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훈련시스템

Search Result 19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VR Based Training System Contents Test Method (가상현실 기반 훈련시스템 콘텐츠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 Lee, Gyungchang;Cha, Moohyun;Yo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486-489
    • /
    • 2016
  • 가상현실 기반 훈련시스템은 3D 모델링 기법으로 개발되어 실시간 렌더링(Realtime Rendering)되는 훈련용 콘텐츠와 운동감 제공을 위한 모션플랫폼, 촉감 제공을 위한 햅틱장치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인간 감각에 대한 모의 체험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훈련 몰입감을 제공한다. 훈련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하드웨어들은 설계 성능을 바탕으로 정량적 시험평가로서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n)이 가능하나, 훈련환경에 대한 사실적 가시화가 요구되는 훈련용 콘텐츠는 시현을 위한 실시간 렌더링 성능 등의 정량적 시험평가 만으로 검증과 확인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소프트웨어 테스팅 요소 차이와 상용게임 콘텐츠와 훈련용 콘텐츠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훈련용 콘텐츠의 정량적 시험평가를 위한 명세서의 작성과 활용을 제안한다.

Virtual Reality Based Fall Training System (가상현실기반 낙하훈련시스템 개발)

  • Ryu, Jae-Jeong;Kang, Seok-Jo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12
    • /
    • pp.1749-1755
    • /
    • 2021
  • Virtual reality is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s of games, entertainment, communication, sports, and architecture. In particular, many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s are being developed in the field of education, creating efficient learning effects. In addition,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is used in areas such as maintenance, fighter control, medical care, and firefighting as it can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mastery process of the function itself through the curriculum as well as indirect experiences of dangerous situation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However,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lack of contents, and lack of theoretical research, the level of application of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is still insufficient. This paper aim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as a military training system by developing a high-quality drop training system applicable to military group descent training, studying key technologi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necessary for development.

Development of the Virtual Reality Main Control Room for Ulchin Unit 3,4 Nuclear Power Plant Simulator (울진 표준형원전 시뮬레이터를 위한 강의실용 가상주제어실 교육훈련 시스템 개발)

  • 홍진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37-443
    • /
    • 2003
  • 전범위 복제형 시뮬레이터에 의해 이루어진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에서의 운전원교육은 훈련원에게 실제 발전소 주제어실에서 운전한다는 인식을 시켜 실제감을 느끼게 한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막대한 하드웨어 개발비용과 또한 동일 장소에 훈련원들이 모여야 한다는 공간적인 제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전력연구원은 3차원 웹기술을 접목하여 가상으로 주제어실을 개발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의 사이버 공간에서 공동으로 하나의 작업을 수행케 하는 Collaboration 기능을 탑재한 강의실용 가상주제어실 교육훈련 시스템(VRMCR : Virtual Reality Main Control Room)을 개발하였다. VRMCR은 3차원 웹(Web) 기술을 적용하여 공간을 이동하면서 버튼, 계기판, 경보판 등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주요 계기들은 시뮬레이터와 연동되어 있어서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면 경보판의 울림, 계기판의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교육생들이 하나의 팀을 구성하여 네트워크상의 자신의 컴퓨터에서 각종계기의 조작 및 문제 상황 대처 방법을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Cyber Glove, HMD 둥의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한층 더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in Large Scale Plant (대규모 플랜트에서의 가상현실 기반 플랜트 안전훈련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Jae Yong;Kim, Hyoung-Jin;Lee, Chunsik;Park, Chan C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3 no.2
    • /
    • pp.55-60
    • /
    • 2019
  • To develop a plant safety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e constructed a training system for a large scale plant. Compared with safety training for small plants or unit equipment, many system configurations such as virtual plant model, in-process data processing, work instruction, etc. are required and integrated system works have been carried out. The target plant, RDS process, is a high-risk process(high-temperature, high-pressur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raining scenarios that can be taken in the event of a leaking fire in the range and refer to the actual shutdown procedure. The proposed safety training integration system can be used in similar situations that can occur in the RDS process and can be a platform for safety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in a large plant.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o Treat the Stress Disorder after Car Accident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통사고 후유 장애 치료 프로그램 개발)

