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변광감쇠기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PLC 가변광감쇠기 특성 향상을 위한 열간섭 차단 트렌치 가공 기술 (Femtosecond-Laser Micromachining of a Thermal Blocking Trench for an Enhanced PLC Variable Optical Attenuator)

  • 유동윤;최훈국;손익부;김영식;김수용;김완춘;김진봉
    • 한국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7-13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가변광감쇠기에서 발생하는 열간섭 효과를 차단하여 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트렌치를 가공하였다. 채널간 열간섭으로 인한 광감쇠 제어효율 하락을 막기 위하여, 가변광감쇠기 채널 사이에 펨토초 레이저로 트렌치의 폭과 깊이를 다르게 하여 가공하였고, 적용된 각 칩을 모듈화하여 전류에 따른 광감쇠율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광감쇠를 위해 가해진 열이 주변채널에 영향을 매우 작게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뿐만 아니라 작은 전류에 광감쇠율이 민감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인 소자로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인라인 가변 광섬유 감쇠기 제작 및 특성 측정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line fiber-optic tunnable attunuator)

  • 김효겸;윤대성;문정원;김광택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22-23
    • /
    • 2003
  • 광섬유 가변 감쇠기는 광증폭기, add/drop 모듈, Mux/Demux, 광송수신기 등 중요한 광통신 시스템의 입력 및 출력 광신호 레벨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중요한 소자이다. 가변 감쇠기는 높은 신뢰성, 높은 해상도, 작은 삽입손실, 낮은 편광 및 파장 의존성 손실 등이 요구되어 진다. 가변 광감쇠기는 평면 기판에 형성된 도파로 의 열광학 효과나 전기광학 효과를 이용하는 기법과 MEMS 기술에 기초한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액정을 이용한 반사형 가변 광 감쇠기 (Reflective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ing Liquid Crystals)

  • 이용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2호
    • /
    • pp.15-18
    • /
    • 2014
  • 본 논문은 광스위치등에 사용되는 가변 광감쇠기를 위해 반사형 액정셀을 채용한 광감쇠기 구조를 제안하고 특성을 검토한다. 본 제안의 가변 광감쇠기는 반사형구조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전압구동이 가능하다. 광통신용 파장에 적합한 액정셀의 설계방법, 주변온도에 따른 동작특성, 광감쇠기의 응답특성 등을 검토하여 본 제안 구조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이중 광 콜리메터와 바이메탈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가변 광감쇠기 (Variable Optical Attenuator Incorporating Dual Fiber Collimator and Bi-metal Actuator)

  • 김광택;김덕봉;고한준
    • 한국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이중 광 콜리메터 광학계와 바이메탈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가변 광감쇠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입력광섬유와 출력광섬유 사이의 광손실은 바이메탈에 부착된 반사거울의 기울어진 각으로 조절되어진다. 바이메탈은 열전소자(TEC)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되며 이로 인해 구부림이나 펴짐으로 인하여 반사거울을 움직이게 한다. TEC에 가해지는 전기신호로 원하는 광감쇠량을 얻을 수 있다. 제작된 소자는 0.5 dB의 삽입손실, 0.2 dB의 편광의존성 손실 및 40 dB 이상의 가변변위를 보였다. 반응 시간은 약 5초였다.

미세 가공된 멤브레인형 도파로를 이용한 저전력 폴리머 가변 광감쇠기 (Low-Power Consumption Polymeric Attenuator Incorporating a Bulk Micromachined Membrane Type Waveguide)

  • 이상신;부종욱;이승엽;송기창;박칠근;김태식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2-133
    • /
    • 2000
  • 최근, 인터넷 등의 보급으로 인하여 급증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파장분할다중화 광통신시스템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DM)이 활발히 개발 및 보급되어 왔다. 가변 광감쇠기는 각 파장별 광신호의 세기를 균일하게 하여 장거리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WDM시스템의 핵심 소자이다. 폴리머 소자는 제작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 만 아니라 다른 소자와의 집적이 용이하고, 열광학 계수가 실리카에 비하여 10배 정도 커서 구동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폴리머 광감쇠기가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1)}$ . 본 논문에서는 미세 가공된 멤브레인형$^{(2)}$ 도파로를 이용한 저전력 폴리머 가변 광가쇠기에 관한 것이다. (중략)

