치 변화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VR에서 사전에 지정된 모션을 인식 및 출력한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연속된 서브모션들로 인식하고, 각각의 서브 모션에서 연속적으로 인식 가능한 서브 모션을 분기를 통해 정의하고 인식함으로써 다양하고 자유도 높은 모션 처리가 가능하다. 선행 기술들의 문제점인 고정된 데미지 방식 및 부자연스러운 모션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실제와 같은 동작을 취하도록 유도하여 몰입감등을 부여할 수 있다. 서브 모션들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통해 풀 바디 트래킹 VR 컨텐츠에 적용 가능한 엔진을 연구 및 개발하여 해당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3차원 가상바디 변형을 위한 체형연구 -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 (A Study on Body Shape for 3D Virtual Body Shape Transformation - Focusing on the Women with age of forties -)

  • 신주영;남윤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5-277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ccessfully reflect human body changes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virtual body within 3D virtual fitting spaces. For this purpose, existing problems of shape transformation of the virtual body were analyzed and regression equations which provides useful basic data for transformation of the virtual body that can be applied usefully to the 3D virtual fitting system was developed. Necessary data for the analyses were body measurement and 3D scan data of women with average physical form between the ages of 40 through 49. The reason that we used human body changes of the female subjects in their forties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fundamental female body changes start to occur from age of forty. Body shapes were largely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obesity which was found to be the biggest factor of shape change. Seven 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factor analysis of 47 body measurement categories and regression equations were created to extract specific measurements for each BMI group based on these seven factors.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gression equations to extract specific measurements based on the 7 representative variables remediated existing problem of virtual bodies as it increased the number of body shape transformation areas. Second, the regression equations help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urrent failing to reflecting changes in body cross-section shape based on simple girth measurements based on analysis of cross-section distances.

RecurDyn 솔버에 적용되어 있는 유연 다물체 동역학에 대한 해석기술 (Analysis Method for Multi-Flexible-Body Dynamics Solver in RecurDyn)

  • 최주환;최진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2호
    • /
    • pp.107-115
    • /
    • 2015
  • 유연 다물체 동역학은 실제 시스템을 가능한 유사하게 수치화하여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동역학 연구에 대한 차세대 주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연 다물체 동역학에 대한 해석 기술은 리커다인이라는 상용 소프트웨어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있는데, 특히 강체와 유연체를 통합하여 하나의 솔버에서 해석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리커다인의 유연 다물체 동역학 솔버의 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리커다인의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법은 동시회전 기법을 사용하는 증분 유한요소 정식화를 기존의 순환공식을 이용한 동역학 정식화에 결합함으로써 구현되어 진다. 이 과정에서 강체와 유연체 사이의 조인트나 힘 요소 등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가상 바디와 유연체 조인트 개념이 사용된다.

3차원 바디 스캐너를 활용한 가상착의에 관한 인식 조사 - 업체 실무자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f Applications of 3D Body Scanning Technology - Focused on Apparel Industry -)

  • 백경자;이정란;김미성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19-727
    • /
    • 2009
  • The ultimate success of commercial applications of body scan data in the apparel industry will be consumers' substantial applications such as automated custom fit, size prediction, virtual try-on, personal shopper services (Loker, S. et al., 2004). In this study, we surveyed fifty consumers and forty-seven apparel industry workers about their recognition and interest in 3D body scanning and virtual try-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55% of the apparel industry workers has recognized 3D body scanning as a convenient technology, but do not know how to use it. To the questions regarding virtual try-on, 53% of the workers give positive answers. The consumers have a more positive view on virtual try-on than the workers do. The workers predict that the application of 3D body scan technology to the apparel industry could offer customers helpful information in their clothing selection by using virtual images of various size and style, and increase mass production of MTM(Made-To-Measure). The answers from the 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indicate that virtual try-on is useful by 88% on offline shopping and by 100% on online shopping. 53% of the workers and 68% of the consumers gave answers that just by virtual try-on they could judge the quality of the apparel products and purchase them. Absolutely 3D virtual try-on is an effective tool for online shoppers. 85% of the workers anticipate applications of the 3D body scanning also in 'body measurement', 'custom pattern development' as well as 'virtual try-on' in the near future. With the positive reactions and the stimulating interests in virtual try-on, the conditions of contemporary world encourage more active researches and wide usages of the technology in apparel industry.

외모(外貌)에 있어서 가상(假想) 3D 패션 코디네이션에 대(對)한 질적(質的) 연구(硏究) (A Qualitative Study about Coordination system of 3D Virtual Model)

  • 신효정;김효숙;최창석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2호
    • /
    • pp.143-15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Values placed upon born hereditary appearance and a made up appearance, 2)examined for points of body and clothing and 3)discrepancy in opinions about Coordination system of 3D Virtual Model This study chos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from December 12, 2002, to February 20, 2003.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 women aged in twenties 12 women aged over for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omen aged in their twenties defined appearance as follows. there are important a made up appearance, Appearance is looking at point of view from body shape to face, makeup, hair style, body image, cosmetic surgery, clothing and is looking at the whole point of view from hair to tiptoe. This seems to include attitude, personality, behavior, images, and feeling. 2. Regarding body image Women aged in their twenties prefer a slender figure. Women aged in their twenties exerts all possible efforts to have an attractive body through dress well. 3. Regarding body image Women aged in their twenties prefer coordinate to system of 3D virtual model.

