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현실건축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1초

가상건축(假想建築)의 공간체험(空間體驗)을 위한 전시방안(展示方案) 연구 - 국민대학교 제11회 건축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Exhibition Method for Spatial Experience in the Cyber - Architecture with Virtual Reality)

  • 황선휘;이종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6
    • /
    • 2004
  • There are many spreading effects that never experienced before due to digital progress of the present age. Digital progress produce innovative changes now in cultural environment, architectural process, exhibition techniques, called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Digital' and' Architecture' must not to be overlooked in field of cyber architecture, further more, space design, so that requests some necessary to build new paradigm for digital presentation and spatial experience.

  • PDF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에서의 뇌파 측정과 스트레스 변화량 분석 - 히틀러 총통관저를 중심으로 - (Measurement of EEG and Analysis of Stress Change in Space Using Virtual Reality - Focus on the Hitler's residence -)

  • 김선욱;강세연;지승열;전한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73-7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ess variation according to Hitler's residence using EEG data. Hitler's residence, one of the most monumental buildings, is designed as a grand and overbearing space, giving the visitor a sense of psychological pressure when moving from a high space to low space.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his paper constructs Hitler's residence using virtual reality and measure the changes of the beta waves which are known to be related with stress when the floor level moves from high to low space in Hitler's residence built in virtual spac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when moving from high to low space, the subjects' stress was high and at the same time brain waves variation was increased greatly due to changes in space.

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 시대별 가상현실 활용 흐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Flow of Virtual Reality in the Apartment Model House)

  • 황병연;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85-590
    • /
    • 2019
  • 본 연구는 모델하우스의 시대별 사례를 통해 모델하우스에서 가상현실 활용에 대한 변화를 정리하고 모델하우스에서 가상현실기술의 활용과 앞으로의 발전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 가상현실 활용 흐름의 특성을 종합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을 활용한 아파트 모델하우스 시장은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홍보의 목적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아파트 분양에서의 가상현실을 활용한 기술은 가상공간 구축형태에서 가상 콘텐츠 구현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셋째, 기존 방식인 대면방식, 실물 홍보매체를 접하는 방식에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아파트 홍보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모델하우스를 찾는 소비자에게 실물 모델하우스에서 물리적 환경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체험형태, 정보매체로써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모델하우스의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앞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분양 모형뿐만 아니라 ICT기술(3D 스캐닝, 3D 모델링, 가상 콘텐츠)을 통해 분양 후 유지 관리 시스템으로의 발전과 단지 관리 플랫폼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가상현실에서 표출된 라이드필름 제작 사례연구 - Warrior of the Dawn 제작사례를 중심 - (A Study on the Ride Film Appearing in Virtual Reality - the focus of Warrior of the Dawn -)

  • 김태형;정진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04-1212
    • /
    • 2008
  • 가상현실은 1920년대 vehiclesimula-tion(fight simulator)을 효시로 하여 정밀한 광학적/전자기적 장치의 발달로 군사적 목적 이외의 범위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realistic display 기술을 선두로 오락, 의료, 학습, 영화, 건축설계,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점점 일반화 되어 지고 있다. 1989년 재론 래니어에 의해 가상현실이란 용어가 고안되었고, 모든 가상 프로젝트들을 하나의 단일 항목으로 묶을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이전에 가상현실은 연구 되어져왔고 현재에 이르게 되었으며, 불가능한 것에 대한 새로운 경험은 인간에게 가상현실의 한 부문으로써 라이드필름을 개발하게 하였다. 라이드필름(Ride Film)의 어트랙션은 기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기반을 분석하여 그 토대로 구성되어지며, 가상현실의 궁극적인 원칙은 상호작용에 의한 몰입이다. 진정한 상호작용은 인터페이스와 입력센서 그리고 반응능력을 요구하는데, 라이드필름(Ride Film)은 전형적인 상호작용성의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에서 연구되어온 기술 중심적 입장 외에, 경험 중심적 정의 측면에서 사이버상의 철학자라 불리 우는 마이클 하임 교수의 7가지 기초 개념, 즉 인공현실 / 상호작용 / 몰입 / 망으로 연결된 세계 / 원격현전 /시뮬레이션 / 온몬 몰입에 근거하여 가상현실로서의 적합성을 대입 분석해 보고, 완전한 몰입을 위한 라이드필름(Ride Film)의 발전 방향과 최적화된 결론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라이드필름(Ride Film)의 연구는 선례연구가 부족한 라이드필름(Ride Film)의 선행연구로써의 기틀과 디지털 영상을 한 차원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라 여긴다.