  • PDF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굴절률 정합액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가변 광 감쇠기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ing Optical Coupling between a Side Polished Fiber and Refractive Index Matching Liquid)

  • 김광탁;송재원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9호
    • /
    • pp.50-55
    • /
    • 1999
  • 단일모드 광섬유의 한쪽 측면을 코어 가까이 연마한 광섬유와 그 위에 덮혀진 정합액 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가변 광 감쇠기를 제안하였다. 광섬유모드와 방사모드사이의 결합으로 인하여 정합액의 미세한 굴절률 변화는 큰 광손실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정합액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광손실을 제어하였다. 실리콘 V홈을 이용하여 측면 연마된 광섬유 블록(block)을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5^{\circ}C$ 정도의 온도변화로서 감쇠량을 최대와 최소사이에서 제어 할 수 있었다. 제작된 소자의 편광의존성 손실은 0.5 dB이었고, 삽입 손실은 0.2dB 이었다.

  • PDF

측면 연마 광섬유를 이용한 가변 광 감쇠기 (Variable Optical Attenuator based on Side Polished Fiber Technique)

  • 구숙영;정치섭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2-228
    • /
    • 2004
  • 측면 연마 광섬유를 이용하여 가변 광 감쇠기를 실험적으로 구현하였다. 오버레이 물질로는 poly(vinylidene fluoride)와 poly (methyl methacrylate) 고분자 혼합체를 사용하였다. 혼합고분자의 온도를 변화시켜 오버레이의 굴절률을 조절하였고, 그로 인한 소산장 결합정도를 변화시켜 광섬유로부터 추출되는 광량을 조절하였다. 삽입손실은 0.1 ㏈ 이하였으며 30㏈이상의 감쇠를 실현하였다.

음향광학 파장가변 대역투과 필터 (Acousto-Optic Wavelength-Tunable Bandpass Filter)

  • 이명수;황인각;김병윤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146-147
    • /
    • 2000
  • 광 대역투과 필터$^{(1)(2)}$ 는 WDM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선별에 사용되거나 좁은 선폭의 광원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원의 파장을 분석하는 광스펙트럼 분석기나 광섬유 센서 시스템에서 신호처리용 파장 필터 등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중요한 광소자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어 모드감쇠기와 음향광학 가변 필터$^{(3)}$ 를 사용하여 새로운 전광섬유 형태의 광 대역투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본 광 대역투과 필터는 필터의 중심 파장 및 필터의 투과율을 전기적으로 쉽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대형 코어 폴리머 광도파로를 이용한 가변 광감쇠기 설계 (Design of Variable Optical Attenuators Incorporating Large Core Polymer Waveguides)

  • 조수홍;오민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4-260
    • /
    • 2005
  • 높은 재현성과 함께 효율적인 수동 정렬을 위하여 제안된 대형코어 단일모드 폴리머 광도파로를 이용하여 제작 가능한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인 가변 광감쇠기를 제안하고 삼차원 빔전파 방법을 이용하여 소자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고 최적 구조를 설계하였다. 소자의 표면에 집적된 박막 전극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폴리머 광도파로에서 발생하는 굴절률 분포 변화를 수치해석적으로 구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삼차원 빔전파 해석을 수행하였다. 대형코어 광도파로가 가지는 작은 굴절률 대비로 인해 효과적인 광감쇠 현상을 작은 온도 변화로부터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 광도파로 VOA에서 섭씨 150도 이상의 온도 변화가 필요한 반면 대형 코아 광도파로 VOA는 섭씨 70도 정도의 온도 변화 만으로도 20 dB 이상의 감쇠를 얻을 수 있었다. 대형코아 광도파로가 가지는 장점인 높은 정렬오차 허용범위와 더불어 낮은 구동전압으로 동작하는 장점을 함께 가지는 가변 광감쇠기 설계를 완성하였다.