네크라인 종류에 따른 3D 가상착의와 실제착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3D Virtu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by Neckline Type)

  • 남영란;김동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7-260
    • /
    • 2021
  • While it is an important element of clothing construction, research has so far been very limit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virtual and real clothing in terms of the type of neck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imilarity, accuracy of virtualization, and actuality of neckline, which a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 impressions and image formation, and require considerable modification when fitting real samples. A total of 5 neckline models were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dress composition textbooks. The selected designs were then planned and manufactured in muslin. The specimen clothes were then tested on a female model in her 20s. 2 kinds of virtual bodies were created in order to compare the real and the virtual dressing. The first virtual body was made through an Artec 3D Eva scan of the model, and the other was made by entering the model's measurements in a CLO 3D program. A visual image of the front, side, and back image of both the real and virtual dressing were subsequently collected. The collected images were then evaluated by 20 professional fashion workers who check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versions.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the similarity between the actual and virtual wearing of the five neckline designs with reality appeared higher with the virtual wearing image using the 3D-scanned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further information 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avatars to clothing companies that check the fit of clothing by utilizing 3D virtualized programs.

의류학 연구 및 패션산업 현장에 도입되고 있는 3D 기술동향 및 적용사례 고찰 (Emerging Trends in 3D Technology Adopted in Apparel Design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 박희주;구수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95-209
    • /
    • 2018
  • This study reviewed emerging trends in 3D technology adopted in apparel design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for rapid prototyping and effective evaluation of product performanc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e authors discussed technical advantages, practical merits and limitations, applications, and on-going developmental efforts of the following methodologies focusing on 3D body scanning and 3D motion capture, and 3D virtual fit simulation technologies. Such data-driven technical approaches observed in recent apparel design research and industry practice are expected to increasingly be adopted in the field to improve consumers' satisfaction with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comfort of a wide range of apparel products that include daily wear, sport apparel and protective clothing.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섬유제품 수요 경향 (Consumer need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n Clothing based on Digital Fashion System)

  • 조하경;김은경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12
  •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대량 맞춤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 및 디지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는 최근 의류 분야에서 주요한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량 맞춤화 의류 제품의 수요는 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최근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인터넷 맞춤서비스를 기반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CAD 등의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하여 디자인, 패턴제작, 재단 등의 자동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을 통해 3차원 바디 스캔,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3차원 Simulation, DID, DTP, 맞춤주문형 제품의 대량 생산기술 등의 단위 기술이 기업단위로 활용되는 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가상쇼핑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섬유패션 산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 전체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 공정을 단축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날염 방식으로, 대량 맞춤형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 중 하나의 단계로 소비자의 수요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대량 맞춤형 의류 제품에 있어 소비자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대량맞춤형 섬유제품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적용 섬유제품에 대한 기초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기초 소비자 태도를 반영하여,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의류 제품의 선호도, 인지도, 수요도 및 구입의향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 적용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의류 제품의 수요 경향을 제시하였다.

  • PDF

여자 7-18세 3D 모델을 위한 인체 사이즈 스펙 개발 (Size Specifications of Females Aged between 7 and 18 for 3D Body Model Development)

  • 최영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7-255
    • /
    • 2013
  • This study develops size sections and specifications for females 7-18 years old. The specific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ecise virtual models that represent basic data for the size alteration of 3D virtual models. A total of 33 items from the $5^{th}$ Size Korea data set were adopted and analyzed. Two representative factors (Obesity and Height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a factor analysis of the 33 items. Waist circumference and stature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variables for Obesity and Height Factors, respectively, and conducted cross tabulations between waist circumference and height for the age groups of 7-12 and 13-18 year-olds. Size sections were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3D models based on the results. A regression analysis then developed size specifications for each section with independent variables of waist circumference and height as well as dependent variables of reference body size. Subsequently, Obesity Factors were better explained by waist circumference and Height Factors were better explained by stature. Finally, size specifications for each section were developed.

실외환경에서의 e-레저 모바일 AR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isure mobile AR in outdoor environments)

  • 고준호;최유진;이헌주;김윤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27-1032
    • /
    • 2018
  • 최근, e-스포츠, e-게임을 포함하는 e-레저를 위한 새로운 콘텐츠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사람을 추적 대상으로 하는 e-레저용 모바일 AR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e-레저 모바일 AR은 실외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의 추적 성능이 중요하다. 그러나, snow, snapchat 등과 같은 기존 모바일 AR은 원거리에서 추적 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외환경에서의 e-레저 모바일 AR을 제안한다. 제안된 e-레저 모바일 AR은 색상 마커 및 인체비를 이용하여 실외환경(원거리)에서 머리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에 가상의 객체를 증강한다. 제안된 e-레저 모바일 AR의 성능은 추적 성능 및 연산 시간의 측정 실험을 통해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