  • 김형래;이상호;노주선;김현택;김지혜;고희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02-207
    • /
    • 2001
  •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후 경험하게 되는 불안감 및 공포감과 같은 심리적인 후유 장애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 연구로 수행되었다. 가상현실을 통한 교통사고 후유장애 프로그램의 핵심내용이 되는 운전 주행 시나리오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완훈련 등의 불안감소훈련의 효과를 피험자를 통해 검증해보았다. 총 8명 피험자(정상인 7명, 교통사고 환자1명)를 대상으로 세 가지 주행상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후 이완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완훈련 후 유의미한 불안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각의 주행상황에 따라서 불안이 증가되는 경향성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주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에도 불안유발경향성이 나타난 점들은 고무적이나 교통사고자를 대상으로 한 경험적인 증명이 필요하며, 가상현실을 이용한 이완훈련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The Development Of Union Balance Sensory Measurement And Diagnosis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통합 평형감각 측정 및 진단 시스템의 개발)

  • 김종윤;송철규;김남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39-243
    • /
    • 2001
  • 최근 각종 질병과 사고로 평형감각에 이상이 있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빠른 사회로의 환원을 위해서는 평형감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재활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장비들은 근력을 길러주거나 특정감각기관만을 훈련시켜주는 정도의 재활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기술과 자전거를 이용하여 평형감각 실조환자의 진단 및 시각, 전정감각, 체성감각 등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고 자극, 훈련시킬 수 있는 bike simulator system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시스템이 재활훈련에 유용한지 실험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본 시스템을 통한 반복실험결과 COP의 값을 통하여 평형감각의 정량적 측정, 분석이 가능하였고, 훈련시 COP를 실시간으로 visual feedback함으로서 평형감각의 조절과 balance의 유지기능이 향상함을 확인하였고 본 시스템이 통합평형감각 측정 및 훈련용 재활장비로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itation based on Motion capture (하지 재활을 위한 모션 캡쳐 기반 재활 훈련 시스템 개발)

  • Kim, Sang-Yun;Jung, Seong-Dae;Kim, Sang-Ho;Jung, Soon-Ki;Lee, Yang-Soo;Kim, Chul-H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09-11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하지 편마비 환자의 편마비 정도를 측정하여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근육을 강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하지를 재활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체중 부하 및 하지 슬관절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이를 통해 환자가 자신의 편마비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환자가 피드백을 통해 강제적으로 편마비 하지를 사용 하도록 훈련 시킬 수 있다. 하지 슬관절(Knee Joint)의 움직임은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적외선 필터를 장착한 단일 카메라를 통한 모션 캡쳐 기술을 사용하여 획득한다. 또한, 재활 시스템에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하여 무릎을 동시에 굽혔다가 펴는 기립훈련과 양측 하지를 이용한 보행훈련을 입력으로 가상공간을 탐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가 흥미롭게 재활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mentia Care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with Non-wearable Sensing Technology (비착용형 센싱기술을 융합한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케어 시스템 개발)

  • Yoo, Jaewhan;Ahn, DoHyun;Choun, SeungHo;Heo, Sung-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79-82
    • /
    • 2019
  • 본 논문은 VR을 기반으로 하여 별도의 장갑이나 핸드헬드 디바이스 없이 치매 예방과 재활치료를 위한 VR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뇌 사용능력과 신체 활동성을 증가시켜 치매예방과 재활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치매 예방 콘텐츠로는 치매의 대표적인 원인인 뇌세포의 퇴화에 초점을 맞춰 기억력, 논리력, 산술능력, 공간인지능력 등을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노인을 위한 재활치료 콘텐츠로는 상지훈련, 하지훈련, 정신훈련, 밸런스훈련 등에 효과적이도록 구성하였다. 1:N 방식의 그룹훈련으로 고도화하여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이 작업치료사 한 명의 통제를 받아 치매예방 및 인지훈련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하고 공공보건의료시설, 요양원, 재활의학과 보유병원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rol Interface in Plant Virtual Safety Training System (플랜트 가상 안전훈련 시스템에서 조작 인터페이스 영향에 대한 연구)

  • Lee, Jae Yong;Park, Chan-Cook;Yu, Chul 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6
    • /
    • pp.46-51
    • /
    • 2017
  • The system was constructed so that safety training of the region city gas governor could be carried out using virtual reality. This system was used to survey the general public and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 controll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user in the training system. The same survey question was conducted to construct the safety training system of city gas governor using joystick and oculus touch. The results of these two surveys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operation controller in the safety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