  • PDF

실감형 가상현실 상호작용 기술동향 (Realistic Interaction Technology for Virtual Reality)

  • 김용완;조동식;김영희;김혜미;김기홍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3호
    • /
    • pp.62-72
    • /
    • 2012
  • IT 기술과 콘텐츠 기술이 융합된 가상현실 기술은 최근 산업, 의료, 엔터테인먼트, 교육, 문화 체험, 국방, 건축 등 적용이 널리 증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감형 가상현실 상호작용 기술의 동향과 활용 사례를 통하여, 핵심기술 요소와 시장 활용성 및 향후 응용 분야를 제시한다. 특히, Physical User Interface(PUI) 센서, depth 센서(혹은 RGB-D 센서) 등 3D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추적 및 사용자의 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주변 환경에 대한 그래픽적인 표현 및 시각화에 의해 콘텐츠와 그래픽적인 표현 및 시각화에 의해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기법에 관한 동향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 PDF

공동주택 분양 관리 단계의 BIM 기반 가상현실 적용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Direction for Applying BIM-based Virtual Reality of Apartment Sales Phase)

  • 이주연;김택중;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86-94
    • /
    • 2019
  • 건설프로젝트가 복잡화, 대형화됨에 따라 사업단계별 참여주체 간 의사소통 및 협업을 위해 BIM기술 도입이 가속화 되고, BIM을 활용한 효율적인 시각화 방식의 도입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BIM과 NUI 융복합 기술의 세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공동주택의 분양단계는 고객의 의사결정을 위해 건축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분양단계 프로세스별 분양마케팅 전략 및 마케팅 사례분석을 통해 공동주택 분양단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분양마케팅 시 건축정보 전달 측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AHP 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IM 기반의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한옥의 구조해석 모델 검토 및 활용을 위한 가상현실 소프트웨어 (Virtual Reality Software for Review and Use of Structural Analysis Model of Hanok)

  • 정종현;김영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347-35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해석모델 구축을 지원하고, 구축된 해석모델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이를 활용한 가상현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한옥의 구조해석 모델은 범용 구조해석 소프트웨어인 midas Gen으로 생성하고, 이를 문자기반 입력파일로 변환한 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에서 한옥 해석모델의 검토에 필요한 자료들을 저장한다. 개발된 가상현실 소프트웨어 내에서 3차원으로 표현된 한옥의 해석모델은 시점을 변경하며 살펴볼 수 있고 특정 부재를 선택하여 관련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해석모델의 오류를 확인 및 수정하여 완결된 해석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3개의 한옥 사례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과 효용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분야 이외의 타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및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전통목조건축물 디지털 복원 (Digital Restor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Buildings Using Multimedia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 이강훈;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6-212
    • /
    • 2013
  • 멀티미디어, 가상현실 및 네트워크로 대표되는 ICT 기술은 문화콘텐츠의 원형을 보존하고 복원을 위한 좋은 수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라 할 수 있는 전통목조건축물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와 증강현실 기술의 세부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그래픽 기법을 사용하여 전통목조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 부재들을 3D 모델링하였고, 전통목조건축물의 지붕 곡선을 표현하였고, 전통목조건축물의 재질 매핑을 하였다. 또한, 마커 기반 증강현실 기법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통목조건축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멀티미디어 및 증강현실로 구현된 전통목조건축물 결과물의 활용 방안을 또한 제시하였다.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4차산업혁명 IT융합기술기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개발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 Based on IT Convergence Technology Virtual reality simulation development)

  • 김대건;박태현;박주영;박수진;이동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3-174
    • /
    • 2018
  • Recently, a growing number of accidents have taken place at construction sites, causing serious casualties. To prevent accidents or minimize dam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afety precautions education is essential. However,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do not have as much effect as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so As a new direc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effective education by simulating realistic environments using VR. The safety training method used to experience and learn dynamic situations in a limited room wearing HMD is combined with VR. It will be the star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going forward.

  • PDF

원전 가상현실기반 운영/정비를 위한 정보요건 분석 (Analysis on Virtual reality-based information requirements for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 이원형;김우중;변수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76-277
    • /
    • 2013
  • Complex facilities and major equipment in nuclear power plants check to use analog measuring device. Operating and maintenance using 3D data for ge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which is a virtual reality technology development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this paper defines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technology in nuclear power plant. Furthermore developing owner requirements for applying the virtual reality-based technology is purpo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